누구도 아프지 말아라 - 행복하냐고 너에게 묻는다
정영 글.사진 / 달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도시를 떠나선 살 수 없다고 생각하면서도 가끔은 침묵이 존재의 대부분이 아닐까? 생각되는 사찰들을 떠올려보게 된다. 주변에 아무것도 없는, 어둠이 내리면 그 어둠에 묻혀버릴 것만 같은 산중에 있는 사찰들에 계신 스님들은 속세를 떠나 살게 되셨을까? 가끔 어떤 인생을 살아오셨을지,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실지 궁금했다. 정영 시인이 스님들을 만나 산사에서 나눈 이야기들은 때론 마음을 울리는 죽비소리 같기도, 풍경소리 같기도 했다.

#누구도아프지말아라 에는 정영 시인이 인터뷰한 30명의 스님의 이야기를 주제를 정한 인터뷰가 아닌 자연스러운 흐름의 이야기로 담고 있다. 산이 있는 근처를 가게 되면 알지 못하는 절이라도 한 군데는 꼭 들러보곤 하는데, 봄이 오기 전의 고요함, 겨울에 깊이 잠든 산사의 고즈넉함을 꽤 좋아해서 부러 사람이 많지 않은 시기를 꼽아 조용히 다녀오곤 했는데, 문득 고요한 산사에서의 며칠도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해보게 되고, 우리가 살아가며 느끼는 다양한 마음들의 모습, 다스려지지 않는 감정들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흘러가듯 읽게 되는 글이었다. 삶이 힘들고 고단하다고 생각된다면, 한 번쯤 읽어보길 권하고 싶은 책이었다.

13p.

"침묵은 사랑스러운 말을 고르기 위한 긴장, 성실함을 찾기 위한 더듬거림 같은 거죠. 사찰은 그 침묵 안에서 자기 존재를 볼 수 있는 각도를 갖고 있어요." _ #허운스님

43p.

눈을 뜨고도 빛을 보지 못하는 어둠 속의 나는 또 하나의 가르침을 받고 있었다. 돌아서는 스님께 내일 아침에 다시 뵈었으면 하는 마음을 전했다. 겨울밤의 맵싸하고 명징한 바람 같은 답이 돌아왔다.

"오늘의 나와 내일의 나는 다릅니다."_ #경성스님

75p.

"승복은 죄수복이에요. 그만큼 많이 참회하고 그만큼 많이 봉사하고 그만큼 남보다 덜 자고 덜먹고 더 정진해야 하지요. 그렇지만 인간으로 태어나서 부처님 법을 만났으니 절반은 성공한 거예요."_ #승원스님

99p.

"내가 청정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청정한 세상을 바라나요. 인생 운전 잘 하세요."

운전을 잘하기 위해서는 졸지 말고 깨어 있어야 하며 늘 긴장해야 한단다. 그래야만 차가 반듯하게 가는 것이니. 그래야만 차가 생명을 앗아가는 도적이 아닌 부처를 만나러 가는 발이 되는 것이니. 그렇게 내 몸뚱이 내 정신의 내 인생의 운전을 잘하라 하신다. _ #관암스님

185p.

성철 스님은 많은 한글 법어를 남기셨는데 원택 스님은 그중에서도 '자기를 바로 봅시다'라는 법어를 당신도 좋아하셨다며 마음으로 꼽으신다.

"자신을 하찮게 여기지 말고 자신이 금덩어리라는 것을 알고 살아야 합니다. 그것을 알고 실천한 분이 부처님입니다. 자기를 바로 보아 금덩어리라는 것을 알고 살자는 것이 큰스님이 늘 선사로서 우리 중생들에게 당부하신 말씀입니다.."

주관 없이 흔들리는 우리의 몸과 마음에 꿋꿋하게 쇠심줄을 박게 하는 말씀이다. _ #원택스님

#누구도아프지말아라

#정영

#에세이

#달

#월간해인 #스님법문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