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파니 메일러 실종사건
조엘 디케르 지음, 임미경 옮김 / 밝은세상 / 2019년 8월
평점 :
절판





1994년 뉴욕 인근 해변 휴양지 오르피아, 연극제 당일 벌어진 시장 일가족 살인사건과 그 사건을 목격해서 총격을 당한 메간 패들린의 시신이 발견된다. 이름하여 4인 살인사건, 당시 고든 시장과 충돌이 잦았던 테드라는 인물을 조사한 결과 인과관계가 확실하다고 생각해 종결지어진 사건이었는데... 20년이 지나 제스 로젠버그 반장의 퇴직 환송회 장을 찾아온 스테파니 메일러 기자의 한마디에 20년 전 사건을 다시 돌아보게 된다. "해답은 눈앞에 있었어요. 단지 반장님이 보지 못했을 뿐이죠."

퇴직을 일주일 앞두고 자신을 찾아왔던 스테파니 메일러가 그날 실종된 걸 알게 된 제스는 20년 전 사건이 끝난 게 아니라는 걸 직간하게 되고, 당시 파트너였던 데렉과 함께 20년 전 사건을 재조사하기 위해 오르피아를 찾아 당시 사건을 재조사하려고 하지만 당시 사건 자료들이 사라졌다? 그리고 당시 서장이었던 커크는 자신의 연극 '다크 나이트'를 오르피아 연극제에 올려주게 해준다면 범인이 누군지 알게 된다고 하는데.... 20년 전 사건을 재조사하면서 다시 시작되는 연쇄살인, 관련된 자들이 하나둘 죽어가면서 오르피아는 다시 연쇄살인의 소용돌이에 휩싸이게 되고.... 사건에 연관된 사람들을 조사하면 할수록 수수께끼에 연결된 수수께끼를 만나는 듯한 기분이 들게 한다. 도대체 누구지?

30여 명이 넘는 등장인물들의 이해관계는 자신의 욕망을 위해, 또는 안온한 삶을 유지하며 살아가기 위해 어떤 짓도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 파헤칠수록 꼬리에 꼬리를 무는 사건과 새롭게 드러나는 단서들은 혹시 너? 하며 의심 가는 인물들이 계속 바뀌게 된다. 사건 관련 인물들의 관계도를 그려가며 추리를 했는데도 마지막 즈음 드러난 범인의 등장은 헉! 이란 외마디를 외치게 하는데... 700여 페이지에 달하는 벽돌 책, 들고 읽기엔 꽤나 힘들다. 하지만 장인물들을 추리하며 쫓아가기에 바쁘다 보니 페이지가 줄어드는 건 금방이었다. 페이지 순삭, 시간 순삭... 아마도 그의 책을 한 권이상 읽었다면 다른 책들도 검색해보게 되지 않을까? <스테파니 메일러 실종 사건> 을 다 읽자마자 조엘 디케르의 다른 책들도 바로 검색하고 있다. 올가을 흥미진진한 추리소설을 추천한다면 이 책을 추천하게 될 것 같다.

20p.

"해답은 눈앞에 있었어요. 단지 반장님이 보지 못했을 뿐이죠."

81p.

애나와 나는 수사기록보관실로 갔다. 놀랍게도 1994년 4인 살인사건의 수사기록이 담긴 파일이 모두 사라지고 없었고, 누렇게 변색된 종이 한 장만이 남아 있었다. 종이에 타자기로 친 문구가 적혀 있었다.

여기서 '다크 나이트(Dark Night)' 시작된다.

343p.

"제레미아 폴드에 대한 수사기록이 전혀 남아있지 않습니다."

"제레미아의 사망 시점은 4인 살인사건이 일어나기 이 주일 전이었어요. 그러니까 4인 살인사건에 연루되었을 가능성은 제로라고 봐야 해요."

603p.

"지금껏 범인은 그 어떤 단서도 남기지 않으려고 애써왔습니다. 범인은 1994년 사건과 연결고리를 만들지 않으려고 한 겁니다. 20년 동안 모두를 속여왔는데 이제 와서 일을 그르칠 수야 없었겠죠. 내가 보기에 이 사건의 범인은 이미 여섯 명을 죽였지만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바퀴를 멈추지 못해서였지 연쇄살인마는 아닙니다. 그저 치부를 가리고 싶은데 마땅한 방법을 찾아내지 못해 살인을 저지르는 유형이죠."

710p.

"사람을 한 번 죽이고 나면 두 번도 죽일 수 있어요. 두 번 죽이고 나니까 모든 인간을 다 죽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살인에 대한 양심의 가책이나 두려움이 모두 사라져버렸죠."

#스테파니메일러실종사건

#조엘디케르 #임미경옮김

#밝은세상

#추리소설

#프랑스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