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펙트 마더
에이미 몰로이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으면 읽을수록 제목 자체가 스릴러로 여겨졌다. <퍼펙트 마더> 라니 완벽한 엄마라니... 마이더스가 사라지고 아이 엄마들인 프렌시, 넬, 콜레트가 엄마가 되기 이전의 삶에 대한 이야기는 한 생명을 잉태하고 키우는 데 드는 노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그런 그녀들이 경제적인 생활도 고려해 맞벌이까지 해야 하는 고단함과 비참함까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임신을 하고 출산을 해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 여동생들이 아이들을 키우고 있지만 가끔 이런저런 훈수를 두기도 했다. 동생들이 조카들을 키우며 ‘엄마가 미안해’라는 말을 얼마나 많이 하던지 나중엔 “그게 왜니가 미안할 일이야? 다른 집 애들도 다 그러면서 커”라고 말하며 옆에서 듣는 사람은 듣기 좋지 않다고, 아이에게도 좋지 않을 것 같다고 이야기했었다. 가끔 나도 동생들처럼 아이를 낳아 키웠더라면 지금과는 달랐을까?라는 생각도 해보지만, 솔직히 아이를 임신하고 낳아 키운다는 생각만으로도 겁이 앞선다. 예전엔 당연한 수순처럼 어른이 되면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아키우고 그 아이들이 결혼을 해서 또 아이를 낳고.... 하는 게 자연스럽다고 생각했는데 여자들의 ‘임신’이 축하만 받을 일이던가?

“아기를 낳았다고? 축하해! 이제 모든 게 네 잘못이 될 거야.”

내가 그 모임에 가입하지 않았더라면, 그들이 다른 날짜를 택했더라면, 하다못해 다른 술집에 갔더라면,

아니면 그날 밤 알마가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아기를 봐달라고 부탁했더라면, 휴대폰에 그런 일이 생기지 않았더라면.

아니, 그날 넬이 그런 말을 하지 않았더라면, 하늘로 고개를 젖히고 얼굴에 찬란히 쏟아지는 햇살을 받으면서,

마치 예언과도 같은 그 말을 하지 않았더라면.

이렇게 더운 날은 안 좋은 일이 일어나기 마련이죠.

임신을 하고 출산을 하면서, 관련 정보를 찾아 가입하게 된 온라인 카페 ‘맘동네’. 그 안에서 비슷한 시기에 임신과 출산을 하며 자연스럽게 결성된 ‘5월 맘’멤버들은 아이들을 키우며 정보를 교환하며 가까워진다. 기분전환을 위해 잠시 밤 외출을 하기로 한 엄마들. 그런데, 앱으로 마이더스를 지켜보지 않은 사이 위니의 아기 ‘마이더스’가 감쪽같이 사라졌다. 이날 함께 했던 엄마들은 간절하게 마이더스가 돌아오길 기다리지만 시간만 지나고.... 그들이 알고 있던 위니가 20년 전 TV 드라마 하이틴 스타이며 부자였다는 사실도 언론을 통해 알게 되고 그날 함께 있던 엄마들은 어린아이를 돌보지 않고 외출했다는 이유로 ‘자격 없는 엄마들’이란 악몽이 시작된다. 그녀들이 아이를 키우며 최선을 다하지만, 그들의 배우자도 분명 그만큼의 노력을 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어린 아기는 엄마에게 전적으로 더 의지하게 되는데 아이를 키우면서 더 많은 이야기가 필요한 게 이런 부분 때문이 아닐까? 이야기하지 않으면 모른다, 잘 해나가고 있는 것 같은데 배우자는 이미 에너지 고갈로 쓰러지기 일보 직전일지도... 어쩌면 아이가 사라졌다는 자체만으로도 이미 스릴러의 시작이다. 아니, 극한의 공포감 속에 아이가 돌아올 때까지 살아있어도 살아있는 게 아닌 일상을 살아갈 것이다.

아이를 낳지 않는 사회라고 탓만 할 일이 아니다. 아이를 키우기 위한 준비가, 사회가 되어야 하는 게 아닐까?

새삼 임산부들을 위해 더 많은 배려와 존중이 필요하고, 아이를 낳은 산모들이 원할 경우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복지도 나아져야 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퍼펙트 마더>를 읽으며 먼 나라, 다른 문화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인데 아이를 키우는 데 있어선 다를 게 없구나라는 생각도 해보게 되었던 글이다.

19p.

5월 맘. 내가 속한 엄마 모임이다. 개인적으로, 나는 맘이라는 용어를 좋아했던 적이 한 번도 없다. 그건 너무 정치적이고 안 좋은 단어다. 우리는 맘이 아니었다. 우리는 엄마였다. 그저 사람일 뿐인데, 어쩌다 보니 같은 시기에 배란하고 같은 달에 아이를 낳게 된 여자들이었다. 이렇듯 낯선 사이였지만, 아기를 위해, 우리의 정신 건강을 위해 친구가 되기로 선택한 것이다.

52p.

“캐나다에서는 출산휴가 간 여자의 자리를 1년 동안 지켜줘요. 이 세상에 유급 휴가를 의무로 두지 않는 나라가 미국이랑 파푸아뉴기니밖에 없다는 거 알아요? 가족의 가치를 그토록 중시하는 미국이 말이죠.”

“아기란 게 사실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배아에 불과했다는 걸 깨우쳐주면, 사람들이 출산휴가를 좀 더 많이 지원해줄까요?”

118p.

“왜 사람들은 임신한 여자가 어떤 축복을 받는지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려 드는 걸까요? 왜 우리가 입는 손해에 대해서는 아무도 말하지 않는 거죠?”

185p.

찰리에게 사실대로 털어놓으면 모든 게 훨씬 쉬울 텐데. 일을 그만두고 싶었다. 포피만 오롯이 신경 쓰며 살고 싶었다. 지금 마음 같아서는 다 필요 없고 오로지 엄마로 살고 싶었다. 그래서 어떻게든 꼭 포피가 괜찮아질 수 있게 해주고 싶었다. 그 애를 사랑해주고 건강하게 지켜주고 싶었다.

하지만 콜레트는 그 생각을 떨쳐버렸다. 그런 말을 찰리에게 할 수는 없다.

그녀는 그렇게 될 수 없다.

콜레트 예이츠는 로즈메리 카펜터의 딸이다. 모성이라는 곤경에 대해서, 가정 내의 부부관계에서 일어나는 내재적인 성차별에 대해서, 여성이 남자에게 의존하지 말아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 글을 써서 유명 인사가 된 바로 그 로즈메리 카펜터의 딸이란 말이다. 그런데 그 딸이 집에서 애를 보는 엄마의 길을 선택한단 말인가?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