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편의점에 간 멍청한 경제학자 - 행동경제학으로 바라본 비합리적 선택의 비밀
고석균 지음 / 책들의정원 / 2019년 4월
평점 :

'왜 카페는 테이크아웃을 하면 할인해주는 걸까?'
'왜 편의점에서는 2+1 제품을 판매하는 걸까?'
한 번쯤 생각했던 궁금증이었다. 왜? 할인을 해주는 거지? 사소하지만 놓치고 있던 소비의 숨겨진 원리 속에 '소비를 유도하기 위한 기업의 넛지 마케팅'이 적용되고 있었다. '팔꿈치로 쿡쿡 찌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넛지는 어떠한 장치나 상황을 통해 특정한 행동을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저자는 이런 소비패턴들과 주변의 다양한 마케팅들을 보며 넛지가 우리 삶 속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조사하는 과정에서 합리적인 소비를 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더 많았고 감정적인 소비 행위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런 점을 행동경제학적 시선으로 분석 체계적으로 정리하게 되었다고 한다.
행동경제학 ; 주류경제학의 ‘합리적인 인간’을 부정하는 데서 시작하지만, 그렇다고 인간을 비합리적 존재로 단정 짓는 것은 아니다. 다만 온전히 합리적이라는 주장을 부정하고, 이를 증명하려는 것이 행동경제학의 입장이다. 경제주체들이 제한적으로 합리적이며 때론 감정적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행동경제학 [behavioral economics] (한경 경제용어사전)
별거 아닌 것처럼 보이는 매장 제품의 배열, 식당 메뉴판, 극장 팝콘 판매대의 위치, 각종 매장 진열대들의 제품 진열들의 위치까지 소비를 유도하는 넛지의 행동경제학은 은밀하게 깔려있다. 판매자이며 소비자의 입장에서 읽으며 꽤 흥미롭고 재미있게 읽었던 『편의점에 간 멍청한 경제학자』는 우리가 실생활에서 찾아볼 수 있는 많은 사례들을 직접 생각하며 읽을 수 있어 그 체감도 더 높다. 일상 속에 숨어 교묘하게 선택을 유도하는 기업 마케팅에 대한 모든 이야기. 똑똑한 소비를 위해 한 번쯤 읽어볼 일이다.
#편의점에간멍청한경제학자 #고석균 #책들의정원
43p.
우리는 왜 선착순에 열광하는 것일까. 그 이유는 '외부적인 요인'이 철저히 배제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선착순은 '순서대로' 사람을 줄 세운다. 다시 말해 아무리 능력이 좋고, 돈이 많은 사람이라고 해도 선착순 행사에서는 외부적인 요인이 아닌 누가 더 빨리 줄을 서는지를 중점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다. 외부적인 요인을 배제하고 목표에 빠르게 도착하기만 하면 된다는 사실은 사람들이 느끼는 위험부담을 감소시켜준다.
55p.
점심 특선 메뉴야말로 상대성이라는 마법을 정확하게 잘 이용하고 있는 한 예이다. 사람은 자신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지만, 기업이나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상대성이라는 마법을 부렸을 때 홀린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홀린다. 우리는 절대 합리적으로 사고하지 않는다. 늘 그렇듯 합리적으로 생각하려고 노력하지만 비합리적으로 사고한다.
98p.
선택의 역설이란 선택의 폭이 넓어지면 넓어질수록 오히려 사람이 잘못된 결정을 하게 돼 선택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109p.
현대는 가만히 있어도 수많은 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그것을 간단히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한 시대다. 물론 이러한 편리함을 잘 이용하는 것은 좋다. 하지만 이로 인해 정말 중요한 결정마저 귀찮아지는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지 우려된다. 때로는 나만의 명확한 기준을 가지고 선택을 하자. 그 기준이 어떤 것이든 간에....
118p.
우리가 이용하는 정기 결제 서비스를 살펴보자. 그 서비스가 당신에게 정말 필요한 서비스인가? 혹시 예전에 등록해 두고 필요는 없지만 그냥 익숙해져서, 언제 사용할지 모르는 혜택을 받기 위해 그런 것은 아닌가? 잘 생각해보자. 우리가 눈치채지 못하고 있을 뿐 돈이 빠져나가는 구멍은 생각보다 많다.
172p.
편의점이라는 작은 공간에도 치밀한 판매 전략이 수없이 숨겨져 있다. 어쩌면 편의점은 고객의 모든 행동을 반영한 치밀한 넛지들이 숨겨져 있는 넛지 보물 창고이지 않을까....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