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만 바라봐 - 주목받지 않으면 못 견디는 현대병, 경계성 인간 분석서
오카다 다카시 지음, 김해용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저를 사랑해줄 사람, 어디 없나요?"
헤르만 헤세, 랭보, 다자이 오사무, 제임스 딘.....
상처적 체질, 경계성 인간이 급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모든 인간은 관심 종자, 관종의 원조는 경계성 인간이다?! 오카다 다카시는 다양한 사례를 들어 경계성 인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생소한 단어지만 책을 읽다 보니 대부분의 사람이 경계성 인간에 해당하는 게 아닐까?라는 생각도 하게 된다. 사례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물들이 내 모습이거나 가족 누군가, 또는 친구,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군상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쉽게 사랑하고 쉽게 상처받는 사람, 자신의 관심사에 귀 기울이지 않으면 토라지는 사람, 사랑을 확인하기 위해 자신의 가족을, 또는 연인을 위협하고 자해사는 사람 등등... 자해의 경우는 심각한 경우지만 관심을 끌기 위해 심각한 행위를 하는 경우도 쉽게 볼 수 있다. 왜? 이런 경계성 인간이 많아지고 있는 것일까?
경계성 인간이 보이는 특징들은 얼핏 보면 매우 특수하고 협소한 문제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사회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보편적인 문제와 관련이 있다. 이 인간형은 인간이 살아간다는 것은 무엇인지, 무엇이 인간을 살게 하는지, 그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고민거리를 던져준다.
현대 사회에서 경계성 인간 유형이 급증하는 것에는 필연적인 이유가 있다. 이 인간 유형의 문제점과 마주하는 것은 우리가 직면한 '마음의 위기'와 만나는 일과 같다. 우리는, 살아간다는 것은 결코 당연한 일이 아니며, 누군가에게 받은, 무엇으로도 대체하기 힘든 선물에 의해 비로소 가능해진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p011~012
경계성 인간은 태생적으로 지니고 있는 '성격'장애가 아니다. 경계성 인간을 둘러싼 오해 가운데 하나는 이 장애를 '처치 곤란한 성격'이라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미 그러한 '성격'의 소유자라기보다 어느 계기를 통해 그런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경계성 인간이 되는 사람들 중에도 다양한 성격이나 기질의 소유자가 있다. /p030
경계성 인간은 우리와 다르지 않지만 우리가 평범하게 보이기 위해 조금은 자신을 자제하며 살아갈 수 있다면, 경계성인간은 그러한 경계에서 한 발자국 떨어져 세계를 바라보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때론 그렇게 한발자국 물러나 있는 그들의 삶이 조금은 부럽기도 하다. 아주 가끔 경계선에 놓여있다고 생각해 본적이 없는가? 지치고, 힘들고, 모든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은 생각이 들때 '이 끈을 놓아버리면 어떻게 될까?' 라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있다. 절대 쉬운일이 아님을 알기에 잠시 방황하다 이내 마음을 다잡는게 일반적인 모습이겠지만 요즘 이러한 경계성 인간이 늘어나고 있는건, 수많은 매채와 sns등에 노출된 삶이 자신의 상황을 더 디테일하게 조명하기 때문에 더 긴장하게 되는게 아닐까?
경계성 인간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취하기 위해서는 그 원인이나 배경에 대한 이해도 반드시 필요하다. 경계성 인간이 급증하는 이유는 크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있다. 어떤 환경에서 성장했는가 하는 환경적 요인도 중요하지만 한편으로 유전적 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 말하자면 그런 상태가 되기 쉬운 경향을 가진 사람에게 불리한 환경이라는 요인이 추가되었을 때 쉽게 발증한다는 것이다. /p117
하반기 들어 교양심리학, 심리학에 관한 책을 꽤 많이 읽었다. 그만큼 사람들의 마음에, 관계에 관심이 많아진 것일 테고 그만큼 마음이 아픈 이들이 많아진 게 아닐까? 사례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낯설지 않아 더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던 나만 바라봐. 다양하고 수많은 군상들이 엮여 살아가는 세상 나와 다른 이들을, 어쩌면 그들이 나와 많이 다르지 않음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글이었다.
경계성 인간은 위기의 시대를 잘 극복하기만 하면 반드시 회복된다. 끝나지 않은 폭풍은 없고 봄이 오지 않는 겨울은 없다. /p279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