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 위에 차려진 역사 한 숟갈 - 역사 속 한 끼 식사로 만나는 음식문화사의 모든 것
박현진 지음, 오현숙 그림 / 책들의정원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식도 '문화'다.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한국의 음식들을 조선일보 인기 칼럼으로 연재되었던 <아하! 이 음식>의 확장판을 한 권의 책으로 읽어보게 되었다.  역사와 음식이 녹아든 글, 책을 읽기도 전에 어떤 내용일지 참으로 설레었는데 마침, 추석과 겹쳤던지라 많은 음식들을 가족들과 이야기하며 읽는 재미를 주기도 했던 책이었다.  시작 글인 김치와 묵은지를 읽는데 이렇게 좋은 음식을 난 왜 멀리했던 거지?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삼국유사와 역사를 같이하는 두부, 코리안 패러독스인 막걸리, 이자겸의 반란과 굴비의 상관관계, 맛/다이어트/건강을 섭렵한 일석삼조의 도루묵, 꽃게, 홍게 등등 하나하나의 식재료에 대한 역사 속 이야기도 옛이야기처럼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듯한 음식들을 다룬 페이지도 꽤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사실 음식을 먹으면서 이 음식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됐을까?라는 기본적인 생각부터 응용된 요즘에 이르는 요리들까지 음식의 변화는 무궁무진하지만 그 기본이 되는 역사를 알고 먹는다면 더 재미있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요즘 꽤 관심 있게 읽는 책들을 엄마도 함께 읽는 중인데, 음식장사를 꽤 오래 하셨던 엄마도 식재료에 대한 역사를 다룬 <밥상 위에 차려진 역사 한 숟갈>을 흥미롭게 읽고 계신 중이기도 하다.  식사를 하며 가족들과 함께 음식의 역사에 대해 이야기해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밥상 위에 차려진 역사 한 숟갈>>은 2015년 겨울부터 시작한 조선일보 <아하! 이 음식>에서 인기 있었던 칼럼들을 '책 밥상'위에 맛깔스럽게 올려낸 노력의 결과물이다.  '그냥 홍시 맛이 나서 홍시라 생각한 것인데'라고 말한 대장금도 맛보지 못한 음식들이 잘 차려져 있다.  하지만 필자는 이러한 음식들을 직접 맛보고 썼으니 더욱 사실적인 표현들로 풀어냈으리라 생각한다.  더불어 이 음식들이 다양한 역사 에피소드와 버무려져 있으니 더욱 읽음직스럽지 아니한가라고 묻고 싶다.

이 책을 읽으면서 바로 옆에 먹거리들을 갖다 놓고 입으로 읽어도 좋다.  읽고 나서 또는 읽다가 문득 그 음식이 먹고 싶으면 당장에 시식해보아도 좋다.  이처럼 "이 책 맛있게 읽겠습니다" 하는 마음가짐으로 읽어준다면 더 없이 좋을 듯하다. /프롤로그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