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호에서는 303호 여자가 보인다
피터 스완슨 지음, 노진선 옮김 / 푸른숲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여름은 스릴러 소설을 제법 읽는 중이다.  개인적으론 즐기지 않는 장르라 부러 찾아읽는 장르가 아니기도 하지만 여름이면 몇 권은 읽어줘야 할 것 같은 그런 기분?  잘 짜인 스릴러 소설을 읽다 보면 더위는 어느새 잊고 글에 빠져들어 숨을 죽이고 읽으며 범인 추리에 빠져들게 된다.  스릴러 작가마다 스토리를 이끄는 방식이 있는데 피터 스완슨은 국내 데뷔 때부터 출간작들을 챙겨보게 되는 작가라 이번 신간인 <312호에서는 303호 여자가 보인다>의 출간 소식에 반가웠다.



"앨런은 집에 혼자 있는 오드리를 속속들이 알고 있었다.

잘 때 어떤 옷을 입는지,

양치를 얼마나 오래 하는지."


앨런은 자신이 잘 알지도 못하는 여자를 미행하느라 긴장하면서도 흥분된 상태임을 깨달았다.  대체 왜 이러는 걸까?  어쩌면 그가 오드리에게 집착한 이유는 오드리 때문이라기보다 그녀를 멀리서 훔쳐볼 수 있다는 사실 때문인지 모른다. /p128


 육촌 코빈과 6개월간 집을 바꿔 살기로 한 케이트.  5년 전 데이트 폭력으로 인한 시간들을 조금이나마 멀리하고 새로운 곳에서 공부하며 기분을 바꿔보기 위해 케이트는 보스턴으로 코빈은 런던으로 향한다.   보스턴의 부촌 비컨힐에 있는 ㄷ 자 모양의 이탈리아식 공동주택에 도착한 날, 코빈의 옆집엔 자신의 친구와 연락이 되지 않는다며 왠 여자가 찾아왔는데 그 모습을 본 케이트는 불길한 예감이 든다.  실종된 것일까? 혹시 죽었을까?  그런데 정말 303호에 살던 오드리 마셜이 살해되었다고 한다.  오드리 마셜은 코빈과 아는 사이였을까? 왜? 코빈이 떠나고 오드리 마셜이 살해되었을까?  오드리를 지켜보던 앨런, 오드리의 대학때 연인이라며 나타난 잭 루도비코, 아니면 이웃이었던 코빈? 아니면 제 3의 인물이 있는것일까?  ㄷ자 모양의 주택의 불편함은 창을 마음껏 열고 있지 못하는 정도일까?  밖에서 누군가 지켜보고 있을지 모른다는 꺼림직함.  '아파트먼트 스릴러'의 시작은 한 여자의 죽음으로 시작하고 연관이 없을 거라 생각했던 등장인물들의 이야기는 페이지를 놓지 못하게 만든다.



"있잖아, 코브, 내가 생각하기에 우리에게는 공통점이 있어." 

"그래?"

"클레어 브레넌." 헨리는 미소를 지웠고, 치아 위로 입술이 얇게 퍼졌다.

"그래, 나도 클레어를 알아." 코빈은 방금 테니스공을 삼킨 기분이었다.  /p172

오드리는 창밖을 내다봤다.  "우리 집 맞은편에 사는 남자네.  여기서도 그 집이 보여.  그러니까 아마 그 사람도 우리집을 보다가 당신을 봤겠지.  그뿐이야."

코빈은 거실 창밖으로 안뜰 건너편 건물의 불 꺼진 창문을 바라보며 물었다.  "정말 그럴까?" /p222


15년 전, 교환 학생으로 런던에서 만났던 클레어 브레넌으로 인해 그의 삶은 송두리째 바뀐다.  클레어 브레넌이라는 공통점을 갖게 된 코빈과 헨리는 클레어를 혼내주자고 모의하게 되는데, 코빈의 생각과 달리 폭주한 헨리 때문에 클레어를 죽이게 되고 만다.  이 즈음부터 헨리의 캐릭터가 부담스러워지기 시작했다.  단지 양다리를 걸쳤다는 여자를 단죄하기 위해 그랬다고 하기엔 그 정도가 지나치다고 생각됐으니까...  클레어 사건으로부터 좀 더 주도면밀하고 잔인해지기 시작하는 헨리를 보며, 이제 그만하고 싶다고 헨리에게 선언한 코빈에게 배신감을 느낀 헨리는 코빈을 그대로 놓아주었을까?  이들의 과거가 조금씩 드러나고 과거로부터 멀어지고 싶었던 코빈은 과거의 망령들로부터, 그리고 헨리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는 걸 알고 헨리를 찾기 위해 은밀히 보스턴으로 돌아온다. 



거실에서는 빌 밸런타인이 바 테이블 앞에 서서 아까 그들을 맞이할 때 들고 있었던 긴 스푼으로 유리 피처 안에 든 마티니를 휘젓고 있었다.  그의 다리 사이를 요리조리 빠져나가던 고양이 샌더스가 걸음을 멈추고 새로 온 손님들을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어머, 샌더스." 케이트가 말했다.

"샌더스가 들어왔어요?" 캐럴은 그렇게 말하고는 샌더스를 발견했다.  "이 녀석이 당신 집에도 들어가려고 했죠?  내키지 않으면 문을 열어주지 않아도 돼요.  샌더스는 이 건물 전체가 자기 집이고, 입주민이 전부 집사인 줄 안다니까요."  /p248~249

 

5년 전의 사건의 트라우마로 약간의 공황장애와 예전 남자친구인 조지 대니얼스의 망령과 함께 살아가는 케이트에게 다가오는 새로운 남자 앨런 처니. 그리고 옆집에서 일어난 살인사건과 자신과 집을 바꾼 코빈이 범인일지도 모른다는 단서들이 케이트를 점점 죄어오는 것만 같다.  관음증,  복수, 데이트 폭력, 혐오 범죄, 살인 사건...  서서히 조여오는 공포와 불안은 책장을 덮을 때까지 이 책을 손에서 놓을수 없게 한다.  책표지의 고양이가 궁금했는데, 아파트 전체를 자기 집 삼아 돌아다니는 샌더스의 활약도 깜짝 포인트.  <312호에서는 303호 여자가 보인다>  서평을 작성중인 지금, 하늘에 구멍이 난 듯 비가 쏟아지고 천둥번개가 치고 있다.  오늘 같은 날 읽기 딱! 이다.




모든 두려움은 욕망이다.

모든 욕망은 두려움이다.

나무 아래서 담배가 타고 있다.

나무 아래서 스태퍼드셔 살인마들은 공범이자 피해자를 기다린다.

모든 피해자는 공범이다.

 

_제임스 펜턴, '스태퍼드셔 살인마'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