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의 꽃시
김용택 엮음 / 마음서재 / 2018년 5월
평점 :

글자를 처음 배운 어머니들의 시 모음집 <엄마의 꽃시>는 저마다의 사정으로 글자를 배울 수 없었던 어머니들이 글자를 배우고, 자신들의 삶을 '시'를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시 한편 한편의 사연에 담긴 어머니들의 사연은 '인생'을 담고 있어 더 깊이 있게 다가오는 시들이었다. 글을 읽고 쓰는 걸 오랜 세월 해 왔지만, 그렇다고 해서 어머니들 같은 시를 쓸 수 있을까? 라는 생각에 한 글자 한 글자 짚어가며 소리 내어 읽어보게 된다.
친구 , 김예순
오늘은 한글 공부 하는 날
선생님과 친구들의 웃음소리로
시끌벅적해지네
저녁을 저년이라 쓰고 호호호
참새를 촉새라 쓰고 하하하
고사리를 고살리라 쓰고 히히히
옆구리를 개구리로 쓰고 헤헤헤
너도 틀렸냐? 나도 틀렸다
우리 모두 틀렸으니 친구 맞구나
시인의 어머님이 시인을 만든걸까? 김용택 시인의 어머니가 하신 몇 마디의 문장들도 옮겨 적어볼 만큼 시적이었다. "시는 사람의 말을 엿듣는 것이다." 우리 어머니는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이야기는 지어낸 것이고, 노래는 진짜라고. 시는 노래입니다. /p150 아이가 한글을 익히고 단어를 읽고 문장을 읽어가는 것처럼, 어머님들의 한글 배우기도 그러하지 않았을까? 버스의 행선지를 읽고, 은행에서 입출금 전표를 직접 작성하고, 손주 손녀들의 동화책도 읽어줄 수 있는 정말 작은 행복을 좀 늦었지만 늦은 만큼 행복해하시는 어머님들의 삶을 보며 배움에 늦음이란 없음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어머님들의 시 한 편, 한 편 마다 김용택 시인이 이야기하는 김용택 시인의 코멘트들은 시 감상의 즐거움을 더해준다. 엄마와 함께 한 편씩 낭독하며 다시 읽어볼 시집이다.
호박시, 김순이
시라는 게 다 뭐꼬?
배추시 아니면 고추시
그럼 아니 아니 호박시
호박시를 한번 심어볼까?
내 평생 시라고는 종자 씨앗으로만 생각했다.
호박시를 큰 화분에 심어놓고
매일같이 시가 되어 나오라고 기도를 했다.
한 달이 지나도 시는 나오지 않고
싹이 터서 파란 두 잎이 나오더니
줄기가 뻗어나가고 꽃이 피고 호박이 열리더라
아하, 시란 놈은 이렇게 꽃이 피고
열매가 대롱대롱 매달리는 거로구나!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