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728 일
**게다가 좀 더 섬세히 따져보면, 인셀이 더욱 폭넓고 뿌리 깊은 문화적 현상의 징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말하자면 인셀은 타인이 자신을 지속적으로, 애정과 존경을 담아 우러러보길 기대하는 남성들이 가진 유해한 특권의식의 결정체다. 그리고 이들은 그런 눈길로 자신들을 추앙하지 않았거나 그렇게 하기를 거부한 사람들을 겨냥하고 심지어 파괴한다. 그런 애정과 추앙을 마땅히 받아야 한다고 믿는 특권의식이 가정폭력, 데이트폭력, 그리고 친밀관계에 있는 파트너에게 폭력을 가하는 상당수 남성들과 공유하는 특질이기도 하다는 것을 이 책에서 밝히고자 한다.
<남성 특권 / 케이트 만>
참 피곤한 놈들이다.
니가 김연아냐?
타인이 지속적으로, 애정과 존경을 담아 우러러보길 기대하려면
김연아 정도는 되야하는 거 아니냐?
대가리에 좆물만 들었나 진짜(이것은 데드풀st 틱장애 드립).
[인셀이 더욱 폭넓고 뿌리 깊은 문화적 현상의 징후라는 것]
노노!
문화는 거들 뿐.
걍 인정하자, y염색체 자체의 결함이라는 것을.
그 어떤 약품으로도 제거되지 않는 욕실 곰팡이라는 것을 인정하자.
욕실을 리모델링하지 않는 이상엔 해결이 되지 않는 곰팡이라는 것을!!
대부분의 진보적 인사들은 자본주의를 비난하지만
나는 자본주의가 좋다.
어떤 점이 좋냐면
자본주의는 질척대지 않아서 좋다.
자본주의에는 '우리가 남이가' 식의 질척댐이 없어서 좋다.
의외로 자본주의 구조에서는
바틀비st로 존버할 수 있다.
[안 하는 편을 택하는] 것처럼
적게 버는 것을 택하는 것에 대해서 그 누구도 질척대지 않는다.
"니가 1만 원을 지불했으니 나는 1만 원치 서비스를 제공한 것,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으면 돈을 더 지불해."
라고 응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좋다.
1만 원을 지불한 사람들의 질척댐을 처리할 수 있어서 좋다.
가부장제와 자본주의가 언제까지 파트너십을 유지할 수 있을까?
나의 경우 자본주의 구조에 탑승했기에 가부장제는 사뿐히 즈려밟을 수 있었다.
가부장제는 인셀처럼 밑도 끝도 없는 존경과 희생과 애정을 요구하지만
자본주의는 쿨하다.
내가 '돈 벌기 싫다'라고 하면 더 이상 구질구질하게 집착하지 않는다.
일 조금 하고, 돈 조금 벌고, 덜 쓰겠다는 나를 니들이 어쩔 건가 ㅋㅋㅋ
페미니즘 책을 읽으면 어쩔 수 없이 드는 생각은
'이 저자들은 y염색체를 고쳐서 쓸 수 있다'는 망상에 빠져있구나 하는 것.
나의 생각은
인류가 가부장제의 구조로 살아왔다는 것 자체가
망함의 증거라고 보기에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은
망함 이후의 멸종을 의연히 받아들이고
이왕 태어난 사람들은 나처럼 수신에 힘쓰시고.
더 이상 번식하지 않는 것.
말고 다른 방법은 없다는 것이나 깨닫 길.
사사키 아타루가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에서 국가의 존립이유는 번식을 위한 것이라고 하던데
ㅋㅋㅋㅋ
웃겨 죽을 뻔 했다.
무슨 철학자라는 놈이 이렇게 나이브 하냐!
번식보단 주변국가보다 더 많은 군병력 확보, 노동자 확보라면 모를까.
비겁한 인간일 수록 휴머니즘 뒤에 숨어서 개짖는 소리만 지껄여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