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이 오신 날 전 날 저녁 나는 수능만점의대생 살인자 뉴스를 클릭하게 되었다. 평소라면 그냥 제목만 읽고 저런 범죄가 있군. 역시 인간세상이야 하고 넘겼을 것인데 '왜'인지 클릭을 해서 보게 되었다. 해당 뉴스의 연관 영상으로 프로파일러 배상훈의 CRIME이 있었다. 이것이 시작이었다. 


여동생은 그것이 알고싶다류의 사건사고살인범죄를 좋아한다. 나는 좋아하지 않는다. 그런데 저 날은 '왜'인지 모르게 범죄살인 사건 이야기에서 귀를 뗄 수가 없었다. 유튜브는 휴대폰을 금방 과부하시키기 때문에 나는 팟캐스트로 듣기로 했다. 그런데 팟캐스트에는 없고 팟빵에만 있었다. 그래서 팟빵을 다운받고 회원 가입을 하고 본격적으로 한국살인자들의 면면을 살펴보았다.


수능만점의대생 살인자(2024. 5월), 5선 국회의원 아들 살인자(2023.12월), 서초동 일가족 살인사건 살인자(2015. 1월) 이런 살인자들도 있으니 가난이나 무지도 살인의 원인이 아니다. 다만 가난이나 무지라는 환경에 있는 살인자는 살인 상황에 더 많이 더 쉽게 놓인다고 볼 수 있겠다.


살인자는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태어난다. 살다가 살인을 해야 자신의 기분이 해소될 상황에 놓이게 되면 주저 없이 살인을 저지른다고 난 생각한다. 수능만점의대생 살인자와 분당 서현역 칼부림 살인자(2023.8월) 두 살인자 사이에 뭔 차이가 있겠나? 의대생도 공부 못했으면 서현역 살인자처럼 묻지 마 칼부림했을 거고 서현역 살인자도 공부 잘해서 의대 갔으면 여자친구가 자기 말 거역했다는 이유로 찔러 죽였겠지. 


뭐 따지고 보면 사람을 죽일 수 있는 능력은 긴 세월 인간의 생존 필살기였을 텐데. 영화 <듄 2>만 해도 마지막 장면은 폴(티모시 샬라메)과 로타의 일대일 살인 대결이고, 폴이 칼로 로타의 목을 땄나, 심장을 찔렀나로 끝이 나는데. 주위에는 그 살인 대결을 구경하는 사람들이 가득하고.


무예로서의 살인과 범죄로서의 살인 정도는 구분할 수 있는 분별력은 지녀야겠지만, 내 말은 천재 예술가가 자연의 섭리에 의해 태어나듯, 살인자도 자연의 섭리로 태어난다는 것이다. 이런 살인자도 같은 인간의 꼴을 하고 있기에 인권을 인정해주고 사형을 시키지 못하는 게 것이 인간의 비극이라면 비극. 


살인자로 태어나서 사람을 죽이고 무기징역으로 목숨만 건지고 사느니(물론 살인자들은 목숨이 삶의 전부이기에 만족하겠지만) 나는 살인자와 살인당하는 자 둘 중에 선택하라고 한다면 후자를 택할 것이다. 남을 죽이면서까지 살아야할 가치가 있나 이 세상이?? 굳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