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봤더라. 트위터였나 아무튼 누군가가 인생은 잠들기 힘든 밤과 일어나기 힘든 아침의 연속이라고 했다. 나의 경우 잠들기 힘든 밤은 해당이 없으나 일어나기 힘든 아침은 거의 매일이다. 이 불쾌함은 신발 속에 든 작은 돌이나 어금니에 낀 미나리 같은 불쾌함이다. 그리고 인생은 이런 불쾌함들로 가득 차 있다. 신발에는 돌멩이가, 어금니에는 미나리가, 안구에는 속눈썹이, 귓구멍에는 물이, 손톱에는 가시가, 어깨에는 담이, 허리에는 디스크가, 틀어진 골반과 기타 등등.... 사소하지만 합계를 내보면 차라리 죽는 게 나을지도 모를 고통과 불쾌가 가득한 게 인간의 생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한없는 인내를 지닌 태평양도 못한 일을 산안토니오의 단출하고 정겨운 우체국이 이루어냈다. 마리오는 동이 트면 휘파람을 불며 일어났고 코도 막히는 법 없이 멀쩡했다. 그뿐만 아니라 직장에도 칼같이 출근했다. 공무원 생활을 호래 한 코스메가 아주 오래전부터 꿈꾸어온 위업을 실행에 옮길 날을 대비해 사무실 열쇠를 아예 마리오에게 맡길 정도였다. 그 위업이란 낮잠 시간이 될 때까지 늦잠을 자고, 밤잠 잘 시간까지 늘어지게 낮잠을 또다시 자고, 밤잠도 푹 자는 것이었다. 그리고 밤잠을 푹 잔 데 힘입어 난생처음 근로 의욕이란 걸 느껴보고 싶었다.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그렇군, 식당들도 아마 여섯시 반부터 영업을 할 거요. 이 나라에서는 저녁을 일찍 먹어요. 게다가 나한테는 언제든 이른 시간이란 없소. 12월 말이 내가 가장 좋아하는 시기요. 오후 네시면 해가 떨어지거든. 해가 떨어지면 잠옷을 입고 수면제를 털어넣은 다음 와인이랑 책을 가지고 침대에 들지요. 벌써 몇 년째 그렇게 살아오고 있소. 아홉시에 해가 뜨면 일어나서 씻고 커피를 마시고, 그러다 얼추 정오가 되면 그다음엔 네 시간만 견디면 되는 거요. 그 시간은 대개 그럭저럭 잘 견뎌요.
<지도와 영토 / 미셸 우엘벡>
매일 아침 잠을 푹 잔 후에 인생과 사랑에 빠진 것처럼 러블리하게 기지개를 캐면서 일어나고 싶지만 나는 인생 대신 잠과 사랑에 빠져버렸지. 밤12시 전후로 잠들고 아침 9시 전후로 일어나는 인생을 사는 사람이 되고 싶다. 그러면 나는 잠과 인생 둘 다는 사랑하는 박애주의자로 거듭날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