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루스터플레이스의 여자들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07
글로리아 네일러 지음, 이소영 옮김 / 민음사 / 2009년 4월
평점 :
"이 건물에 살고 있는 모든 가구가 가족을 부양하고, 성경을 읽으며 금요일 밤에 받는 빈약한 급료에서 얼마씩 돈을 각출하여 언젠가는 브루스터플레이스를 희미한 추억거리로 만들겠다는 꿈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 " p.142
브루스터플레이스는 정치력때문에 생겼으나 정치와는 무관하게 자라나 결국 흑인 여인들의 삶의 터전이 된 '늙은' 지역이다. 누구도 돌아보지 않는 노쇠한 곳이지만 여인들은 이곳에서 자신의 삶을 알뜰하게 꾸미며 결코 이곳을 떠날 수 없으리라는 것을 알면서도 이 곳을 떠나려는 노력으로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들어올 때부터 약간의 절망을 품고, 그리고 해가 거듭되면서 잠깐 돌아왔던 희망이 다시 절망이 되고, 그리고 그걸 다시 극복하는 과정을 파도타기처럼 반복하면서.
이 파도타기의 주인공인 일곱 여인들은 각각 다른 삶을 살아왔다. 그러나 결국 같은 자리에 모이게 되었다. 마치 '브루스터플레이스의 여자들'이라고 지정된 것처럼.
매티 마이클은 가장 처음에 등장하는 인물이자, 나중에 나오는 여인들 모두에게 어머니같은 존재이다. 그녀는 자신이 삶에서 이룩했다고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잃고 이곳에 들어왔다. 목숨과도 같았던 아들과, 그 아들때문에 가꾸었던 집. 언제 돌아올 지 모를 아들을 마음에 품고 들어온 그녀의 이야기는 자녀를 기르는 모든 어머니들의 처량한 마지막을 보는 것 같았다. 그녀 뒤를 따라 친구 에타가 등장한다. 에타는 매티와는 전혀 다른 매력을 지녔으며 그만큼 삶 역시 전혀 달랐다. 여전히 생동감있는 여인이었던 그녀는 오자마자 그곳 목사를 유혹해내지만 결국 모두와 다르지 않은 남자라는 것을 알게된다. 매티가 젊었을 때 그녀를 도와주었던 노파인 이바의 손녀 시엘 역시 이곳에 있다. 이바가 죽으며 친부모에게 가게 된 꼬마가 어떻게 자라난 것인지 그녀 역시 불행한 결혼생활을 하다 아이를 잃는 고통을 당하게 되고, 그로 인해 깊은 절망에 빠진다. 매티는 그런 그녀에게 위안을 주는 존재이다. 어릴적부터 기저귀 찬 인형만 가지고 놀다 이후에도 여전히 아기만 사랑하고 집착하게 된 코라 리 역시 어둠 속에서 살아가고 있기는 마찬가지이다. 모든 여자들 중에서도 동성애 때문에 괴로움을 당하게 된 테레사와 로레인은 심한 괴로움 속에 있다. 그녀들은 흑인 여자이면서 성적소수자로서 브루스터에서마저 배척당하기 때문이다. 조금 더 견실하고 강한 테레사와 달리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내고 싶은 마음이 강했던 로레인은 매순간 힘들어했다. 그런 그녀가 비극의 정점을 찍게 된 것은 필연적이라고 해야할까. 마지막 구역 파티에서 벽돌을 한장한장 날라서 브루스터플레이스 밖으로 내던지는 장면은 이 비극의 정화와도 같았다. 벤의 어이없는 죽음에 대한 애도이면서 동시에 로레인의 절망에 대한 위로였다. 누구도 비난의 몇 마디로 흘려보낼 수 없는.
작가는 누군가 한 인물이 흑인 여성의 삶을 대변해 낼 수 없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여러 여인을 등장시킨 것은 그러한 의도였다고. 누군가는 키스와나처럼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의지를 불태웠고, 누군가는 조용히 남을 도우면서 위로했고, 누군가는 절망했고, 누군가는 어쩔 수 없이 살아냈다. 그녀들처럼. 그리고 우리도 매일매일 그렇게 살아가고 있지 않은가. 살아내면서 조금씩조금씩 어떤 꿈은 유예하기도 하면서. 그래도 그것으로 위안을 삼아가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