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도끼다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어릴 적에 책은 '갖고 싶은 것'이었다. 내가 책을 좋아하기 때문이었긴 했지만, 그렇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책은 지금처럼 쉽게 잡히는 것이 아니었다. 우리집이 특별히 가난했던 것은 아니었지만 이것저것 책을 사기에는 자금이 부족했고, 읽고 싶지 않은 책들만 골라 모은 것 같은 전집들만 책장 한켠에 우두커니 자리잡고 있었다. 지금은 지천인 도서관도 그때는 멀리 나가야 갈 수 있었고 그나마 동네에 있다는 도서관에는 버려진 책들만 있어서 도무지 읽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았다. 그래서 어린 시절에 나는 책을 적어도 세번 이상 읽을 수밖에 없었다. 새로운 책이 손에 들어오기까지 시간이 걸렸기 때문이다. 그래서 농담으로 나는 늘 '책을 좋아하는 게 아니다. 새 책을 좋아하는 것이다.' 라고 말하고 다녔다.  

 

적어도 지금의 나는 책을 사 볼 수 있는 자금력도 있고, 동네에 도서관이 '가득'하고 심지어 책을 그냥 받는 경우까지 있다. 한 권의 책을 '세번'씩이나 읽을 이유가 사라진 것이다. 감동을 받은 책을 '두 세번' 읽고 싶어도 새로이 등장하는 책을 읽을 욕심에 미처 그렇게까지 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오죽하면 한 권의 책을 여러번 읽는 것보다 여러 권의 책을 한 번 씩 읽어야 하는 시대라는 이야기가 등장하기까지 했을까.

 

이 다독의 시대에 묵직하게 책읽기를 이야기하는 이가 있으니 바로 저자이다. 한권의 책을 깊이있게 읽어야 한다고. 그것이 나의 삶의 도끼자국을 남길 수 있도록 깊이 새겨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저자. 그는 이 책에서 자기의 삶에 자국을 남긴 책들을 하나하나 소개해 나가기 시작한다. 알랭드 보통과 밀란쿤데라, 오주석의 책들은 읽었던 책들이었는데도 이 책에서 접하니 또 새로웠다. 전에 내가 써 두었던 독후감을 읽으며 나는 어떻게 읽었었는지 보니 어떤 것들은 생각이 나고 어떤 것들은 잊혀져서 기억나지 않기도 하였다. 급하게 읽은 탓이다. 아니 급하게 읽지 않은 경우라도 책을 한번 읽어서는 가지기 힘든 통찰들이 많았다. 김훈의 책과 톨스토이,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책은 읽어보고 싶어진 책들이다. 안나 카레니나는 전부터 마음에 있었는데 늘 시간이 허락질 않았고. 그리스인 조르바는 많이 추천받았는데도 왜그런지 손에 잡히질 않았다. 이 책을 읽고나서 내 손에 쥐어진 책들이다. 그리고 이 책들을 읽으면서 책은 도끼다를 다시 또 읽게 될 것이다.

 

함께 책을 읽는 즐거움을 누리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책에 밑줄 치면서 읽는 취미가 있었던 독자라면 환영할만한 저자가 밑줄 친 내용까지 함께 읽어볼 수 있다. 삶을 변화시키는 독서, 생각을 넓혀주는 독서란 이렇게 함께 이야기하는 데서도 생기는 것일 수 있지 않을까. 한 강 한 강 읽을 때마다 이제는 잘 기억나지도 않는 대학 강의실에 앉은 듯. 그래서 내 청춘의 소소한 바람을 다시 느끼는 듯. 배움의 활기를 갖게 해 준 저자에게 감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