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미로
아리아나 프랭클린 지음, 김양희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죽음을 연구하는 여인에 이어 읽게 된 저자의 두번째 작품이다. 죽음을 연구하는 여인을 읽으면서 등장인물에게 매우 매력을 느꼈기 때문에 이번 작품도 아무런 망설임 없이 골라들었다. 현대 법의학을 다루는 작품들은 많지만 중세의 여인을 내세워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은 꽤나 까다로운 일이며 동시에 매우 흥미로운 일이기도 하다. 그것은 읽는 사람에게도 마찬가지이다. 매우 흥미롭지만 중세에 대한 배경지식이 조금은 필요하다는 뜻이다. 

죽음을 연구하는 여인을 읽을 때에는 십자군에 대해서 알고 있는 사실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그렇게 이해해서 읽었고, 이번에 읽을 때에는 시오노나나미의 십자군 이야기를 모두 읽고 난 후에 읽었기 때문에 각 인물들을 보다 흥미롭게 주시하며 읽을 수 있었다. 아키텐의 엘레오노라는 십자군에서도 유명한 여인이며 헨리왕 역시 유명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오노 나나미가 읽어낸 그들의 인간성과, 아리아나 프랭클린이 읽어 낸 그들의 인간성은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알고 읽는다면 이런 재미를 조금 더해 볼 수 있다. 

수사관 아델리아는 지난 번 사건을 해결한 후 헨리왕에 의해 억류된다. 그럭저럭 평화로운 삶을 살고 있는 그녀에게 헨리왕은 자신의 정부가 독살당한 사건을 수사하도록 아델리아에게 요청한다. 이번에는 딸 앨리까지 함께 해야하는 상황. 혼자의 몸일 때보다 더 복잡해지고 운신의 폭이 좁아졌다.  게다가 범인은 그녀의 딸을 위협하는 행동도 서슴지 않는다. 이 거대하고 보잡한 이면에는 어떤 음모가 도사리고 있는 것일까.

이번 작품은 특히나 영화로 만들어보면 어떨까 상상해 보았다. 영화속에서 실제 범인의 역할을 맡은 연기자를 살피면서 그가 범인인지 빨리 알아낼 수 있을까. 아델리아처럼 직관을 발휘해 낼 수 있을까. 이 책을 읽는다면 한번 시작부터 천천히 음미하며 노련한 킬러가 어느 장, 어느 줄에 숨어 있는지 추리해보시길 바란다. 그건 이 책의 세번째 재미가 될 것이다.. <아리아나 프랭클린, 죽음의 미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