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0 - 선조실록 - 조선엔 이순신이 있었다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0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왕조 실록을 읽으면서 가장 답답했던 부분이다. 어쩌면 이렇게 많은 유능한 인재들을 데리고 이렇게도 무능한 조정을 만들 수 있을까 싶은. 유학의 도를 따르던 사림들이 권력을 잡고 나자 타락해버린 것인지 도의라는 이름을 하고 있지만 결국 자기들 편 가르기에 불과한 싸움을 하기 시작한 것도 안타까울 뿐이다. 이런 혼란한 와중에 전쟁이라는 큰 사건을 당하면서 그 무능을 너무도 여실하게 드러내버린 것도 그러했다.

 

위기상황을 마주하고 그 능력을 발휘한 것은 초야에 묻혀 있던 선비들과 그동안 천하다고 괄시받고 살아온 민초들이었다. 그들에게 조정이 조금만 더 관심을 기울였다면 치욕적이지만은 않은 전쟁이 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더더욱 그들의 무능이 안타까웠다.

 

조선중기 전쟁을 겪은 이후 백성들은 양반이라고 떠받들었던 사람들이 정작 위기 때에는 자기들을 지켜줄 수 없는 무능력한 존재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신분의 굴레에 갇혀 굽신대기보다 스스로의 능력을 키우고 자기들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아래에서부터 정신을 차리기 시작한 것이라고 봐야할까.

 

아무튼 머리가 지혜롭지 못하면 몸이 고생한다. 국가도 마찬가지로 머리가 제 역할을 못하면 자칫 망할 수도 있다. 일본에서 전쟁을 일으킬 것인지를 가늠해야했던 관료가 제대로 판단하지 못했기 때문에 미리 대비할 기회도 놓쳐버린 그 때처럼, 현재 역시 국제 정세를 잘못 판단하면 위험을 준비할 기회를 잃어버릴지 모른다. 과거에는 조정 대신들을 백성들이 뽑아 세운 것이 아니라 어쩔 수 없었지만, 이제 국민 모두가 뽑아 세우는 정치인들인만큼 신중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