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털리 부인의 연인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6
D.H. 로렌스 지음, 이인규 옮김 / 민음사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권에서보다 2권에서는 멜러즈와 코니의 연애가 더욱 깊어지게 된다. 코니는 이제 두려울 것도 없이 그에게 빠져들기 시작한다. 멜러즈의 남성성은 갑갑하게 살아왔던 그녀의 삶을 다시 되찾아주고, 그녀에게 새로운 생기를 불어넣어준다. 두 사람이 허름한 오두막에서 맺는 친밀한 육체적 관계는 자세한 묘사 때문에 에로티시즘으로 이해될 가능성이 물론 높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반대편에 있는 클리퍼드의 거대한 집에 맞선 자연스럽고도 평화로운 공간에서 살아넘실거리는 생명체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이제 그녀는 다시 클리퍼드에게로 돌아갈 수 없는 여자가 되었다. 그를 떠날 생각은 없었던 여인이 멜러즈와 살기 위해 과감하게 클리퍼드를 떠날 결심을 하게 된다. 그것은 클리퍼드 자신으로부터의 독립일 뿐 아니라, 그녀가 몸 담아왔던 지배계급으로부터의 분리, 산업사회와의 분리를 의미한다. 그리고 어쩌면 그런 선택 때문에 베네치아에서 들었던 경고처럼 사회 모두가 달려들어 그녀를 사장시켜버리려고 할 지도 모른다.  

 

로렌스는 이 두 사람을 통해 당시 사회가 건강한 삶을 잃어버리고, 돈에 얽매인 채로 삶을 버리는 데에 익숙해져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지배계급을 위해 노동을 착취당하는 이유를 단지 노동자가 돈애 얽매였기 때문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멜러즈는 작은 돈으로도 충분히 행복할 수 있으니 그렇게 아둥바둥 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지만,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노동에 걸맞은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지적하지 않는다. 물론 산업을 소유한 자들의 위선과 기계적이고 비인간적인 행태에 대한 비판 역시 가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해서 그저 혀를 끌끌 차는 정도일 뿐 그다지 큰 저항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역시 그 시대에 살아온 사람이 넘을 수 없는 벽이었나 하는 생각도 든다. 산업사회에 대항한 그의 자연주의가 보다 분명한 메세지로 다가오지 못하는 이유는 어쩌면 약간은 미지근한 그 태도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많은 오해속에 있지만, 인물의 성격과 심리를 표현해 내는 작가의 필력에는 늘 감탄하게 된다. 인물의 내면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에 대한 섬세한 표현들을 통해 독자들은 그가 만들어 낸 인물들의 숨소리까지 듣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