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톨스토이, 도덕에 미치다 - 톨스토이와 안나 카레니나, 그리고 인생
석영중 지음 / 예담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인문서를 이렇게 술술 읽어보기는 오랜만이다. 시작부터 저자의 글솜씨에 즐거워하면서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톨스토이의 도덕론이라는 것에 대해서 알아가는 즐거움도 더해지기 시작했다. 다 읽고 난 지금은 좋은 저자를 만나게 된 것에 또 즐거움을 얻게 되었다.
톨스토이의 앞에 달리는 수식어는 '대문호'이다. 훗날 예술이 사라져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던 그에게는 정말로 안타까운 칭호이겠지만. 그래서 사람들은 또 안타깝겠지만 그가 '대문호'인 것은 사실이다. 누가 그토록 섬세한 표현으로 삶을 통찰하는 글을 써 낼 수 있겠는가. 하지만 그의 글들이 끊임없이 가르치고 있는 것이 그의 어설픈 도덕론이라는 데 미치면 사실 약간 씁쓸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그토록 대단한 석학의 도덕론이 아무리 생각해도 어설퍼 보이는 것은 너무나도 뻔한 결론이기 때문이다. 일을 할 것. 농촌에 살것. 몸에 좋지 않은 술과 담배를 하지 말 것. 등등. 그가 대단한 것은 그의 도덕론 자체라기보다는 그러한 무지막지 하고도 때로는 경악할만큼 극단적인 도덕률에 대해 그가 반론의 여지 없는 설득력을 갖춘 글을 써 냈다는 점일 것이다. 그리고 그가 이러한 도덕률을 실행하기 위해 꽤나 노력했다는 점. 그것 정도일까.
젊을 때부터 성욕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내기 힘들어했던 그. 감수성이 예민하여 자신의 삶을 끊임없이 고민했던 그가 선택한 말년의 삶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누구나 죽음 앞에서 두려움을 갖는다. 하지만 그러한 두려움을 죽기 한참 전부터 마치 내일 죽을 것처럼 가지고 살아가지는 않는다. 그러나 먼 훗날의 죽음일지라도 그것을 당장 내일의 일처럼 두려워한 그는 아마도 그 두려움을 떨치기 위해서 삶을 포기해버릴까하는 극단적인 생각까지도 하게 된 것이 아니었을까. 그리고 그래서 더더욱 삶에 집착한 것이 아니었을지. 그리고 그토록 성욕에 대해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했던 것이 아니었을지. 결국 그가 부딪친 딜레마는 자신의 육신을 부정할 수 없음에도 그것을 부정하고 앞으로 나아가려했던 모든 인간의 딜레마가 아니었을지. 한편으로 그의 그 딜레마를 극복하고자했던 치열함에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톨스토이의 소설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또 이 겨울에 따뜻한 방 한 구석에서 인문서를 술술 읽고 싶은 사람이라면 추천할 만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