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자가 존재에게 말한다. 나는 너의 뒤에서 너를 늘 완벽하게 만들어주었고, 늘 너를 따라다녔으며 때로 밟히는 희생도 마다하지 않았다고. 그런데 너는 단 한번도 나에게 감사한 적이 없다고. 너의 영광은 나의 것이었고, 너의 행복 역시 나의 것이었는데 너는 빛을 향해 있을 뿐 어두운 내 모습에 대해서는 고려조차 하지 않았다고. 나는 이제 너의 영광과 행복을 모두 앗아버리겠다고 그림자 없는 너의 존재란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너의 추락을 통해 보여주겠다고. 늘 빛나는 사람이었던 니콜라 파브리에게 보내는 에드워드 램의 차가운 복수 속에서 나는 그림자가 존재에게 건네는 이 소리없는 외침을 들었다. 처음 만났을 때부터 에드워드는 니콜라에게서 반짝임을 보았고, 그래서 그를 사랑하기 시작했으며, 그렇기 때문에 격하게 질투했다. 에드워드는 자신이 니콜라를 완성했다고 생각했다. 그 역시 그것을 알면서 외면하고 있을 뿐이라는 생각은 독자가 판단하기 나름이겠지만. 철저히 램의 입장에서 서술되는 글을 읽으면서 니콜라가 정말로 그를 그토록 무시했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어렵다. 램처럼 질투와 복수심에 사로잡힌데다 자기 존재에 대해 부정적인 인물은 당연히 상대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울테니까. 그러나 니콜라가 곤경에 처했을때 주변의 사람들 특히, 피터나 파르망티에가 보여주는 반응을 살피자면 니콜라는 램이 설명하는 것처럼 그렇게 주변을 외면하는 사람은 아니었을지도 모른다. 그의 자의식이 남들보다 좀 더 강했을뿐. 그러나 램에게는 이러한 사실 역시 아무런 위로가 되지 않을 터이다. 그림자였던 그가 존재에게 무기를 들도록 만든 원동력이 다름아닌 사랑의 복수였기 때문이다. 에드워드는 야스미나를 사랑했다. 하지만 니콜라 역시 사랑했다. 그가 복수의 수레바퀴를 돌리면서 자신을 향해 불안감을 감추지 못한 이유는 그가 지독한 복수심에 불타고 있으면서도 니콜라에 대한 증오에 빛나는 애정을 간직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그는 복수를 시작하기 전에 여러번 니콜라의 손길을 기다렸다. 그가 자신을 열렬히 환영했다면, 그가 자신의 가치를 알아봐 주었다면, 그렇다면 그는 복수를 실행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고 자신에게 물어가면서. 니콜라가 야스미나에 대해 고백했다면 용서했을지 모른다는 생각에 앞서 자신을 알아봐줬더라면이라는 단서를 붙이는 램은 이미 스스로 니콜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니콜라의 죽음 이후 에드워드는 어윈 브라운을 찾아낸다. 그리고 이제 자신이 발굴해 낸 작가 어윈 브라운의 그림자가 될 것이다. 이제는 존재가 희미하니 그림자의 가치가 더욱 빛날지도 모른다. 니콜라의 부재로 힘들었던 에드워드의 해방은 이렇게 새로운 존재의 탄생으로 결말지어진다. 스스로 존재가 되지 못하고 그림자를 자처하는 램의 행복한 뒷모습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쓸쓸해보이는 것은 아마도 그가 결국은 존재로 남지 못한 탓일 터이다. 편집된 죽음은 추리 소설이지만 에드워드 램의 심리를 중심으로 서술되어있다. 역자도 말했지만 그래서 심리소설에 더 가까울지도 모르겠다. 심리 추리 소설쯤 되려나. 그래서 추리 소설이 갖는 사건의 견고함과 심리 소설에서 얻을 수 있는 인간 본성의 이해를 모두 맛볼 수 있다. 책을 무기로 한 에드워드의 복수가 치밀하면 치밀할 수록. 그가 갖는 증오심과 복수심의 칼날이 다져지면 다져질 수록 독자들은 긴장하게 된다. 나는 니콜라가 결백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면서도 (야스미나를 죽게 한 책임은 있겠지만 사건의 진실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어쩐지 이 복수가 성공하기를 바라는 마음까지 들었다. ^^ 오랜만에 즐거운 책읽기. 생각하는 책읽기를 가능하게 해준 작가에게 감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