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를 위한 감정코칭 - 존 가트맨.최성애 박사의
존 가트맨.최성애.조벽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감정코칭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은 아이가 돌이 지나면서 점차 자기 의견이 생기기 시작하고나서 가지게 된 육아불안때문이었다. 아이의 문제 상황을 내가 어떻게 대처해야하는 것인지 알 수 없다는 막연한 불안감이랄까. 그래서 비디오로 내 아이를 위한 사랑의 기술을 보게 되었고, 거기에서 처음 배우게 된 기법이 감정코칭기법이다. 아이의 기질과 마찬가지로 아이를 대하는 부모의 양육방식이 있다는 것. 그리고 어떤 양육 방식은 아이를 다치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을 그 비디오를 통해 보았고 많은 깨달음도 얻었다. 감정코칭기법의 일반적인 내용도 그 때 알게 되었지만 사실 그보다도 아이에게 감정이 중요하다는 것. 행동은 때로 용납하기 힘들때가 있지만, 감정은 대개는 용납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된 것 만으로도 나에게는 굉장히 유용했다. 물론 감정은 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수용의 기준은 감정과 행동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대개 부정적 행동에서 짐작되는 감정은 부정적으로 인식된다. 분노, 짜증, 불안, 불쾌 등등. 그러나 이들이 없어도 되는 감정이 아니며, 또한 없을 수 있는 감정도 아니다. 아이가 머리를 벽에 박아대면서 분노를 표현할 때 부모는 벽에 박아대는 행동을 용납할 수 없으니 분노역시 용납하지 않는다. 감정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아이의 행동은 과격해지고 절대로 용납할 수 없는 행동인만큼 부모는 아이를 억압하거나 방임해버리게 된다. 이 악순환은 감정과 행동을 별개로 구별하여 수용하지 않으면 절대 부모의 이성으로 인정할 수 없는 문제이다. 그래서 이 깨달음만으로도 아이의 문제 상황을 바라보는 부모의 시각은 많이 변화하게 된다. 

이렇게 감정코칭이 좋다는 것을 알게 된 다음에도 바로 감정코칭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굉장히 어려운 기법이어서라기 보다는 적용할 시기와 방법을 그때그때 판단하는 훈련이 아직 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력하다보면 얼마든지 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 대개는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고 공감해주는 시도를 하는 것만으로 아이는 안정감을 되찾고 부모와의 대화를 받아들인다. 책에서 감정의 수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그때문이다. 자신의 감정이 온전히 받아들여졌다는 것을 알면 아이는 부모를 자기편으로 인정하고 부모와의 대화에서 해결책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놀라울 정도로 순순하게 진행시켜나간다. 몇 분 전만해도 분노로 가득찼던 아이가 스스로 해결책을 말하게 되면 어느 부모가 놀라지 않을 수 있을까. 게다가 소리 지르지 않아도 된다니, 그리고 덤으로 아이의 성숙한 사고까지 발견하게 된다니. (아이들의 해결책은 미숙할때도 있지만 적절할 때도 많다. 나의 경우 아이가 적절한 방식을 찾아내면 매우 뿌듯해졌다^^)

 이 책은 감정코칭을 알고 있는 엄마들에게는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가지고 있으면서 때때로 책에 나와있는 실행방법을 확인하고, 개별 상황에서 어떤 판단을 내려야할지도 고려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감정코칭을 처음 대하는 엄마라면 나처럼 아이의 감정과 행동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을 먼저 생각해보게 해 줄 것이다. 그리고 곧 감정코칭을 실행해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감정코칭은 아이를 위해 엄마가 희생하는 방법이 아니다. 아이와 엄마가 함께 진행하며 함께 즐거워지는 방법이다. 감정을 잘 수용받은 아이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읽어줄 수 있게 된다. 아이가 오히려 엄마를 위로하기까지 한다. 아이에게서 위로의 말을 듣는 엄마는 그 자체만으로 얼마나 행복할까. 아이를 사랑하는 모든 엄마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