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의 영혼 뫼비우스 서재
막심 샤탕 지음, 이세진 옮김 / 노블마인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장 크리스토프 그랑제의 소설을 밤을 새워가면서 읽었다. 그렇기 때문에 소설의 제목이 흥미롭기도 했지만, 저자에 대한 설명 중에 그의 이름이 있다는 것만으로 이 소설을 선택하기에는 충분했다. 장 크리스토프 그랑제가 보여주었던 감정이 거세된 서술을 이 작품에서도 볼 수 있을까. 다음 장을 자꾸 넘기게 만드는 매혹을 느낄 수 있을까. 이러한 기대에 가득 차서 첫장을 넘기기 시작했다. 

잔인한 연쇄살인범이 엘리트 수사관의 추리 속에 속성으로 잡히고 나서야 본격적인 이야기는 시작된다. 살인범은 분명히 죽었는데, 이미 땅에 묻힌 그가 다시 살아나서 범죄를 저지르는 것이 아니라면 도저히 가능하지 않은 새로운 사건이 1년 후 다시 시작된다. 그는 과연 그가 신봉하던 흑마술의 도움을 받은 걸까. 그가 가진 악의 영혼이 어딘가에 살아남아있다면 어떻게 그것은 가능한 것일까. 너무나도 부족한 단서와 시간 앞에 고군 분투하는 수사관 브롤린과 1년전 겨우 죽음의 문턱에서 살아남은 생명력 넘치는 여인 줄리에트의 모습을 지켜보면서 독자들은 그들을 응원하기도 하고 그들을 안타까워하게 만들기도 한다.

모든 사건이 해결되고 난 후 마음 속에 남는 의문은 이것이다. 악에 영혼이 있다면 그 시작점은 어디일까. 하는. 자기의 부모와 따로 떨어져서 불행한 삶을 살아왔던 청년이 마치 악의 화신처럼 변해버린 현실앞에서 수사관들의 의문은 이것이다. 그의 불행한 삶을 이끌었던 장본인인 그의 양부모는 또 왜 그토록 악하게 되었을까. 결국 그 악의 근원은 어디인가. 어쩌면 모든 범죄수사의 끝에서 누구나 이런 의문을 갖게 되지 않을까 싶다. 왜 그렇게 되었을까. 그의 고통과 불행은 누구의 책임인가. 그 책임을 억울한 죽음이 대신할 수 없었다면 과연 누가 감당해야 했던 것일까. 어디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걸까. 사건의 잔혹함보다 그 사건을 만들어내는 '악'의 배후가 더욱 잔인하게 느껴졌던 소설이었다. 아마도 모든 범죄의 끝에서 당분간 느끼게 될 의문과 괴로움이 될 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