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계공 시모다
리처드 바크 지음, 박중서 옮김 / 북스토리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쓰기 싫었지만 쓰게 된 책
갈매기의 꿈으로 나에게는 청소년기부터 유명한 이름인 리처드 바크는 내 기대와 전혀 다른 태도로 서문을 시작하고 있었다. 웬만하면 글을 쓰지 않으려 했다는 것. 그런데 머릿속에 드는 생각을 기록하지 않을 도리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쓰게 된 책이라는 것. 한편으로는 그야말로 글쟁이의 말이구나 싶고. 한편으로는 글쟁이가 뭐 이렇게 글을 쓰기 싫어하나 싶기도 하고. 어떤 측면이든지간에 누군가가 머릿속에 이렇게 근사한 소설을 쓸 수 있는 원천을 불현듯 떠오르게 해 준다면 그저 부러울 뿐이다.
3달러로 갖게 되는 자유
리처드는 사람들을 비행기에 태워주는 일을 하고 있다. 한번에 3달러다. 시모다 역시 한번에 3달러를 받고 사람들을 태워준다. 그리고 덤으로 걸어다니지 못하는 사람을 걸을 수 있게 만들어 주기도 한다.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실현하는 능력이 메시아의 것이라면 시모다는 메시아다. 그리고 그의 가르침을 통해 이 능력을 습득한 리처드 역시 메시아이다. 하지만 메시아는 기적을 가져오는 사람이 아니다. 기적이란 부수적인 것일 뿐이다.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들이 자신의 말을 듣는 것이다. 시모다는 여기에 실패했고, 그때문에 좌절했다. 그런 그에게 리처드가 말한다. 당신의 행복은 남들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있는 것이냐고. 시모다가 리처드로부터 얻은 큰 자유의 하나는 바로 이 질문에 있지 않았을까. 누군가가 우리를 행복하게 해준다는 착각. 스스로 자유롭지 않다면 행복하지 않을것이고, 우리가 행복하기 위해서 우리를 꺾어 내는 것이 아니라 진정 우리가 원하는 대로 한다면 그렇다면 오히려 자연스럽게 모든 일은 순리대로 될 것이라는 .
"만약 황금률이 '남들이 원하는 바대로 남들에게 행하라'로 바뀐다한들, 우리는 남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 턱이 없고, 오로지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만 아느니라. 중략 '네가 진정으로 남들에게 행하고 싶은 대로 남들에게 행하라.'" p.198
리처드는 이러한 답변으로 수업을 다 받게 된다. 그가 메시아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그가 이 책을 쓰고, 그래서 사람들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이해하게 만들고, 또 그렇게 살도록 하려는 의도를 전달하고자 했다면 메시아로서 성공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정답은 없다. 메시아 핸드북의 마지막은 이렇게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 / 나와 있는 / 모든 것은 / 틀릴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