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픽처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조동섭 옮김 / 밝은세상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진정한  '나'는 누구인가. 

 월스트리트의 변호사 '벤'. 그는 사진가가 되고 싶었다. 그래서 자신의 삶에 만족할 수 없었다. 그런 그에게 친구 빌이 말한다.  

"인생은 지금 이대로가 전부야. 자네가 현재의 처지를 싫어하면, 결국 모든 걸 잃게 돼. 내가 장담하는데 자네가 지금 가진 걸 모두 잃게 된다면 아마도 필사적으로 되찾고 싶을 거야. 세상 일이란 게 늘 그러니까." p.119 

 곧이어 벤이 자기가 게리를 죽이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알았다면. 몇 시간 후에는 그가 알약들을 삼키지 않으면 버텨나갈 수 없을만큼 신물 나 했던 월스트리트의 삶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그는 좀 더 신중하게 움직일 수 있었을까. 그러나 그는 미래를 알 수 있는 전지전능한 인물도 아니었고, 연이은 자기의 불행한 현실에 태연할 수 있을만큼 마음의 여유를 갖지도 못한 상태였다. 그는 충동대로 부딪쳤고. 그래서 잃어버렸다. 자신의 삶을.  

 "네가 알던 삶은 이제 다시는 돌아오지 않아." p.136 

 게리로서의 삶이 시작될 때. 한 삶이 마감되고 다른 삶이 시작될 때 그런 것처럼 진통은 꽤나 고통스러운 것이었다. 게리는 자신의 삶에 혼자서 조촐한 이별의 말을 읊조려야 했고, 사랑하는 아이들을 다시는 볼 수 없다는 괴로움에 몸부림쳐야 했다. 아내는 얼마 뒤 벌어질 남편의 죽음을 모른 채 그를 냉대했다. 그녀와의 마지막은 닫힌 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게리의 사체를 수습하는 일은 변호사생활을 하면서 먹었던 알약들의 숫자 정도는 우스울 정도로 많은 알약들을 필요로 했다. 이제. 게리의 삶이 시작된다.  

 재능. 그 허무한 우연  

"딱 맞는 순간은 절대로 예쑬가 스스로 고를 수 없으며, 그저 우연히 다가올 뿐이다. 사진가는 손가락이 제때에 셔터를 누르도록 하느님께 기도할 수밖에 없다.' p.103-104

사진가에게 우연이 재능이라면 벤이 재능의 실체는 무엇이었을까. 사람들의 눈은 냉정해서, 사진작가가 인위적으로 만든 것인지 아닌지를 꼬집어낸다. 인위적이거나 기교가 들어 가 있을 때 사람들은 '잘 찍었다'고는 말하지만 '대단하다'고는 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진가가 팔리려면 '잘 찍는 것'으로는 안된다. '대단'하거나, '천재'여야 한다. 천재라는 말은 단순하지만 명쾌하다. 하늘에서 내려야하는 것이 아닌가.  

'벤'이 '게리'로서의 삶을 시작하면서 그의 거짓말은 어느 새 '게리'의 것으로 채워져 있었다. 과연 이제 그는 '벤'인가 '게리'인가. '게리'로서의 '벤'이 만나게 된 그 많은 우연들과, 그 때문에 시작된 '천재 작가'라는 명성은 과연 '벤'의 것인가, '게리'의 것인가. 진짜 '게리'가 그 자리에 있었다면 '벤'처럼 못 찍었을까. 아니 원래 그 우연은 '게리'에게 예정되어 있었던 것은 아닐까. 이제 '앤드류 타벨'이 된 '벤'이 그 우연을 만나지 못하고 다시 여러 잡지사에 일거리를 구하는 처지가 되었을 때 다시 이 의심이 고개를 든다. 과연 천재작가 그는 '벤'인가 '게리'인가. 

 도플갱어, 삶은 반복된다.  

"그 즉시 얼른 네 장을 더 인화했다. 모두 앞서의 유령이 나왔다. 이승 너머에 숨은 다른 삶이, 우리 모두의 눈에 보이지 않는 또 다른 자아가 있는 듯 헀다." p.104

애초에 그의 아내 베스가 별 볼 일 없는 사진작가 게리와 부적절한 관계가 된 데에는 그 두 사람의 처지가 비슷한 데에도 이유가 있었다. 그들은 서로 위로할 수 있었다. 아내는 자신이 작가가 되지 못하는 이유가 그녀의 재능에 있는 것이 아니라고 믿었을테고, 게리의 허풍은 그러한 그녀의 공허함을 채워주었을 것이다. 그녀가 남편인 벤에게 게리가 적어도 그 꿈을 포기하지 않고 살아가는 인물이라고 옹호했을 때 그녀 역시 그런 삶을 살고 있음을 내비친 것이다. 이제 앤드류가 된 벤은 한적한 곳에서 아들 잭을 키우며 도시로 일하러 가는 아내를 배웅한다. 사진가의 꿈은 놓치지 않고 있지만 아이를 키우며, 집안을 돌보며, 어디에서도 알아주지 않는 사진을 찍으며 살아가는 삶은 그의 전 아내 베스의 것과 같은 모양이다.

그가 원하지 않았던 월스트리트의 삶. 그가 가졌던 것이지만 다시 돌아오지 않을 삶의 자리는 이제 그의 전 아내 '베스'의 새 남편이 된 앨리엇의 차지가 되었다. 그와 벤의 다른 점이라면 그는 자신의 삶에 만족하고 있으며, 그 나름의 예술가적 취향을 위해 갤러리를 열 정도의 여유도 있다는 점이다. 게리는. 그가 죽음 이후에 꿈꾸었던 명성을 얻었다. 그가 다닐 때에는 그를 모르는 척 했던 대학이었지만, 그의 죽음 이후에 만들어 진 장학금을 이유로 대학에서는 그를 영원히 기억할 것이다.  

 누군가는 모두가 부러워하지만 스스로는 만족하지 못하는 삶을 산다. 또 누군가는 아무도 부러워하지 않지만 성취하지 못한 꿈이더라도 놓치지 않고 산다. 또 운이 좋은 누구가는 스스로 하고 싶은 일을 이루어 모두가 부러워하는 삶을 산다. 그리고 지금 여기. 그 모든 삶을 다 지나가 본 남자 '벤'이 서 있다. 그에게 물어보고 싶다. 당신은 어떤 삶으로 돌아가고 싶은가. 진정 당신이라고 여겨졌던 때는 과연 언제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