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일간의 세계 일주 - 쥘 베른 컬렉션 04 쥘 베른 걸작선 (쥘 베른 컬렉션) 4
쥘 베른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림원 / 2003년 8월
평점 :
절판


100년전의 대중소설을 평하기는 참 쉽지 않은 일이다. 현재의 가치 기준을 들이대고 재미있다 재미없다를 논하기는 아무래도 우습다. 그렇다고 순수문학적으로 어쩌고 저쩌고라고 하기도 그렇다. 역사적인 비판, 사회적인 비판, 아무래도 다 우습다.

다행히 나는 이 글을 읽으면서 나 자신을 1900년대의, 일반적으로 신문을 사서 읽을만한 서양 사람에 가깝게 동일화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랬기에 이 이야기는 재미있었다.

쥘베른, 을 비롯한 이 시대 사람들의 이야기들 속에는 씩씩한 개척정신이 담겨있다. 미국인이 쓴 소설이든, 프랑스인이 쓴 소설이든 말이다. 세상에는 헤쳐나가지 못할 어려움이란 없다고 씩씩하게 외치는 작가의 목소리가 들리는 듯 하다.

뭐 그 외침이 참이든 거짓이든 간에, 그런 류의 씩씩함은 독자까지 활기차게 만든다. 그래서 8시간만에 세계일주도 가능해질법한 현대지만, 80일간의 세계일주를 읽으면 재미가 있고, 그리고 건강한 활력을 느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통령과 기생충 - 엽기의학탐정소설
서민 지음 / 청년의사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1. 나는 이 소설을 재밌게 읽었다. 큭큭거리기도 하고, 골때린다고 생각하기도 하고. 엽기발랄이라는 형용사도 나름대로 어울린다. 

2. 전혀 모르지만 흥미있는 소재에 대해 재밌게 쓴 책을 읽고나면, 여행이라도 갔다가 온 기분이 된다. 대통령과 기생충은 그 범주에 넣어줘도 괜찮을만큼 재밌는 이야기다.

3. 이 책의 상상력은 만화적이다. 글도 만화적이다. 만약에 표지에 딴지 총수의 소갯말이 실리지 않았다면, 책을 읽다가 실소를 뿜으며 집어던졌을지도 모른다. (유치하다는 뜻이다. 딴지 총수가 소갯말을 써놨기에, 엽기발랄한 농담 한 권을 읽는 생각으로 보기 시작했다.) 하지만 만약에 이 책이 처음부터 만화였다면 그다지 재미가 없었을 것 같다. 만화가 아니라 소설이기 때문에 더 재미있을 수 있는 책이라고 느꼈다. (만화가 만화같으면 재미가 없을 수도 있다. 소설이 만화 같아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전문서적이 만화같으면 재미가 있다.)

4. 아무튼지 글쓴이의 성의가 느껴지지 않을 때는 높은 점수를 주기 망설여진다. (그리고 그런 책이 잘 팔리고 있다는 사실이 속쓰리다. -_-) 소설 중간중간에 맥락없이 나오는 딴지일보 성향의 현실 비평이 눈에 거슬리기도 한다. 별 네 개와 세 개 사이를 왔다갔다 했으나 결국 별 세 개로 낙점. 근처 책 대여점에 있다면 빌려서 보라고 권하는 데에는 주저함이 없다. 사서 읽으라고는 하고 싶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식자들이 쉽게 써도 될 말을 어렵게 쓰는 것을 싫어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신화' 그리고 '담론'이라는 표현이다. 굉장히 뽀대있어 보이고, 뭔가 있어보이는 표현이다. 그리고 이 말 자체에 대해 열심히 해설해서 책 몇 권을 쓰는 사람도 있는 것 같았다. 그런 책을 예전에 두어 권 읽은 것도 같고 읽지 않은 것도 같다. 아무튼 별 대단한 뜻이 아니라는 말로만 기억에 남아있다.

그런데 나 스스로도 무식자와 식자의 이분법으로 나누자면 식자에 속하는지라, 가끔 그 싫은 말도 쓰고 싶을 때가 있다. 금번 탄핵 어쩌고 사태를 보면서 '신화'라는 말을 쓰고 싶어진 것이다.

2. 

쓰고 싶은 대상은 바로 '민주주의'다. 민주주의는 신화 투성이인 것 같다. 검증된 적은 없으되 남들의 입과 입을 통해서 '좋다'라고만 알려진, 바로 그 민주주의다.

이런 젠장. 쓰다보니 내가 소위 '신화'라는 표현이 뭘 의미하는지 잘 모르는 것 같다. -_-; 아무튼 하고 싶은 이야기는 신화라는 표현이 아니라 민주주의에 대해서다.

민주주의는 좋은 것인가? 여기에 기꺼이 좋다! 라고 대답하는 사람은 국민윤리 교육을 건실하게 받은 사람이다. 보수적으로 국민윤리를 열심히 공부했다면, 민주주의는 공산주의의 반댓말이기에 좋다고 생각할 것이다. 진보적으로 열심히 공부한 사람이라면, 민주주의는 독재의 반댓말이기 때문에 좋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마치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가 동전의 양면인 것과 같다고 본다.)

하지만 나는 민주주의가 과연 좋은 것인지가 의심스럽다.

3.

우리나라의 민주주의는 서양에서 베껴왔다. 서양 역사 몇백 년 동안, 임금 모가지도 자르고, 백성들 데모하다가 피도 흘리고, 탈출도 하고 혁명도 하고 쿠데타도 하고 전쟁도 하고, 그러면서 발전시켜온 온 것이다. 그것을 우리는 베껴왔다.

베끼기의 문제점은 맥락을 모른다는 것이다. 로뎅-오뎅-덴뿌라. 덴뿌라라 이거다. 요는 한국 사회의 맥락, 의식, 전통, 역사, 관념, 기타 등등과 민주주의는 전혀 혼합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

비슷한 이야기인지 모르겠지만, 나는 민주주의가 좋은 제도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글쎄, 서양에서는 좋은 제도일 수도 있지.

민주주의의 대안은 뭐냐고? 글쎄말이다. 대안이 뭔지 안다면 난 이미 국회에 나갔을꺼다. 대통령 탄핵하고서 그 대안대로 하려고 하고 있겠지. 아니면 쿠데타를 일으켰든지. ㅋㅋ

4.

뭐 아무튼 동양이고 서양이고간에, 우리가 기대하는 민주주의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 민주를 주장하는 세상 어디를 가더라도, 존재하는 것은 과두정치 뿐이다. 

쓰면서 생각하지만, 확실히 나는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이 아니라 정치를 싫어하는 사람에 가까운 것 같다. (뭐 그렇지만 아는 건 역시 없다. 심지어 나는 민주당과 열린 우리당의 차이도 오늘에야 알았다. -_- 내일 까먹을 가능성이 높다. 이런 절차를 이미 과거에 몇 번 밟았는지도 잘 모르겠다. -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괜찮은 직장의 괜찮은 부서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K는 어느 주말에 헬스클럽에서 달리기를 하다가, 창밖에 떠다니는 비누방울을 보는 순간 자기의 가슴에 구멍이 뚫어져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순간 직장인 K는 하늘이 무너지는 것처럼 놀랐다. 고개를 가만히 숙여서 가슴을 내려다 보았는데, 가슴에는 틀림없기 구멍이 뻥 뚫어져 있었다. 마치 대포알이 가슴을 뚫고 나가기라도 한 모양새였다.

그러고보니 어제 오늘 생긴 구멍은 아니었다. 등을 긁으려 손을 넣으면 그 손이 가슴까지 나오고, 가슴을 쓰다듬다보면 자기도 모르게 등골을 어루만질 때가 있었다. 그런데 아프지도 않고 따갑지도 않고, 또 다른 사람이 뭐라고 말할 때도 없었다. 한 마디로, 자기든 남이든 아무도 깨닫지 못하고 있었다.

아무 문제가 없기에 구멍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이제 구멍을 발견하고 보니, 그냥 넘어갈 문제가 아니었다. 지름이 한 뼘이나 되는 구멍난 가슴으로 지금까지 살아있던 것이 용한데, 그렇다고 앞으로도 계속 그렇게 살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그래서 직장인 K는 우선 유명한 대학병원으로 향했다. 하지만 접수 창구 앞에서 K는 난감해졌다. 도대체 가슴에 대포알만하게 구멍이 난 것을, 외과에서 진찰받아야 할지 내과에서 진찰받아야 할지를 알 수 없었다. 에라 모르겠다는 생각에 우선 내과 접수를 하려는데, K는 그 때 창구 아가씨를 보는 순간 소스라치게 놀랐다. 그 아가씨는 목이 깊게 패인 옷을 입고 있는데, 패인 옷 틈으로 젖무덤이 갈라질 즈음에 구멍이 하나 뻥 뚫어져 있는 것이다.

K가 넋을 잃고 아가씨의 가슴패기를 쳐다보자, 집요한 눈길을 깨달은 아가씨가 얼굴을 붉히며 K를 노려보았다. K는 얼떨결에 접수 서류를 주고는 병실로 들어갔다.

의사는 K에게 증상을 물으면서 청진기를 가슴에 가져다 대었다. K는 가슴에 뚫린 구멍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려고 했는데, 의사는 말없이 그 뚫어진 구멍 바로 위의 허공에다가 청진기를 올려놓았다. 마치 구멍이 투명한 무엇으로 메꿔져 있기라도 한 듯한 행동이었다.

K가 뭐라고 말을 하려는데 의사가 먼저, 별다른 이상이 없는데 뭐하러 병원에 왔느냐고 나무라는 투로 말했다. K는 항의를 하려고 했지만 의사는 말도 빠르고 행동도 빨라, 이상이 없다고 말을 하는 순간 이미 책상에 고개를 박고 서류를 작성하고 있었다.

순간 K는 의아한 기분이 듬과 동시에 화가 치밀어 올라, 벌떡 일어나 의사를 덮쳤다. 체구가 왜소한 의사를 깔고 앉은 K는 의사의 가운을 헤치고 와이셔츠를 북북 뜯어내었다. 의사가 비명을 지르는 것에 아랑곳없이 속옷까지 벗겨냈다. 그러고는 K는 자기 눈을 의심했다. 의사 또한 가슴에 접시만한 구멍이 뚫어져 있었다.

이 때 의사의 비명을 들은 간호사와 경비원이 문을 열고 뛰쳐들어왔다가 황당한 표정을 지었다. 환자를 가장한 괴한이, 간호사를 성추행하는 일은 간혹 있다고 하지만, 나이든 의사의 옷을 벗기는 일은 신문에서 보기에도 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의사는 K를 경찰에 넘기느냐 정신과 치료를 권하느냐를 두고 잠시 고민했다. 이 의사는 의술과 인술 양면으로 사회적 존경을 받고 있는 사람이었으며, 그만한 덕망이 있었기에 K에게 정신과 치료를 권하기로 했다. K로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어, 그날로 정신과 의사를 만나게 되었다.

- To Be Continued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Microsoft SQL Server 2000 - 전문가로 가는 지름길 1 (개발자용)
정원혁 지음 / 대림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먼저 한 마디 하자면, 초급과 왕초보는 다릅니다. SQL에 대해 하나도 모르는 분은 초급이 아니라 왕초보이며, 그 분들께는 이 책이 어려울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소한 SELECT, INSERT, 이런 명령이 뭔지 정도는 알아야, 이 책으로 효율있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의 저자는 글을 참 잘 씁니다. 문필가처럼 잘 쓴다는 말이 아닙니다. 엔지니어로서 잘 씁니다. 그의 글은 짧고 간결하며 핵심만 들어있습니다. 지루하지 않고, 장황하지 않습니다. 제가 읽어본 컴퓨터 서적 가운데, 단연 돋보이는 글솜씨입니다. 그는 이미 국내 최고 수준의 강사이지만, 아울러 최고 수준의 Technical Writer이기도 합니다.

저자의 글솜씨에 대해 너무 장황히 이야기한 감이 있습니다. 그러나 컴퓨터 관련 도서를 열 권 이상 읽은 분이라면, 특히나 번역서를 두 권 이상만 읽어본 분이라면 글솜씨가 왜 중요한지를 아실 겁니다. 그 처참한 번역들 사이에서 간결하고 정확한 문장은 정말 돋보입니다.

내용은 초급에서 중급까지 해당됩니다. Database 개발자와 관리자로서 알아야 할 개념들을 빼놓지 않고 얕게나마 다루었습니다. 또한 여기에 소개된 예제들은 실무 활용도가 높습니다. 저는 DB 전문가가 아니지만 가끔 DB를 쓸 일이 있습니다. 그러다보면 심지어는 INSERT 명령 문법을 까먹기도 하고 -_-; UPDATE 문법을 까먹기도 합니다. 조금 복잡하게 JOIN이나 서브쿼리를 쓰기라도 치면, 머리를 싸매야 합니다. 그런 때에도 이 책은 좋은 참고서가 됩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학하기에는 어렵다는 느낌이 조금 있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책과 실제 수업 교재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과 함께 www.gtu.co.kr의 온라인 강좌를 함께 공부하면 적절한 조합이 되리라고 봅니다. (개인의 의지만 있다면, 싯가 70만원대의 CTEC 교육보다 훨씬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