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은 제 이름을 부르며 운다 1
김형경 지음 / 민예원 / 2000년 4월
평점 :
절판


김형경의 새는 제이름을 부르며 운다, 는
최근 읽은 소설 가운데 가장 울림이 깊었다.
가슴속 울림이랄까, 머릿속 울림이랄까.

젊은 여자 소설가의 소설은 의식적으로 피하던 때가 있었다.
지나치게 예민한 감수성을 가지고 직업적으로 자기 자신을 고민하는 사람들,
의 의식 세계에 전염되는 것이 싫었기 때문이다.
예외를 두었다면, 한강 정도였을까.

그랬는데 지금은, 그 젊은 여자 작가들이 누구인지조차 딱히 기억나지 않는다. 조경란 정도 밖에는... --a
아련하게 떠오르는 기억으로도, 하성란이니 공지영, 전경린 같은 작가들이 병적으로 자기 자신을 고민하지는 않았던 것 같은데...

새는 제 이름을 부르며 운다, 는 어떻게 보면 후일담류의 소설이지만
자기 기만이나 환상, 자기 도취, 자기 연민 등등이 없다는 점에서
다른 후일담류들과는 구분되는 것 같다. 말하자면 대부분의 후일담들이
"우리는 386, 암울한 80년대를 온몸으로 헤쳐온 386" 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이 소설은 80년대에 대한 그런 식의 과장은 하지 않는다.
40대는 70년대에 청춘을 보냈고 50대는 60년대에 청춘을 보냈다.
그리고 30대는 80년대에 청춘을 보냈다.
누구를 막론하고, 이유를 막론하고, 수많은 사람들은 20대에 터널을 한 번
지나간다. 새는... 은 80년대에 20대를 보낸 사람들의 이야기다.

그래서 어떻게 보면 성장 소설이다.
하지만 10대 소년처럼 고뇌를 통해 새로운 단계로 한 단계 올라서는
결국에는 명랑한, 그런 성장 소설은 아니다.
세파는 그리 만만한 것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쥬라기 공원 1
마이클 크라이튼 지음, 정영목 옮김 / 김영사 / 1991년 7월
평점 :
절판


대단한 작가라는 생각을, 읽으면서보다는 지금 감상문을 쓰면서, 하게 된다.
나는 이 소설을 읽으면서, 진짜로 공룡이 조류에 가깝지 않을까, 내지는 등등의 생각을 하게 되었다,
라기 보다는 작가의 말이 다 옳은 줄 알았다. 그렇게 속았다.

멋지게 독자를 속여넘기는 것. 그 훌륭한 야부리. 바로 진정한 픽션 작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래의 여자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5
아베 코보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의 나는, 어쩌면 한없이 복잡해질 수 있는 주제들을, 무한정 단순하게 끌어내려 이해하는 버릇이 들어있다. 이것은, 정말로 단순할 수 있는 문제를 한없이 깊게 생각하던 옛날의 반작용일 수 있다.

모래의 여자는 - 뭐 여러 가지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겠지만, 가령 주인공의 일탈과 고착, 사막의 이미지 등등을 통해 삶의 한 습성에 대한 깊이있는 고찰 어쩌구 하는 식으로 이해할 수 있겠지만,

내가 이해한 방식은 간단하다. 모래속에서 모래처럼 사는 여자, 그리고 떠돌아다니다가 모래를 취미로 삼게 되는 남자. -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199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아무래도 출판사의 상혼(또는 베르나르베르베르의 과시욕 내지는...)이 물씬 묻어난다는 느낌이다.
이 책은 백과사전이 아니라 "베르나르베르베르의 창작노트" 정도의 제목이 붙어야 마땅할 책이다.  그렇게 생각하고 손에 잡히는 쪽을 골라읽으면 읽을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혈기린외전 3 - 협객불기의
좌백 지음 / 시공사 / 2003년 6월
평점 :
품절


좌백의 기나긴 장정 끝에 나온 역작.
1, 2부만으로도 한국 무협의 획을 그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획은 이미 몇 년 전에 그어진 획이다.
지금 시점에서 작품 자체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겠지만
(이런 표현이 어색하지 않다면) 무협 문학사에서의 비중은 아무래도
몇 년이 지난 만큼 흐려졌다고 하겠다.

오랫동안 기다렸던 3부는, 1-2부에 비해 별로였다.
무엇보다도 주인공 왕일 - 혈기린의 카리스마가 예전보다 떨어졌다.

왕일의 카리스마는 1부에서가 압권이었다.
무공도 모르는 주제에 산 하나를 완전히 제압하는 광경이란...
무협이 재미있기 위해서 주인공은 굳이 천하제일 고수일 필요가 없다.

메시지라는 측면에서도 아무래도 1부만큼 강렬한 힘을 주지는 못한 것 같다는 느낌이다... (이것은 내가 열심히 읽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겠다.)

그러나 아무튼, 출퇴근 지하철 시간을 즐겁게 해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