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버 렛미고 - Never Let Me Go
영화
평점 :
상영종료


 

헤일셤, 코티지, 그리고 complete (완성 혹은 죽음)

 

 캐시, 토미, 그리고 루스의 삶은 이 세 단계로 너무나 담담하게 그려져서, 자신들이 장기를 빼앗기며 살아가는(혹은 죽어가는) 그들의 삶은 더욱 애잔하다. 바닷가 모래 위에 좌초된 배처럼 주어진 운명에서 벗어나려 하지도 벗어날 수도 없어 보이는 그들은 기존의 다른 영화의 복제인간처럼 삶을 투쟁하거나 운명을 바꾸려고 하지 않고, 주어진 삶을 받아들이고 그 안에 있는 소중한 것을 깊이 있게 바라본다.

 

아마도 그들이 성찰하는 삶에서 그들을 의미있게 하는 것은 사랑밖에 없을 것이다. 헤일셤이라는 기숙학교에서 함께 성장하며 길러진 소중한 감정들은 코티지에서 육체적으로 어긋하며 갈등하지만 결국 죽기전에 사랑으로 끝맺는다. 토미와 루스의 죽음이후, 이제 도너로써 죽음만을 기다려야 하는 캐시의 나래이션을 통해서 감독은 클론으로 태어나 도너로써의 그들의 짧지만 제한적 삶을 살아야 했지만 적어도 진정한 사랑으로 나아가는 그들의 삶은 어떤 인간들의 사람보다 가치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 영화를 보고 나서 이야기하고 싶은 첫번째 생각거리는 너무나 이기적인 사회와 이타적인 그들의 삶이다.

 영화에서 간접적으로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들이 자란 기숙학교 헤일셤은 도너로써의 클론들이 길러지는 곳 중에서도 더 특별한 곳이다. 자연을 가까이에 두고 있는 시골에서 넓은 운동장에서 다양한 체육활동과 예술활동을 하는 아이들. 그러나 실제로는 학교바깥으로는 나가서 자연을 가까이 느낄 수도 없고, 사회와 접촉이 동떨어져 있다. 토미는 체육도 못하고 그림도 못 그려서 아이들에게 놀림을 당하거나 괴롭힘을 당해며 위축되어 있다.

  그러나 그런 헤일셤도 결국은 문을 닫고 도너의 인간성을 배려하는 사람들은 점점 줄어들고 있었다. 클론으로 태어나 모든 장기를 적출하기 위해서 결국 죽어가는 그들의 이타적인 삶은 이기적인 사회에서 점점 무시되어 지는 것이다. 도너로써의 죽음을 맞이하는 삶을 보살피는 것도 같은 도너(캐어러로 활동한 후 도너가 되어야 하는)들이지 이기적인 사회가 아니다. 루스가 말한 것처럼 그 마저도 세번째 수술이후로는 의식이 있은 채로 모든 것이 적출된 채 버려지는 사실은 이기적인 사회가 도너를 돌보는 것은 장기적출 이외에 아무 의미도 없기 때문을 더욱 강조한다.

 이러한 사회의 특성은 클론, 도너와 같은 영화와 같은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도 개인들의 존재를 무시하고 사회의 목적(돈, 경제적 이익, 성공)만을 위해서 존재하는 이기적인 우리의 사회와 다른 것은 없을 것이다. 도너들은 이기적인 사회에 태어나서 잔인한 숙명으로 희생되어 지는 것이기에 그들의 삶이 이타적이든 아니든 그들의 존재 의미는 사회에서는 어떤 의미도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 이야기하는 중심에는 결국 사랑이 있다. 겉에 보기에는 토미, 캐시, 루스는 삼각관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토미와 캐시의 깊은 사랑이 이야기의 핵심이다. 루스의 사랑(혹은 질투)은 우리의 일반적인 것과 같이 쉽게 이루어 지는 육체적 사랑과 쟁취, 욕망이지만 캐시와 토미의 사랑은 상대방을 향한 깊은 이해와 배려를 통해서 이어지는 것이다.

 영화 속에서 토미의 육체를 성취해 사랑을 얻은 것처럼 보이는 루스는 그러나 외롭고 고통스러운 삶을 살게 된다. 친구의 마음을 배신하고 그들의 사랑을 갈라 놓았다고 자신의 행복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지만 그녀의 통속성에 가여운 마음이 드는 것은 우리의 마음이 루스처럼 연약하기 때문일 것이다.

 

  토미와 캐시는 헤일셤에서 부터 서로를 특별하게 이해하고 깊은 마음으로 이해하고 있다. 서로의 특별함을 바라볼 수 있는 것은 그들이 인기있거나 특별히 대단해서가 아니라 서로가 모습을 깊이있게 이해하고 이어져 있기 때문이다. 토미는 캐시가 혹시나 부족한 자신때문에 연장의 기회를 잃게 될까봐 캐시를 떠나지만, 열심히 그림을 그리며 캐시에게 끊임없이 다가가려 했을 것이다. 10년후에 다시 만나 사랑을 확인하고, 사랑을 통한 생의 연장에 꿈꾸는 커플에게 다가온 것은 거짓된 희망이었다. 짧은 재회, 마지막 수술 전에 캐시를 향해서 웃는 얼굴로 떠나가는 토미의 마음이 너무 슬퍼서 아팠다. 토미를 떠나보내고, 적어도 이 생에서 진실한 삶을 만난 것에 대해서 감사하는 캐시의 담담함이 이 영화의 주제를 이야기하는 말해 주는 것 같았다.

 

 도너로써 태어나 죽어가는 우리들은 당신들보다 더 인간적이고 감동적인 사랑을 하며 생을 살았다.

우리로 부터 모든 것을 빼앗아 살아가는 당신들은 어떤 삶을 살고 있느냐구 묻고 있는 것 같았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사회 속에서 누군가에서 무엇을 빼앗으며 살아가는 것은 아닌지, 얼마나 가졌는지가 아니라 무엇을 가졌는지 소중히 여기며 살아야 하는 건 아닌지 뒤돌아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일렛 - Toilet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오기가미 나오코 감독!

그녀의 영화를 사랑하지 않을 수는 없다.

전작들에 이어서 그녀의 영화를 보고나면 느끼는 특별한 여운이다.

이 영화에도 역시 모타이 마사코 할머니가 등장해 주신다.

사실 이 할머니의 존재, 연기 자체의 나오코 감독님의 영화에서는 70% 비중을 차지한다.

그녀의 움직임, 짧지만 강한 대사, 표정이 영화의 주제이며 영화 줄거리의 주축이다.

 조금 재미있는 것은 전작들보다 외국배우들이 더 많이 출연하고 장소도 미국인데

이 영화는 더 많이 일본적인 나오코 감독을 보여주는 것 같다. 오히려 카모메 식당이나 안경은 이국적인 느낌이 더 많이 나는 영화인데도 말이다. 아마도 영화 내용이 가족애, 고양이, 그리고 가족의 할머니로 등장하는 모타이 여사의 역활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프라모델 오타쿠, 히키코모리의 변주-공황장애, 삐닥한 일본 여고생 이미지, 그리고 오바짱은 너무나 일본적인 캐릭터라서 외국배우들이 겉만 외국인이지 속은 일본인인 영화를 보는 것 같아서 기본이 묘했다. (그만큼 내가 일본문화에 대해 영향을 받아와서 인 것도 같고...)

 

 

 

 하지만 영화의 주제인 가족애는 음식은 교자를 만들어 먹는 행위와 할머니와의 교감을 통해서

이루어 진다. 다만 아쉬운 것은 전처럼 영화가 신선하게 느껴지지 않는 것과, 특별한 공간이기 보다 평범한 공간들, 음식을 만드는 행위, 재봉틀을 다루는 행위에 대한 신선한 묘사가 없어진 점들이었다.

아마 그랬다면 전 영화가 같은 느낌이 들어서 또 싫었다고 하겠지만 말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비데란 특별한 일본의 테크놀로지의 위대한 발견이 아니지 않는가 말이다. 모타카 할머니를 다시 만난 거 말고는 기쁜 점이 별로 없었다. 역시 한명가지고는 부족해요. 코바야시 사토미 아줌마도 필요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모메 식당 - Kamome Dine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깔끔한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새로운 곳에서 따뜻함을 느끼며 새출발을 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 영화를 보면 행복해 질 것 이다.

 

 코바야시 사토미 여사와 할머니의 만남은 안경이라는 영화에서 재회할 정도로 좋은 하모니를 만들어 내며,

영화를 특별하게 해 준다. 무표정한 모 할머니의 연기와 조금은 멍하지만 정깊은 사토미 여사의 연기는 낯선 환경에서 작은 식당에서 베풀어지는 따뜻한 음식들처럼 감동적이다.

 

새로운 곳에서 새출발을 하고 싶다고,

 

이곳에서 떠나고 싶다고

 

그래서 따뜻한 사람들을 만나고 싶다고

 

외치지 않는 도시인들을 만나기는 쉽지 않다.

 

다들 일탈을 꿈꾸고 가슴깊이 정을 느끼는 좋은 사람들을 만나고 싶다.

 

보고나서 참 좋은 영화인데 이렇게 리뷰를 쓰려고 하니까 더 쓸쓸해 지는 건 왜일까?

 

이제 나는 여행의 낯선 일탈에도 익숙해 지고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에도 금새 적응하게 되어

 

새로움이 없어진 것 같어서 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경 - Megan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관련영화 : 안경

 

모타이 마사코 할머니는 영화 주인공도 아닌데 코바야시 사토미 아줌마 보다 더 오래 기억된다.

 

이 바닷가의 팥빙수와 함께 말이다.

 

영화를 보고나면 누구나 그럴 것이다.

 

물론 여관주인장의 음식솜씨도 무척 부러울 것이지만, 무엇보다더 장인정신으로 삶아진 팥으로만

 

만들어진 그리고 그것도 공짜인 팥빙수를 먹으며 한적한 바닷가에서 멍하니 있는 정신을 누릴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영화를 사랑하게 된다.

 

아니 어쩌면 그럴 수 없지만 그렇게 하고 싶은 현대인들이라면 이 영화를 통해서 대리만족할 수 도 있을 것 같다.

 

그 곳은 누구나 혹은 그것을 누릴 수 있는 사람들만의 오아시스이며 1년에 1~2달 자신을 버리고 그곳의 단순한 삶으로 귀화할 수 있는 특별함이 있는 장소이다. 우리들도 그러한 장소를 가질 수 있는  행운을 누려볼 수는 없을까?

 

 

 낚시, 체조, 멍하니 있기, 개

 

 단순하지만 나를 돌아볼 수 있는 좋은 것들을 얼마나 가까이 두고 있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울지마, 톤즈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정말 울고 싶다면 이 영화를 보세요.

 

톤즈 사람들을 울리는 이 태 석 신부님의 사랑에 당신도 울게 될 것 입니다.

 

선교나 신념으로 어려운 곳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들은 참으로 많다.

 

하지만 그걸 사랑으로 마음으로 깊은 울림으로 진정 전하게 되는 것은

 

참된 사랑이 아니면 절대 불가능할 것 같다.

 

톤즈의 아이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제 3세계의 때묻지 않고 순수한 눈망울로 환하게 웃는

 

그런 아이들이 아니다. 장난감 대신에 총을 잡고, 가까운 사람들을 죽일 수 있게 훈련받게 되는 살인 기계들이다.

 

사람다움도 사랑도 배우지 못한 채 가난과 전쟁과 공포를 태생부터 접하여 살아온 이들

 

그들은 무엇이길래 이 태 석 신부님의 사진을 부여 잡고 그렇게 울게 되는 걸까?

 

꼭 살아서 아이들에게 돌아가리다며 투병생활을 했다던 신부님의 결심이 그 사랑이 참으로 위대하다.

 

우리는 사람으로 태어나서 흙으로 돌아가기 전에 이렇게 위대한 사랑의 발끝에 때 만큼이라도 세상에 주고 가게 될까?

 

내 자식, 내 가족, 내 주변을 돌아보고 사랑하는 것을 잘 하려고 애를 쓴다. 그러면서 힘들다고 징징거린다.

 

아무런 연고도 없이 사랑으로 아픈 이들을 다독이고 함께한 신부님과 같은 큰 사랑과 내 주변을 지키기 위한 이기적인 사랑은

 

어쩌면 태생부터도 다르기 때문에 힘들 수 밖에 없는 건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