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 43 | 44 | 45 | 4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작품의 가장 큰 미덕은 ‘아내가 결혼했다’는 제목의 선정에 있다.

(축구공이 동글동글 굴러다니는 표지는 촌스럽기 이를 데 없지만. 쩝.)


각설하고.

제목을 보고 참신하다, 놀랍다라는 느낌을 받은 독자들은 그 자체가 이미 중혼이라는 게 말이 안 된다고 믿는 우리 보통내기들이다. 그리고 아내는 작품 속 남편을 중심으로, 무지하고 획일적인 독자들을 향해 자신의 생각을 쏟아 붓는다. (그래서 이 작품은 너무 설명적이라는 게 치명적 단점이다.)


과정에서든 결말에서든 아내는 이기적일 뿐이다.

자신은 원래 그런 사람이라는 말만으로 모든 것을 남편으로부터 이해 받으려고 하고 두 남자와 아이까지 모두 소유하려고 든다. 하지만, 왜 그녀가 이러한 생각을 가진 사람이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작가는 아무런 고민이 없다. 왜 ‘그냥 그런 사람’이라는 것으로 남에게 이해를 강요하지 않는 척하면서 강요하는가. 왜 그런 상황으로 몰아가는가. 그런 그녀는 무책임하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모두 느끼고 가지려는 덜 성숙한 아내에 불과하다. (작품에서는 무척이나 똑똑한 사람으로 그려지고 있지만, 그런 그녀는 결코 지혜롭지 못 하다. 이런 나에게도 자신의 논리를 내세워 그녀는 반박하려나)


참. 두 남녀를 중심으로 한 연애담과 이 작품에서 내세운 중요 틀. 축구 이야기를 할 차례다. 처음에는 두 남녀를 연인 관계로 발전시켜 준 것이 축구이기도 하고, 이를 시작으로 축구를 인생에 빗대고 있다는 자체가 참신해 보였다. 하지만,.중반을 넘어서면서 그 방식이 너무 기계적이고, 나중에는 짜맞추면서 진행되고 있는 느낌을 피할 수 없었다. (본인이 축구광은 아니라는 작가의 머리말을 수용한다면, 그는 이 소설을 쓰면서 꽤나 많은 자료들을 구해야 하느라 진땀 꽤나 흘렸을 것 같다.) 그래서 소설은 축구 정보들을 매 챕터마다 나열하다보니, 필요이상으로 묵직해져 버리고 말았다.


끝으로, 그들이 뉴질랜드로 떠난다는 설정은 너무나 김이 빠진다. 사실 이 글을 읽는 내내, 그들이 어디론가 떠나는 설정만은 아니기를 간절히 바랬었다. 지금 여기 이 땅에서 제발 쿨한 척 하지 말고, 무럭무럭 커가는 아이를 봐서라도 정면으로 해결을 보기를 바랬었다. 하지만, 그건 너무나 현실적으로 살아가는 독자 입장에서, 이 소설에 대한 지나친 바람이었나 보다. 소설은 결국 똑똑한 그녀를 내세워, 우리의 고정관념을 마구 깨주는 척 하지만, 결국은 도망갈 뿐인 것이다. 왜! 결국 그녀는 원래 그런 여자이고, 자신의 행복만 추구하면 그만인 사람이니까.

 

 
 
사족) 어느 친구의 감상처럼, 이 소설은 남성에 대한 소설이다. '아내가 결혼'을 하는 발칙한 상황에서 남자는 어떻게 하는가에 대한, 여자를 바라보는 남자의 심리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그려지고 있는 여성의 모습은 극단적으로 쿨~하고, 이기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핑퐁
박민규 지음 / 창비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핑퐁핑퐁. 나도 한번 쭈욱 아무 생각 없이 핑퐁거려 볼까.


이번 그의 소설의 소재는 탁구. 야구를 소재로 한 그의 첫 작품을 읽었을 때만큼의 어떤 것도 남아 있지 않다. 박민규 소설에는 이제 너무 많고 쉽게 눈물과 미안하다는 말이 등장한다. 그리고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는 표현까지..


처음에 <삼미수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을 읽었을 때가 떠오른다. 소설가의 위트 넘치는 문체, 성장소설에서 보여주는 유쾌하고 새로운 에피소드들, 그리고 한물 지나간 실제 야구팀을 갖고 주제를 풀어간다는 데서 흥분했었다. 가식적이지 않으면서, 결코 가볍지 않았고, 현실속 패자-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들의 이후 행복한 야구 인생은 분명 고민 속에서 귀결된 따뜻한 시선이었다.


하지만, 이후 <갑을고시원 체류기>를 필두로 소설집 <카스테라>를 읽으며, 난 그의 재기발랄한 발상- 사람이 너구리가 되고, 펠리컨이 되고, 세상전체가 한 조각이 카스테라가 되는-에서 더 이상의 작가의 진한 고민을 느낄 수 없다. 그리고 그 기운은 이 작품 <핑퐁>이라고 예외가 아니다.


그가 탁구를 통해 말하고자 했던 건, 결국 인류사란 일을 저지르는 사람들과 이를 막아가는 사람들의 치열한 랠리라는 것인가. 그리고 거기에서 우리는 생존이 아닌 잔존하는 존재들로서 너무 오랫동안 그냥 여기에 있었다는 걸 이제 자백해야 하는 것인가.


이제 박민규는 자신이 생각하는 거시적이고 근원적인 관점이 있을는지는 모르지만, 그가 구현하고 있는 작품 속 세계는 너무 쉽게 상상력에 의존해 방종적으로 쓰여지고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 43 | 44 | 45 | 4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