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향 - Retur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바람이 분다.

그 바람은 상쾌하지도 가볍지도 않다. 그저 강렬하게 계속 불어오는 바람은 여성들을 흔들고 헝클어지게 한다. 영화의 시작과 함께 공동묘지에서 묘비를 닦고 있는 수많은 여성들의 모습, 그리고 그녀들 속에 라이문다가 있다. 그녀의 온몸을 훑으며 지나가는 바람 앞에, 부모님 묘비 위 꽃다발은 쓰러지고, 정성스레 묘비를 닦아보지만, 오히려 안쓰러울 정도로 다시 먼지는 계속 쌓일 뿐이다. 이처럼 라이문다의 고향은 그 자체가 바람이다. 마치 소설 <무진기행>에서 주인공의 고장 명물이 안개였던 것처럼. 그 바람은 끊임없이 그녀를 흔들고 이야기는 앞으로 나아간다.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최근 국내 개봉작 <귀향>은 여성들의 삶 속에서 계속 되는 바람의 흔들림과 그로 인한 상처가 소통을 통해 치유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상처의 실체, 봉합하기 
 

그녀를 만들어 온 것은, 그녀 자체보다는 주변을 통한 흔들림에서 비롯된다. 고단한 삶 속, 불쑥 벌어지는 남편 파코의 죽음과 이후, 다시 들려오는 이모의 죽음 소식, 절친한 고향친구 아우구스티나의 암 선고 소식 등은 그녀의 삶 속 그칠 줄 모르는 바람이고, 상처가 된다. 하지만, 그녀는 자신이 겪는 삶의 바람들을 모두 덮어두고 은폐시키는 것이 최선이라 생각한다. 감독은 라이문다가 휴지통에 맥주캔을 버리고, 파코의 피 묻은 휴지뭉치를 버리고, 설거지를 하고 칼을 씻는 장면들을 강조한다. 이는 관객들이 그녀의 과거 사연을 알 수는 없지만, 그녀가 무언가를 숨기고 있고, 이를 혼자서 묻어두려 하는 존재임을 느끼게 한다. 또한 딸인 파울라가 아버지의 강간을 위협하다 살인을 저지르자, 냉장고 속에 아무도 모르게 담아두는 행위, 이후 다시 강가의 땅 속에 묻어버리는 행동 등은 그녀가 감당하기 힘든 삶의 상처들을 혼자 묻어둠으로써 봉합하려는 안간힘인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봉합은 상처 자체를 아물게 하지 못 하고, 순간마다 불어오는 바람처럼 그녀 곁에 남아 있다. 파울라 이모는 그녀의 과거 트라우마의 실체이다. 과거 아버지의 강간으로 딸까지 가지게 되는 비극 속에서, 그녀는 고향을 떠나고 마드리드에서 파코와 가족을 이루고 살아간다. 하지만, 가장 먼저 조카의 상처를 알게 되고, 이후 화재의 충격까지 떠 안은 그녀의 이모는 그 충격으로 급속히 쇠약해진다. 아버지로부터 당한 과거 사실을 유일하게 알고 있던 이모는 그 자체로 라이문다에게는 지우지 못한 과거 상처의 실체인 것이다. 반면, 남편 파코는 그녀의 현재 트라우마의 실체이다. 파코 역시, 이모가 돌아가시는 날, 딸 파울라에 의해 죽게 되고, 과거 자신의 트라우마는 그대로 딸에 의해 재현된다.

 이처럼 상처가 그녀 곁에 머물고 있는 상황에서도 그녀는 여전히 그 실체를 부정하려 하고, 혼자서 감당하려고 한다. 그녀는 이모의 장례식에 가지 않음으로서, 과거 자기 상처의 실체를 덮어 두려 하고, 남편의 시신을 딸과 동생 몰래 묻음으로서 현실 속에 다시 꺼내져 뒤엉키게 되는 삶의 순간을 지연시키려 한다. 
 

상처의 흔적, 바라보기

하지만 그녀의 과거와 현재가 이미 일어난 사실이듯이, 그녀의 상처 역시 환영이 아닌 실체였음을 그녀는 이제 마주하게 된다. 그녀에게 상처의 흔적을 다시 바라보게끔 이끄는 것은 그녀 곁에 있는 여성들-파울라, 쏠레, 아우구스티나-이다.

라이문다는 매사에 싸움닭 같고, 억척스런 여성이지만, 딸 앞에서는 그녀의 목소리와 눈빛을 차마 외면하지 못 한다. (이는 과거의 상처를 감싸준 존재가 이모였다면, 현실에서는 남편과 이모의 빈 자리를 채워주는 존재가 딸로서, 라이문다가 딸의 이름을 이모의 이름과 같은 것-파울라-으로 지었다는 데서도 이해할 수 있다.) 평소 노래를 잊고 살아온 라이문다가 노래를 하게 되는 것도 딸이 있기 때문이고, 이는 그녀의 마음 속에 눌려 있던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의 표출이다. 이후, 용서를 구하러 왔다는 어머니를 마주하지 못하고, 눈물을 삼키며 집을 빠져 나오는 그녀에게 지금 당장 가서 얘기하라고 말을 건네는 것도 그녀의 딸, 파울라다. 또한 쏠레는 어머니가 다시 나타난 사실을 라이문다에게 알림으로써, 언니가 현실에서 어머니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끈다. (쏠레와 함께 있던 부엌에서 라이문다가 접시 위에 힘겹게 음식을 꺼내 담는 모습은 이제 새로운 이야기가 펼쳐질 것임을 암시한다) 친구인 아우구스티나 역시, 죽음을 앞두고 라이문다에게 그녀의 어머니에 대한 생사여부를 알려달라고 부탁하면서, 결국 그녀의 과거 상처의 흔적을 다시 꺼내보도록 말을 건넨다. 결국, 그녀는 마법처럼 찾아 온 어머니를 마주하게 된다.

상처의 치유, 소통을 통한 동일시

정신적 버팀목이었던 이모와 남편 파코의 죽음, 모든 것을 잃었다고 느끼는 순간, 라이문다의 곁에는 어머니가 찾아온다. 어머니는 과거 딸과 남편 사이 있었던 비극을 알고서 느꼈던 감정과 이후 벌어진 사건들을 이야기하고, 이제 딸은 오랜 세월동안 담아두었던 깊은 상처가 결국은 자기 혼자만의 것이 아니었음을 알게 된다. 시간이 멈춘 듯, 두 모녀만이 머무는 벤치에서의 소통을 통해 서로가 지니고 있었던 상처들은 치유된다.

결국 이 소통의 과정에서, 남편으로부터 버림 받고 오랜 세월 혼자 유령처럼 지내온 가여운 어머니의 모습은 오랜 세월 객지에서 가난하게 생활하고, 남편까지 잃은 라이문다와 동일시된다. 뿐만 아니라, 아버지를 통해 딸이 겪은 비극을 알고 나서, 그 분노를 삼켜야 했던 어머니의 사연은 딸이자 동생인 파울라의 상처를 껴안아야 했던 라이문다와 다시 한 번 동일시된다. 나아가 앞서 지적했듯, 과거 라이문다의 비극을 경험하게 되는 딸 파울라는 라이문다와 동일시된다. 친구인 아우구스티나 역시 어머니를 잃고, 혼자 죽음을 맞이 하면서 보살핌이 절실한 존재로 변해 가고, 이는 어머니의 보살핌을 받으며 죽음을 맞이한 이모 파울라의 모습과 동일시 된다.

 진실된 소통을 통해 피어나는 꽃

영화에서 감독은 극적인 사건들을 장면으로 다루지 않는다. 그는 파코가 파울라를 강간하려다 죽게 되는 순간, 혹은 라이문다가 겪어야 했던 충격적 사건의 순간들을 직접적인 장면으로 그려내지 않는다. 오히려 감독이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은 ‘그러한 사건들이 상처로 여성들에게 남겨진 이후, 그녀들은 어떻게 현실을 마주하고 치유하는가’이다. 이는 감독의 전작 <내 어머니의 모든 것>이나 <그녀에게>서도 마찬가지의 화두였다. 감독은 자극적이고 극적일 수 있는 사건들은 오히려 생략하고 남은 사람들의 소통을 통해 그 진실이 어떻게 공감으로 이어지고 치유되는지를 좇는다. 이 과정에서 관객들 역시, 그 사건들을 관음증적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그들의 이야기를 눈빛과 대사를 통해 전해 들음으로서, 적극적으로 상상하는 기회와 인물들의 감정을 함께 공유하는 체험을 하게 되는 것은 감독이 가진 힘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바람이 분다. 
 

서로에게 용서를 구하고 껴안은 소통의 순간 이후에도 바람은 다시 그녀들을 거칠게 흔든다. 하지만, 이제 더 이상 그녀들은 모든 것이 ‘저 망할 놈의 바람’ 때문이라며 부정하지 않는다. 이제 라이문다는 그런 흔들림이 그녀 자신들 때문에 일어난 것이 아님을 안다. 그 바람은 그녀들 너머에서 시작되어 그녀들을 헝클어지게 하는 운명이지만, 이미 많은 상처를 감당하고 나누게 된 그녀들에게 바람은 더 큰 단단함으로 그녀들을 묶이게 한다. 이제 라이문다는  거칠게 불어 오는 바람을 뚫고 아우구스티나를 보살피고 있는 어머니를 찾아 간다. 그리고 손바닥을 두드리며 슬픔 맺힌 노래를 부를 때의 순간처럼 그녀는 어머니를 향해 문을 두드린다. 그리고 얘기한다. 아직도 어머니에게 꺼내지 못한 이야기들이 너무 많다고. 라이문다는 이제 남을 통해서가 아닌 스스로 자신의 아픔을 꺼내 보이는 용기와 어머니에 대한 믿음을 보여 준다. 이제 바람 속 그녀의 흔들림은 꽃처럼 피어나고, 이는 그녀들 사이에서 지워질 수 없는 향기이자 생명으로 다시 고향에 뿌리 내린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심한가시 2009-03-09 17: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를 읽고 나니 왠지 춘희가 생각이 나는 군요..흠..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