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작품의 가장 큰 미덕은 ‘아내가 결혼했다’는 제목의 선정에 있다.

(축구공이 동글동글 굴러다니는 표지는 촌스럽기 이를 데 없지만. 쩝.)


각설하고.

제목을 보고 참신하다, 놀랍다라는 느낌을 받은 독자들은 그 자체가 이미 중혼이라는 게 말이 안 된다고 믿는 우리 보통내기들이다. 그리고 아내는 작품 속 남편을 중심으로, 무지하고 획일적인 독자들을 향해 자신의 생각을 쏟아 붓는다. (그래서 이 작품은 너무 설명적이라는 게 치명적 단점이다.)


과정에서든 결말에서든 아내는 이기적일 뿐이다.

자신은 원래 그런 사람이라는 말만으로 모든 것을 남편으로부터 이해 받으려고 하고 두 남자와 아이까지 모두 소유하려고 든다. 하지만, 왜 그녀가 이러한 생각을 가진 사람이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작가는 아무런 고민이 없다. 왜 ‘그냥 그런 사람’이라는 것으로 남에게 이해를 강요하지 않는 척하면서 강요하는가. 왜 그런 상황으로 몰아가는가. 그런 그녀는 무책임하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모두 느끼고 가지려는 덜 성숙한 아내에 불과하다. (작품에서는 무척이나 똑똑한 사람으로 그려지고 있지만, 그런 그녀는 결코 지혜롭지 못 하다. 이런 나에게도 자신의 논리를 내세워 그녀는 반박하려나)


참. 두 남녀를 중심으로 한 연애담과 이 작품에서 내세운 중요 틀. 축구 이야기를 할 차례다. 처음에는 두 남녀를 연인 관계로 발전시켜 준 것이 축구이기도 하고, 이를 시작으로 축구를 인생에 빗대고 있다는 자체가 참신해 보였다. 하지만,.중반을 넘어서면서 그 방식이 너무 기계적이고, 나중에는 짜맞추면서 진행되고 있는 느낌을 피할 수 없었다. (본인이 축구광은 아니라는 작가의 머리말을 수용한다면, 그는 이 소설을 쓰면서 꽤나 많은 자료들을 구해야 하느라 진땀 꽤나 흘렸을 것 같다.) 그래서 소설은 축구 정보들을 매 챕터마다 나열하다보니, 필요이상으로 묵직해져 버리고 말았다.


끝으로, 그들이 뉴질랜드로 떠난다는 설정은 너무나 김이 빠진다. 사실 이 글을 읽는 내내, 그들이 어디론가 떠나는 설정만은 아니기를 간절히 바랬었다. 지금 여기 이 땅에서 제발 쿨한 척 하지 말고, 무럭무럭 커가는 아이를 봐서라도 정면으로 해결을 보기를 바랬었다. 하지만, 그건 너무나 현실적으로 살아가는 독자 입장에서, 이 소설에 대한 지나친 바람이었나 보다. 소설은 결국 똑똑한 그녀를 내세워, 우리의 고정관념을 마구 깨주는 척 하지만, 결국은 도망갈 뿐인 것이다. 왜! 결국 그녀는 원래 그런 여자이고, 자신의 행복만 추구하면 그만인 사람이니까.

 

 
 
사족) 어느 친구의 감상처럼, 이 소설은 남성에 대한 소설이다. '아내가 결혼'을 하는 발칙한 상황에서 남자는 어떻게 하는가에 대한, 여자를 바라보는 남자의 심리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그려지고 있는 여성의 모습은 극단적으로 쿨~하고, 이기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