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디는 자신도, 포켓도 삼일 전부터 한 끼도 먹지 못했는데 어제부터 갑자기 포켓의 몸에서 열이 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어디로 가야 할지 몰라서 정신과 응급실에 왔으나 응급실에는 강아지를 데려올 수 없다는 이야기가 떠올랐고, 입원 병동에 가면 몰래 강아지에게 먹을 것을 주면서 생활할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는 것이었다.


  강아지를 데리고 입원하는 것은 규정상 불가능했다. 결국 다시 오랜 팀 회의 끝에 우리는 테디에게 강아지는 입양 센터에 보내고 그는 노숙자 쉼터로 가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포켓이 안락사당하지 않겠느냐는 테디의 질문에 입양 센터를 잘 아는 동료 레지던트가 ‘그럴 일은 없다’고 안심시켰다. 테디는 예상 외로 순순히 우리의 조언을 받아들였다. 그는 뉴욕의 추운 겨울로부터 포켓을 지킬 자신이 없다고 했다. 그러고는 우리에게 잠시만 자리를 비켜달라고 부탁했다. 우리가 자리를 뜨자 늘 밝았던 테디는 포켓을 안고 자식을 잃은 엄마처럼 목 놓아 울었다. 굳게 닫힌 문 사이로 새어나오던, 그 깊은 흐느낌을 나는 지금도 잊지 못한다.

- 밀리의 서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레버리지 (20만 부 기념 블랙에디션) - 자본주의 속에 숨겨진 부의 비밀
롭 무어 지음, 김유미 옮김 / 다산북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페이지까지만 읽고 덮었다. 네…조언이 필요없는 독자를 언급하셨는데 그게 바로 저예요. 😅 한평생 내멋대로 사는 게 습관이 된 바, 지금까지 그래온 것처럼 자기개발서는 애당초 읽지 말아야 했는데 호기심에 그만 제가 또…주제 몰랐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의 조건은 혼자서도 제정신을 유지하며 외로움을 견딜 수 있는 자아의 강인함과 독립성, 온전함을 갖추는 것이다. 이 조건은 사랑하는 사람은 물론이고 사랑받는 사람에게도 해당된다. 사랑은 자발적 행동으로, 여기서 자발성은 말 그대로 자신의 자유로운 결정에 따라 행동하는 능력을 말한다. 자아가 불안하고 나약하면 자기 안에 뿌리를 내릴 수 없고 사랑할 수 없다.


  이 사실은 사랑이 누구를 향하는지 따져봐야만 이해할 수 있다. 사랑은 증오의 반대다. 증오는 파괴하고픈 열정적 욕망이다. 사랑은 자기 ‘대상’의 열정적 긍정이다(‘대상’이라는 개념에 의도적으로 따옴표를 붙인 것은 사랑의 관계에서는 ‘대상’이 대상이기를 멈추기 때문이다. 대상은 주체의 상대가 아니며 주체와 분리된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사랑은 ‘격정’이 아니라 자기 ‘대상’의 행복과 발전, 자유를 위해 매진하는 능동적 노력이다. 자신의 자아가 불구가 되면 이런 열정적 긍정이 불가능하다. 진정한 긍정은 항상 강인함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자아가 손상되면 사랑은 양가적인 방식으로만 가능하다. 다시 말해 자아의 강한 부분으로는 상대를 사랑하지만 손상된 부분으로는 그를 미워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사랑의 조건은 베풀 수 있는 개인의 힘이다. 사랑은 "사랑받는 대상을 만들어내고자 하기에" 긍정이자 생산성이다.

이웃을 인간 존재로 사랑하는 것이 덕목이라면 왜 자신도 사랑하면 안 되는가? 이웃 사랑을 천명하지만 자기애는 금기시하는 원칙은 나를 다른 모든 인간 존재에게서 떼어낸다. 하지만 인간 존재가 할 수 있는 가장 심오한 경험은 인간 존재로 자기 자신을 경험하는 것이다. 나 자신을 포함하지 않는 인간 연대란 없다. 나를 배제하는 원칙은 그 자체가 모순임을 입증한다. 성경에도 있듯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하라’라는 생각은 자신의 온전함과 유일함에 대한 존중, 자기애와 자신의 이해는 타인에 대한 존중 및 사랑, 타인의 이해와 떼려야 뗄 수 없다는 것과 다른 의미가 아니다. 자기애의 발견은 이웃 사랑의 발견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인 것이다.

자신이 근본적으로 타인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은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그저 타인에게 관심이 별로 없다, 감정이 별로 없다고 생각할 뿐이다. 대다수는 자신과 타인을 향한 만성적 증오를 전혀 깨닫지 못하고, 남들이 자신에게 기대하는 것 같은 감정을 ‘입양’한다. 그래서 남들이 공격적으로 행동하지 않을 때는 남들을 좋아하고 친절하다고 느낀다. 이런 무비판적 ‘좋아함’은 완벽히 피상적이며, 근본적인 애정 결핍을 보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간을 믿어요 - 이석원 이야기 산문집
이석원 지음 / 을유문화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e-book으로 2시간 만에 다 읽었다. 휘리릭 읽히는 속도감만으로도 독서가 주는 쾌락은 충분히 선사했다고 생각하며, 우리 모두 순간을 믿자고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키가 173.2587센티인데 나보다도 2-3센티는 더 커 보였으니까 모르긴 몰라도 175는 넘는 것 같았다.
- 밀리의 서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