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를 자주 쓰는 편은 아니다만, 쓰는 걸 좋아하는 편이다.
어려서부터 일기 쓰기 숙제에 대한 부담감이 전혀 없었고, 지금도 다이어리에 끄적여놓고 지나간 일기를 되돌아보는 일에서 나름의 재미를 느끼니까.
홍상수의 이번 영화는 이전 영화와 다르지 않다. 굳이 다르다면, 색깔이 점점 연해진다는 거랄까. 어제 <밤과낮>의 엔딩 크레딧에서 홍상수감독의 여덟번째이야기라는 타이틀을 보자니, 문득 최초로 나에게 한국영화에 대한 눈을 새롭게 뜨게 만들었던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이 떠오르면서, 아 이사람 정말 많이 연해졌네, 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
이야기가 잠시 샜었다.
일기 이야기로 돌아가서,
어차피 홍상수의 영화가 항상 일기처럼 지난한 일상을 무덤덤하게 그려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새삼스럽게 모월모일 하면서 매일의 일상에 날짜를 집어넣었다고 뭐가 달라지진 않는다. 그럼에도 그러한 삽화적인 재미는, 남의 일기장을 몰래 들춰볼 때의 두근거림이나 기대감을 조금 더 가미해주는 거 같기도 하다.
프랑스에 잠시 살았던 기억도 많이 떠올랐다(극장 가기 전부터 예상했던 거지만).
담배 사러 가는 씬
: 나도 그랬다. 이놈의 나라는 담배는 온국민이 죽어라고 펴대면서, 왜 이리 담배 파는 것에 인색한가. 일요일에 담배가 떨어져 버리면 기차역 정도에나 가야 문 연 가게를 만날 수 있었던 기억. 30분은 걸리는 거리를 아침부터 꾸역꾸역 걸어가면서, 대체 뭐하는 짓이냐 라는 생각을 멈출 수 없었다.
노숙자 씬
: 나도 그랬다. 멋 모르고 아무하고나 오픈 마인드였던 시기라, 그리고 거기가 우리나라가 아닌 남의 나라라, 노숙자들하고 잘 텄다. 그 중 한사람은 나중에 보니 휠체어를 탄 덕분에 마약을 쉽게 손에 넣을 수 있어서 주변의 인기를 얻고 있었는데, 나에겐 그저 보통사람처럼 만나면 반갑게 인사하고, 궁상 떨며 구걸한 적도 없었다.
그 때 아 이 사람들은 일 안하는게 자랑이구나, 그런 생각도 했던 거 같다.
북한 청년 만나는 씬
: 나도 그랬다. 당시로서는 북한사람을 봤다는 말만 해도 어디 끌려갈 거 같은 불안감이 당연히 있었는데, 프랑스에선 북한이나 남한이나 똑같이 취급했다. 남한이 더 잘산다는 사실도 잘 모르는 사람이 많았다. 당연히 너는 북이냐 남이냐 매번 물어봐서 나중엔 귀찮아서 처음부터 남쪽 이라고 말해야 했다. 그리고 북한사람을 만나보고 싶은 마음도 들었던 것 같다. 영화 속 정남이처럼 “김일성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라고 물을 건 아니었지만 그래도 어릴 적 삐라에 나오는 괴수 같지 않은지 확인하고 싶었다.
그 외에도 이미 잊혀졌다고 생각했던 자질구레한 기억들이 영화를 보면서 주마등처럼 스쳐갔다. 그리고 점점 나오는 배우들의 얼굴이 아니라 홍상수의 얼굴이 보였다. 이제 홍상수 영화를 매번 보지는 않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던 지점은 거기였다. 나오는 사람에게 몰입할 수 없는 영화는, 영화로서의 그러니까 거짓 리얼리티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