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60
엔도 슈사쿠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을 때 전작에 대한 기억, 제목과 표지을 보고 나름대로의 연상같은 것을 하게된다.
 
내게 있어 <깊은 강>은 그런 면으로 본다면 예외인 셈이다. 거듭 말하지만 <깊은 강>을 읽기 전에 나는 어떤 연상이나 추측도 못하고 책을 읽었다. 마치 낮선 벽안의 작가의 처녀작을 읽듯이... 
언젠가 언급했었지만 나는 엔도 슈샤쿠의 또 다른 대표작 <침묵>을 여러 번 읽었다. 또 그가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서 그의 수필집을 읽었었고 나는 그를 좋아한다,라고 단정짓기까지 하였으니 어떤 선입견이 생길 법한데도 말이다.
 

연상을 못했다,가 아무 생각이 없었다,라는 것은 아니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막연한 추상이 있었는데 '쉽지 않을 것 같다'라는 정도의 느낌이 그것이다. 그 느낌은 직관이라 해도 좋겠다.
어쩌면 '깊은...' 이라는 단어에 천착했던 것인지도 모르겠다. 엔도의 작품인데도 불구하고 종교적 색채를 의식하거나 감지하지 못했었다. '....강'을 소재로 쓴 소설이라는 생각을 한 것도 아니었다. 내 눈길과 마음이 간 건 '깊은....'이라는 단어였다.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깊은... 한 없이 깊은 무엇에 대해 쓰지 않았나 생각을 했었다. 그 이상 이하도 말고... 막연히 그렇게 느꼈었다. 

갠지스 강이었다. 소설 속에는 인도의 갠지스 강이 나온다. 제목이 말하는 강이 갠지스 강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지만 갠지스 강이 중요한 듯 보였다. 여럿의 인물들이 나름대로의 사연과 상처를 안고 인도의 갠지스강으로 모여든다. 그들은 그곳에서 상처를 치유하고 혹은 끝을 알수 없는 혼란과 마주하는 이야기였다.
의식하지 않았었지만(앞서 그렇게 말했지만) 엔도 슈샤쿠의 작품 답게 종교이야기였고 범신론적인 내용이었다. 
 

위 말을 정리하자면 <침묵>을 쓴 엔도 슈샤쿠의 또 다른 대표작 <깊은 강>을 사전 정보 없이 읽었는데 읽고 보니 역시 종교적이고 내면의 깊은 강이든 실재의 강이든 제목에의 그 강이 있더라.'라는 말이다.  
하지만 나는 그것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본래의 나라면 책을 읽기 전에 의식이든 무의식이든 그런 생각이 진행되었어야 하는데 <깊은 강>을 읽을 때는 달랐다. 그 다름의 기억에 대한 이야기다. 이상하게 들리고 뜬금 없겠지만 나는 지금 그게 특별하게 남는다.

 

또 다른 마음 하나. 

작가에 대한 신뢰랄까... 어떤 믿음이 있는걸까... 
지금와서 하는 말이지만 <깊은 강>은 그렇게, 그런 마음(신뢰)으로 읽은 소설이다.  엔도 슈샤쿠에 대한 신뢰가 그만큼 깊은 것인지, 아니면 그 때 우연히 그런 독서를 했는지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나는 전자의 의미로 해석한다.  

 

소설은 읽어 나가기는 어렵지 않았다. <침묵>처럼 술술 읽혔고 여러 주인공들의 에피소드는 단편 소설을 읽는 듯 지루하지 않았었다.
이소베, 미쓰코, 누마다, 기구치, 오쓰 이들의 이야기가 차례로 소개 되었고 그 사연들은 하나 하나의 지류가 되어 갠지스라는 큰 강으로 모여든다. 어떤 사연이 그들을 인도의 잿빛 강가로 내몰았는지 나는 알고 있었는데 어느 순간 그 기억을 잡고 있는게 무의미하다고 생각이 들었다.

나는 지금 아무 것도 정의할 수 없다. 독후도 언감생심이다. 읽기 전과 읽은 후의 감정 이야기도 독후라 할 수 있다면 다만 그것만 말할 수 있다. 

정정해야겠다.깊은 강은 어려운 소설이었다. 막연한 추상. 나이 직관이 틀림없었다. 강을 이야기하는 것도 종교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깊을 뿐이었다. 지금에서의 내 느낌은 그것뿐이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1-02-01 04: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2-01 12: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동우 2011-02-10 08: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깊은 강, 착부족님들 많이 쓰셨구나.
일단 모처럼의 인사.
향편니 안녕?

답글은 나중에. ㅎㅎ

차좋아 2011-02-11 12:43   좋아요 0 | URL
동우님^^ 저 동우님의 연작리뷰 잘 읽었는데 답글은 못 달았어요. 분량도 그렇고 전방위적인 독후감이라서 섣불게 달기 뭐 해서요. (생각 좀 정리하고요ㅎ)

동우 2011-02-13 03: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향편님.
얼마전 부산에서 우리, 우찌무라 간조 얘기를 나누었지요?

모태신앙일 향편님.
깊은 강의 느낌의 막연함 당연합니다.
황혼의 강둑에 앉아 흐르는 강물을 바라보는 나와는 당근 달라야지요. 하하

그냥 함께 바라봅시다.
흐르는 강물.
향편님의 그 선한 눈길에 낫살먹어 세모진 눈길 함께 함으로 나는 얼마나 좋은지요.

깊은 강은 우리 곰국 끓이듯 오래도록 얘기하기로 하고.
다음달에는 전혀 다른 어떤 '파격'이 기다리고 있다면서요? 하하

깊은 밤.
코오 자고 있을 다산이 다야, 정빈이 정민이 숨결 듣습니다.

차좋아 2011-02-14 23:34   좋아요 0 | URL
우찌무라 간조의 <기독교 교리문답>은 절판이라 못 읽었습니다. 하지만 김교신의 일대와 성서조선 편찬기를 담은 겨레사랑 나라사랑 김교신이라는 책을 구해서 읽었습니다. 앞으로도 관심 가지고 알아가려 합니다. 우찌무라 간조, 김교신 이 두 분.

제 독후감은 저도 다시 읽기 싫네요 ㅎㅎ 뭐라고 쓴건지 참...ㅋㅋ

모태신앙이라고 일반적으로 불려지는 환경이긴 합니다만, 그게 신앙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렇다니까 그런 거,하고 신앙하고는 전혀 다른 문제니까요.
신에 대한 외경은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거기까지 입니다. 저로써는 그걸 알게 된게 진보이고요. 근 십 년째 정체입니다만...


후니마미 2011-03-12 0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향편님 깊은 강은 오늘에야 발견했어요
안 쓴 줄 알았어요.

저는 1월 중순 이후 독후감을 못 올리고 있어서
깊은 강도 못 올렸지요
그런데 다시 3월 독후감의 달이 왔지요

어제 민정이랑 통화 중에 책 고른 사람이 책 고른 이유를
알려주면 좋겠다고 해요

찾아\보니 3월의 책은 향편님이 고르셨더군요
어찌하여 이 책을 고르셨는지요?
에 대해서 쓰라고 책부족마당에 공지 올렸는데
못 보셨지요?
이 집이랑 다음 블로그 사이가 좀 멀어요
울타리가 특수한가?
자주 넘나들지 못하죠?

향편닝미 왜 3월의 책으로 고르셨느지
이젠 아주 궁금해졌어요.

알려주실거죠?

차좋아 2011-03-12 10:55   좋아요 0 | URL
민정이랑 통화하셨군요^^ 민정이 잘 지내나요?ㅎㅎ
고른이유는 응...... 고르라고 하셔서?ㅋㅋㅋ
많은 책들중에 <시계태엽 오렌지>를 고른 이유는... 짧더라도 페이퍼로 써야겠죠~

안그래도 다음에 방 만들었는데 가게되지 않더라고요. 저는 인터넷 세상은 하나로도 벅찬 온라인 겨우적응자.ㅠㅠ
사진 수업에서는 네이버에 블러그 하라는데 그 것 때문에 네이버 블러그 백만년만에 가보기도 하고 그랬었어요 ㅋㅋㅋㅋ
네이버든 다음이든 하나 더 하긴 해얄 것 같기는 해요. ㅎㅎ 아무래도 익숙한 네이버 블러그로 마음이 기웁니다. 아~~ 책부족을 생각하면 다음 블러그로 가긴 가야하는데 잘 꾸릴 자신이 없어서요..ㅎㅎ
죄송한 마음뿐이에요^^;;

saint236 2011-08-10 17: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깊은 강이라. 쉽지 않은 책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침묵보다 더 쉽지 않은 것 같아요.

차좋아 2011-08-11 12:14   좋아요 0 | URL
맞아요 침묵보다 더 ........ 깊어요
우열을 가리기 힘든 수작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