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의 심리학 / 꿈꾸는 20대, 史記에 길을 묻다>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꿈꾸는 20대, 사기史記에 길을 묻다
사마천 지음, 이수광 엮음, 이도헌 그림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소설 삼국지를 여러 번 읽으면서도 질리지가 않았던 건 영웅호걸들의 이야기가 삼국지를 볼 때마다 다른 각도로 보였기 때문이다. 역사란 어떤 각도에서 보느냐에 따라 인물의 평이 극명하게 갈린다. 또 하나의 텍스트를 가지고도 보는 이의 입장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
삼국지를 연의로 읽을 땐 대의를 저버린 비열한 조조였지만 삼국지를 열전으로 읽을 땐 조조는 민의를 읽을 줄 아는 전략적 지도자였다. 어떤 관점으로 역사를 접하느냐에 따라 역사 속 인물은 간웅이기도 영웅이기도 하다.
사마천의 사기열전은 역사서이면서 역사 속 인물의 인생사이기도 하다. 그 기록이 사실에 얼마나 부합하느냐는 역사가들에게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그 진실 여부와는 상관 없이 개인의 치열한 삶의 드라마는 오늘의 세대들에게도 많은 교훈을 준다.
저자 사마천도 옮긴이 이수광 선생도 개인의 삶 속에서 시공을 초월한 보편의 주제를 담고 전하려했고 그 메세지를 후대에 혹은 지금의 젊은이에게 이야기하려 했다.
<꿈꾸는 20대, 사기에 길을 묻다>는 고리적 영웅 이야기가 아닌 지금도 유효하고 우리 주변에 일어날 수 있는 사람 사는 모습을 사마천의 사기열전을 풀어 메세지를 전하고 있는 책이다.
사기에 등장하는 30명의 영웅들은 각자의 가치관도 삶의 양태도 달랐지만, 하나같이 열정을 가지고 자기 삶을 개척하고 스스로의 한계를 극복한 인물들이다. 옮긴이 이수광 선생은 이 시대의 꿈꾸는 젊은이들이 이 책을 통해 그 꿈을 이루기 위한 길을 찾길 바란다고 했다.
지금의 젊은이들이 사기를 통해 어떤 길을 찾을 수 있을지는 나도 모르겠지만 사기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만큼의 다양한 길이 있음은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만인에게 하나의 길을 알려주는 확고한 신념의 자기계발서보다는 사기를 통해 혹은 고전을 통해 사람들의 희노애락을 들여다 보는 방법이 더 다앙한 길을 볼 수있고 자기의 길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은 분명해 보인다.
아쉽게도 자기계발서 풍의 제목이 이 책의 매력을 반감시키고 있지만, 사기열전에 쉽게 접근하는 책으로 썩 괜찮은 듯하다. 상투적이지만 차라리 제목을 -이야기 사기열전- 이라고 지었더라면 좋았겠다라는 생각도 해보았다. 꿈꾸는 20대 사기에 길을 묻다... 감각적이긴 하지만 길을 누가 알려 줄 수 있단 말인가. 단지 우리는 이야기를 들여다볼 뿐이다. 책 속 이야기는 매끄러우면서도 인물들의 모습은 생생히 다가왔다. 옮긴이 이수광 선생의 글 솜씨에 알고 있던 이야기도 다시 읽는 삼국지처럼 흠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길을 묻는 20대에게도 이야기에 빠져들고 싶은 모든 이에게도 추천한다.
중간중간 우리가 생활 속에서 자주 접하는 고사 성어의 유래와 적적할 용법이 설명되어 있어 학습적 효과도 있다. 역시 20대를 겨냥하긴 한 듯.
일모도원(日暮途遠)
날은 저물고 가야할 길은 멀다라는 뜻. 인생을 치열하게 살아가야 하는 이유를 잘 설명해 주고 있는 고사성어다. 오자서가 원수의 묘를 파서 해골에 채찍질한 행동(굴묘편시)을 보고 잔인하다며 비판한 친구에게 오자서가 한 말. 이번에 책을 읽으면서 인상 깊었던 고사성어이다.
굴묘편시한 행동에 대해 옳다 그르다 하는것은 다른 곳에서 이야기해야겠다. 다만, 젊은이로서 일모도원하는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살아야겠다는 정도의 생각을 했다는 것인데, 나도 하나의 길을 이번 사기 이야기를 통해 생각해 본 거라 생각한다.
사마천의 사기열전. 오래전에 읽어 가물가물했는데 <꿈꾸는 사기에 길을 묻다>를 읽고 다시 생각해 보는 좋은 기회가 된 것 같다. 옮긴이 이수광 선생의 20대를 위한 사기 이야기가 아닌 평역 사기열전도 기대해 본다.
-굴묘편시 [掘墓鞭屍]
묘를 파헤쳐 시체에 매질을 한다는 뜻으로, 통쾌한 복수나 지나친 행동을 일컫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