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에 전래된 불교는 고려시대에 이르러 최고의 번성기를 맞게 된다. 불교문화는 고려인들의 모든 생활에 영향을 미쳤고 음식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육식을 멀리하고 특히 차를 즐기는 음다풍속의 유생은 과정류와 함께 떡이 더욱 발전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이와 더불어 권농 정책에 따른 양곡의 증산은 경제적 여유를 가져다 주어 떡문화의 발전을 더 한층 촉진하게 되는데, 이로 말미암아 이 시기에는 떡의 종류와 조리법이 매우 다양해진다.

여러 기록에 등장하는 떡의 종류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의 「거가필용」에 ‘고려율고’라는 떡이 나오는데, 한치윤의 「해동역사」에도 고려인이 율고를 잘 만든다고 칭송한 견문이 소개되고 있다. 율고란 밤가루와 찹쌀가루를 섞어 쪄서 만든다고 하였으니 쑥설기인 셈이다.

이 외에도 송기 떡이나 산삼설기 등이 등장한다. 즉 이전에는 쌀가루만을 쪄서 만들던 설기떡류가 주를 이루었다면 이 시기에 와선 쌀가루 또는 찹쌀가루에 밤과 쑥 등을 섞어 그 종류가 훨씬 다양해졌다.

또한 이색의 「목은집」을 보면 고려시대에는 단자류인 수단을 만들어 먹었음을 알 수 있다. 수단이란 쌀가로 혹은 밀가루를 반죽하여 경단과 같이 만든 다음 끓는 물에 삶아 냉수에 헹궈서 물기를 없앤 뒤 꿀물에 넣고 실백을 띄운 것을 말한다.

이색은 유두일에 먹는 수단에 대해 ‘…백설처럼 흰 살결에 달고 신맛이 섞였더라…오래 씹으면 청량한 맛이 몸을 적시리…’라고 읊고있다. 이 책에는 수숙가루를 반죽하여 기름에 지져 팥소를 사이에 넣고 부친 수수전병도 나온다.

출처 : http://www.hellocook.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