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를 거쳐 통일신라시대에 이르게 되면 사회가 안정되면서 쌀을 중심으로 한 농경이 더욱 발달하게 된다. 이 시기에 쌀을 주재료로 하는 떡이 더욱 일반화되었음은 물론이다.

고구려 시대 무덤인 황해도 안악의 도수무덤 벽화에는 시루에 무엇인가를 찌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한 아낙이 오른손에 큰 주걱을 든 채 왼손의 젓가락으로 떡을 찔러서 잘 익었는지 알아 보는 듯한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와 더불어 삼국시대의 다른 여러 고분에서도 시루가 출토되기도 했고 「삼국사기」,「삼국유사」등의 문헌에도 떡에 관한 이야기가 유달리 많아 당시의 식생활에서 떡이 차치했던 비중을 짐작하게 한다.

「삼국사기」신라본기 유리와 원년(298년)조에는 유리와 탈해가 서로 왕위를 사양하다 떡을 깨물어 생긴 잇자국을 보아 이의 수효가 많은 자를 왕으로 삼았다는 기록이 있다. 성스럽고 지혜 있는 사람이 이의 수효가 많다고 여겨 떡을 씹어서 시험한 결과 결국 유리가 잇금이 많아서 왕이 되었다는 것이다.

또 같은 책 백결선생조에는 신라 자비왕대(458~479년)사람인 백결선생이 가난하여 세모에 떡을 치지 못하자 거문고로 떡방아 소리를 내어 부인을 위로한 이야기가 나온다.

깨물어 잇자국이 선명히 났다든지 떡방아 소리를 냈다든지 하는 기록으로 보아 여기서 말하는 떡은 찐 곡물을 쳐서 만든 흰떡, 인절미, 절편 등 도병류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백결선생이 세모에 떡을 해먹지 못함을 안타깝게 여겼다는 기록은 당시에도 이미 연말에 떡을 해먹는 절식 풍속이 있었음을 보여 준다.

또한「삼국유사」효소왕대(692~702) 죽지랑조에는 설병이라는 떡이 나온다. ‘설(舌)’은 곧 ‘혀’를 의미하므로 혀의 모양처럼 생긴 인절미나 절편, 혹은 그 음이 유사한 설병, 즉 설기떡이 아니었을까 추측할 수 있다.

비슷한 시기의 발해 사람들도 시루떡을 해먹었다. 「영고탑기략」발해국지장편 권17, 식화고 에 ‘영양현 지방의 배는 작기는 하지만 맛이 아주 좋아서 이것과 포도를 넣어 찐 시루떡은 볼품과 맛이 더할 수 없이 뛰어나다’는 얘기가 언급되어 있다.

전 시대에 이어 떡은 중요한 제사음식의 하나로 사용되기도 했다. 「삼국유사」가락국기 수로왕조에 ‘세시마다 술, 감주와 병, 반, 과, 채등의 여러 가지를 갖추고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출처 : http://www.hellocook.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