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소통법 - 신화의 나라, 이집트에서 터득한 대화의 기술 51가지
이정숙 지음, 조창연 사진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신화의 나라, 이집트에서 터득한 대화의 기술 51가지'라는 독특한 컨셉의 책이야. 이집트 여행기 안에서 대화의 기술을 어떻게 풀어내었을까 하는 호기심에 책을 펼쳐 들었어. 그런데 처음 맞닥뜨린 충격은 전혀 예상치 못했던 '어투'였어. 이 책은 자녀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한, 또는 친구에게 편지를 써보내는 듯한 '어투'를 사용하고 있지. 바로 이렇게 말이야. 내가 지금 저자의 어투를 흉내내고 있는 이유는 이 책의 느낌을 미리 맛보게 해주고 싶기 때문이야. 어투 자체가 독특하게 느껴지는 책이니까 독자들이 미리 아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 독자에 따라 흥미롭게 느낄 수도 있고, 거부감이 들 수도 있지 않을까? 그런데 이 독특한 어투 자체가 독자와의 소통을 위한 저자의 전략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 국내 최고의 대화 전문가라고 하니 어투 하나도 허투로 사용하지 않으리라 생각한 것이지. 그래서인지 처음엔 많이 어색했지만 어느 정도 읽어가다보니 적응이 되더라고.

여행과 소통이라는 주제는 생각보다 잘 맞아떨어졌어. 이국적인 향취가 물씬 풍기는 이집트 여행기를 읽는 맛도 좋았고, 핵심 포인트를 딱딱 짚어주는 대화의 기술을 배우는 재미도 있었지. 무엇보다 말하는 법도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해야 잘할 수 있다는 저자의 주장에, 완전히 설득당했어. 피아노나 테니스를 잘하려면 배우고 연습해야 한다는 사실은 당연하게 생각하면서도, 말을 잘하기 위해서도 똑같은 연습을 해야 한다는 생각은 하지 못했던 거지. 저자는 말하기도 스포츠나 음악, 미술처럼 마음을 몸으로 표현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연습하지 않으면 잘하기 어렵다고 말해(80). 운동으로 몸매를 관리하듯 말하기도 배우고 연습하면 잘할 수 있다는 거야. 그러니까 말하는 못하는 사람이라고 좌절할 필요도 없고, 그렇게 타고났다고 핑계대지도 말라는 것이지.

찬란했던 이집트 역사와 문화, 유적 그리고 오늘의 이집트를 교차하며 길어내는 대화의 기술은 아주 생생하게 와닿았어. '이집트에 기록의 파워를 선사해준 파피루스'를 통해 소통의 도구를 장악하라는 조언을 듣고 아이폰을 구매할까 심각하게 고려해보기도 하고,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방문한 저자를 통해 기록의 중요성도 배웠지. "적자생존"이 무슨 뜻인지 알아? 저자의 대답은 "적어야 산다"야! 외국의 기업에서는 해외로 파견 근무를 나가는 직원들에게 현지 음식에 적응하는 훈련부터 시킨다는 이야기를 듣고 유난히 현지 음식을 못먹는 나의 여행 태도를 돌아보기도 했고, 대화로 신뢰를 쌓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일관성 있게 말하는 것이라는 가르침에는 고개가 끄덕여졌고, 관광지에서 바가지를 쓰지 않기 위해 한푼이라도 더 깎으려는 저자와는 달리 기분 좋게 속아주고 넉넉하게 팁을 제공하는 외국인의 모습에서 한수 배우기도 했어.

그런데 문제는 재밌게 읽은 이 책이 왜 나에게는 감동을 주지 못할까 하는 것이야. 이집트에 대해서는 물론이고 대화의 기술까지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는데, 다 읽은 뒷맛이 영 개운하질 않아. 그것은 아마도 저자와의 소통 자체에서 거리감을 느꼈기 때문이 아닐까해. 여행기를 읽으면 여행자의 삶의 철학과 가치관이 스펙트럼이 되어 여행지를 여과해서 보여주지. 그런데 이 책에서는 이집트의 거대한 신전과 거대한 석상, 거대한 기록 등 '거대한' 것에 열광하며, 이름 없는 사람들의 눈물과 땀보다는 정복자에 대한 황홀한 시선이라든지, 원하는 것을 얻으려면 적과 동지를 구분하지 말아야 하다든지, (팁을 통해) 사람을 다룬다는 표현들이 어쩐지 마음에 걸리는 거야. 소제목은 "당나귀도 마음으로 대화를 한다"인데, 당나귀 타는 법을 설명할 때도 교감보다는 제압하려는 모습이 어쩐지 싫었어. 보통 여행을 통해 욕심을 덜어내고 삶을 성찰하는 모습과는 거리가 멀었지. 전체적으로 '성공이 곧 옳은 것'이라는 투의 사고방식이 불편했어. 책을 잘못 읽은 내 오해일수도 있지만, 내게는 그렇게 느껴졌고, 그 점이 아쉬운 책이야. 

<여행 소통법>을 읽으니, 여행은 참 무궁무진한 배움의 세계라는 생각이 들어. 낯선 사람들과 낯선 풍경 속으로 섞여들며 무엇을 보고 무엇을 경험하든지, 아주 사소한 경험 하나에서도 큰 깨달음을 얻을 수 있으니 말이야. 어떤 깨달음의 열매를 얻느냐는 순전히 여행자의 몫이지만. 이집트를 직접 보고 체험한다면 나는 또 어떤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을까. 난 정말로 이집트에 꼭 가고 싶어졌어. 이 마음은 모두 이 책 덕분이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G.Ego 2010-09-17 02: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