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전>은 1562년 유연에게 ‘해주에 있는 채응규란 사람이 ‘유유‘
라고 전했던 최초의 인물이 이제라고 기술하고 있다. 이제 역시 직접 채응규를 만났던 것은 아니고, 다른 사람이 전하는 말을 들었다고 했다. - P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558년 어느 날, 대구의 사족 유유가 갑자기 집을 나가 종적을 감춘다. 그로부터 4년 뒤인 1562년 채응규라는 자가 사라진 유유를 자칭하고 나타났다. - P5

<유연전>은 유연의 억울함을 알리려는 의도에서 쓰인 글이므로 모든 자료는 이 의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선택되고 배치되었다. 동일한 사건에 대한 기억은 기억하고자 하는 주체, 곧 기억 주체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 P14

유예원의 삶은 당시 지방 사족의 전형이었다. 지방수령으로서 인근의 친한 사족에게 자잘한 선물을 보내고, 모임을 가져 음주가무를 즐기며, 가까운 벗에게 아들을 보내 공부를 시키는 등의 일이 사족의 일상이었다. 유연도 마찬가지였다. - P27

‘유유 사건‘은 지방의 안정된 사족가문의 맏아들로서 과거를 준비하던 유유가 1558년 33세의 나이에 집을 뛰쳐나가 돌아오지 않으면서 시작되었다. - P29

유유는 일찍이 산에 들어가 독서하다가 홀연 돌아오지 않았다. 유예원과 백씨는 "미쳐서 달아났다"고 하였다. 말이 집 밖으로 나갔지만, 이미 아버지와 아내의 증언이 있었으므로 향리의 사람들은 믿고 의심하지 않았다.‘ - P31

유유는 몸이 왜소하고, 수염이 없고, 음성이 부인과 같다. 이것은 유유가 생물학적으로 여성성을 강하게 갖고 태어났음을 시사한다. - P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왕권의 힘을 상징하는 신도 존재하는데, 그것이 바로 호루스입니다. 이 신은 자연에서 절대 지배력을 갖는 태양에 대응하여 인간사회에서 절대적인 권력을 가지고 있는 파라오에 의해 구현되었습니다. - P68

수메르신화에서 엔키라는 신을 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지, 그 이유는 엔키신화가 다면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성경 이전의 신화적 내력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 P85

엔키는 자신이 "신성한 안의 장자로 태어난, 바로 그가 나다"라고 외치며 엔릴과 신성한 왕권을 놓고 다투면서 신화 상으로 많은 이야기와 사건을 일으키게 됩니다. - P90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고대 수메르의 도시에 대해서 특별한 생각을 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도시마다 그 도시를 소유하고 있는 신들이 있고, 도시의 모든 시민은 지배자부터 노예까지 그 수호신들에 의해서 고용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 P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들은 타성과 맹목적인 관습에 따라 오래되고 친숙한 석유, 가스, 석탄, 임업에 얽매여 있었다. 비어드는 현재 수익을 내주는 것들이 언젠가는 그들을 파괴할 것임을 납득시켜야 했다. - P1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끔 비어드는 어느 모르는 청년, 자신은 꿈도 꾸지 못할 만큼 똑똑하고 헌신적인 이론물리학자의 업적 덕에 평생을 쉽게 살아온 기분이 들었다. - P87

현대라는시대에 도시 거주자로 실내에 틀어박혀 컴퓨터만 들여다보고 사는 자신이 다른 동물에게 쫓기고 갈가리 찢겨 한 끼 식사가 될수 있다는 걸,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는 걸 발견하자 가슴 가득 해방감이 밀려들었다. - P120

상황은 분명했다. 그를 사랑하는 사람만이 그를 믿어줄 터였다. 그런데 그를 사랑하는 사람이 없었다. - P151

올더스가 착수한 일은 삼십억 년간의 시행착오를 거친 진화로 완성된 식물들의 방식을 찾아내 모방하는 것이었다. - P1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