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비잠
최제훈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10월
평점 :
*결말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탈옥수, 최요섭
최요섭은 탈옥수이다. 어떤 죄를 짓고 수감되었는지는 모르지만 무기수이다. 탈옥 중에 한 여자아이를 인질로 잡아 경찰과 대치하던 중 경찰이 쏜 총에 맞아 쓰러진다. 죽은 줄 알았다. 그런데 목에 걸고 있던 메달에 총이 맞으며 간신히 목숨을 건진다. 요섭은 메달의 원래 주인인 오나영에게 메달을 되돌려 주기 위해서 무성(지명)으로 향한다.
변호사, 최요섭
최요섭은 법무법인 '사해'의 변호사이다. 사해는 업계 순위 10위 이내에 들어가는 대단한 법무법인이다. 최요섭이 뛰어난 변호사라서 사해의 변호사가 된 것은 아니다. 능력있는 장선배와 연이 닿아 어영부영 사해에 합류했고 이후 궂은 일을 도맡아 하면서 잘 버티는 중이다. 연봉은 2억 1천 5백만원. 미인 아내와 야구에 소질없는 초등학교 야구선수 아들을 두고 있다.
우연히 회사 앞에 있던 연정호의 어머니를 불쌍히 여겨 강간 용의자인 연정호를 무료변론했다. 오로지 위로 올라가는 데만 관심이 있던 최요섭으로서는 어울리지 않은 일이었다. 오랜만에 실력발휘를 하고 승소했다. 하지만 이를 계기로 수임중이던 유학생 강간사건을 라이벌 후배 권기용에게 빼앗긴 후 그나마 버티던 회사에서 미운 털이 제대로 박히고 만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아내는 아들의 과외선생과 바람이 나고, 홧김에 아내를 때리고, 집에서 쫓겨난다. 게다가 주식투자마저 실패하여 거의 빈털터리 신세. 순식간에 나락으로 떨어지고 만다. 요섭은 이 모든 불행의 배후에 회사의 개입이 있다는 걸 알아채고 그에 대항하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최제훈 1973 ~ .
참 묘한 작가, 최제훈
세 권째 읽는 최제훈의 소설이다. 《퀴르발 남작의 성》은 현실에 상상을 묘하게 붙여놓은 후 마지막에 그 모든 이야기들을 붙여 놓고 연극화해 버렸다. 《일곱 개의 고양이 눈》에서는 퍼즐 조각으로 쪼개 놓은 이야기를 일 붙이고 저리 붙여서 새로운 이야기를 직조해 냈다. 두 권 모두 정말 흥미롭게 읽었기 때문에 《나비잠》 역시 큰 기대를 하고 읽기 시작했다.
주인공은 최요섭. 같은 이름을 가진 최요섭이 주인공인 서로 다른 두 개의 이야기가 교차한다. 누가 봐도 하나는 현실-아마도 변호사 최요섭-이고 하나는 꿈이나 환상-아마도 탈옥수 최요섭-이다. 두 이야기는 조금씩 겹치는 사람도 있고 결국 마지막에는 변호사 최요섭이 꿈이든 환상에서 깨어나 결말이 나는 것으로 예상했다.
의외로 평범하네.. 하지만 《일곱 개의 고양이 눈》의 평범한 시작을 생각하면 긴장을 늦출 수는 없다.
라고 생각하고 책을 읽어나가는데 역시 뭔가 이상하다. 굉장히 수상하다. 심상치 않은 전작들을 상기해 보면 이 책도 평범하게 풀고 나가지는 않을 것 같다. 혹시 변호사는 과거, 탈옥수는 현재일까? 아니 그렇다기에는 두 명의 변호사 뿐만 아니라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인물의 간극이 너무 크다. 아, 사실은 탈옥수가 현실이고 변호사가 꿈인가? 그런데 읽다 보니 그것도 아니다. 현실이라면 물속에서 자전거를 탈출하고 멧돼지가 사람을 뜯어 먹고, 소복입은 여자가 끊임없이 유혹하고 남편이 나타나 머리가 깨지는 타임루프가 있을 수는 없다. 도대체 어떻게 마무리하려는 걸까?
나비잠이 뭔지 몰랐는데 '갓난아이가 두 팔을 머리 위로 벌리고 자는 잠'이라고 한다.
갈수록 가관인 탈옥수, 갈수록 몰락하는 변호사
탈옥수는 소복입은 여자를 만나 타임루프에 빠지는데 결국 소복여인을 인질 삼아 탈출하고 소복여인과 남편은 불에 타죽고 만다. 그 후 십자가에 달린 아버지도 만나고, 장미정원에서 빨간두건과 피노키오도 만난다. 아주 소설이 제멋대로 흘러간다. 갈수록 가관이다. (장미정원이 퀴르발 남작의 소유라는 건 일종의 작품개그.) 탈옥수가 현실이 아닌 것이 분명하다.
변호사는 아들의 중학진학을 위해 중학교 야구감독에게 뇌물을 줬다가 들키고 사회적 문제가 되어 회사에서 쫓겨난다. 잠시 기거하던 원룸에서 옆방 공시생과 싸우다 깨진 병을 밟아 발바닥에 열세 바늘이나 꿰맨다. 오토바이 양아치들에게 집단린치도 당하고.. 하지만 그중에 가장 가슴아픈 건 뇌물사건이 소문나 왕따에 시달리던 아들이 아파트에서 투신하여 중태에 빠진 것. 점점 몰락해 간다.
도대체...... 두 이야기가 어떤 연결점이 있는지 알 수 없다. 두 이야기에 모두 종규가 나오고 무성에 사는 오나영이 나오고 나영에게 돌려줘야 할 메달이 있고, 최요섭은 메달을 돌려 주러 무성으로 간다. 아버지는 여전히 목사님이고, 오소리는 나쁜 놈이다. 책은 끝을 향해 달려가는데 두 이야기가 합쳐질 기색이 없다. 그리고 그냥 그대로 끝난다.
작품 내내 두 이야기를 교차시켜 놓고, 결말이 어떻게 될지 이리저리 상상하게 만들더니.. 심지어 뭔가 있을 것 같은 냄새를 펄펄 풍겨 놓고는 두 이야기가 원래 별개의 이야기라고 시치미를 뗀다. 그냥 한 책에 두 이야기가 들어 있는 것이다. 《일곱 개의 고양이 눈》에서는 단편적인 이야기를 이리저리 쪼개고 붙여서 여러가지 이야기를 만들어 내더니 《나비잠》에서는 이야기의 요소를 더 잘게 쪼개서 재조합하여 두 개의 이야기를 만들고 평범한 것처럼 뻔뻔하게 이야기를 써내려 간다. 또 뒷통수를 된통 맞았다. 하지만 즐겁다.
레고블럭은 단품일 때는 멋진 작품이 되지만 여러 개의 박스를 모아서 만들면 괴물같은 모양이 만들어진다.
전통적인 플롯에 대한 반항
최제훈의 소설을 읽으면서 연상되는 것들이 있다. 우선 《이기적 유전자》. 이야기 구조를 생명체라고 생각한다면 최제훈은 생명을 해채해서 유전자 단위로 쪼개고 그걸 재조합하는 것 같다. 비슷한 의미로 직소퍼즐도 함께 떠오른다. 아무 곳에나 꽂아도 들어맞는 직소퍼즐. 플롯이 흘러간다는 느낌이라기보다는 짜여진다는 느낌이다. 최제훈은 글을 쓸 때 워드프로세서가 아니라 스크리브너를 써서 문단을 이리저리 옮겨 놓으면서 쓸 것 같다.
소설가마다 책을 쓰는 방법은 다를 것이다. 여러 방식이 있겠지만 최제훈은 소설을 쓸 때 여러 가지 소재를 잔뜩 모아 놓았다가 어느날 그 소재들을 쫙 펼쳐놓고 마음에 드는 것을 이리저리 맞춰서 써내려갈 것 같은 느낌이다. 아, 그러고 보니 레고블록이 가장 비슷할 것 같다. 레고블럭은 원래 하나의 주제로 출시된다. 한 박스에 들어 있는 블럭들을 잘 맞추면 주제에 잘 맞는 레고작품이 된다. 하지만 여러 박스에 있는 레고블럭을 분해하고 그걸 이리저리 조립하면 괴상한 모양의 작품이 완성될 것이다. 최제훈의 소설이 그렇다. 그런데 뒤에 쓴 소설일수록 그 블록이 더 작아지는 것 같은 느낌이다.
책을 읽는 내내 타로의 탑 카드가 머릿속에서 맴돌았다. 최요섭의 몰락에서 탑에서 떨어지는 사람들이 연상된 것 같다.
★★★★☆
책을 2/3쯤 읽었을 때, 그냥 이대로 합쳐지지 않고 끝날 것 같은 불안감이 생겼고 예상이 들어맞았다. 세 권 쯤 읽으니 최제훈의 글에 적응이 된 것 같기도 하다. 뒷통수를 맞기는 했어도 빗맞았으니 많이 아프지는 않다. 여전히 특이한 이야기 구조를 가졌고 각각의 이야기가 흡입력있게 흘러가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예측을 벗어나는 책을 읽는 건 참 즐거운 일이다. 세 권 읽고 난 후 최제훈은 내가 좋아하는 한국 소설가 중에 다섯손가락에 들 정도가 되었다. 이제 두 권 남았는데.. 아껴서 읽어야겠다.
분명히 호불호가 갈릴 수는 있는데, 나는 재미있게 읽었다. 강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