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부메의 여름 백귀야행(교고쿠도) 시리즈
쿄고쿠 나츠히코 지음 / 손안의책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의 첫장을 펼치면 아주 무서운, 피를 흘리는 우부메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 이 책은 지난달 다시 출간되었다. 엄청나게 보고 싶었는데, 결국 도서관에서 빌려서 읽고서는 갖고 싶다고 안달하자마자 재출간되었다는 소식이 들려서 기뻐서 얼른 구매했다. 각설하고 리뷰에 들어가기에 앞서서 피투성이가 된 채 아기를 안고 있는 여인인 우부메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옮겨보겠다. 

   
 

회임을 했으나 아이를 낳지 못하고 죽은 자를 그대로 들에 내다 버려, 태내의 아이가 죽지 않고 들판에서 태어나면, 어머니의 혼백이 형태를 이루어 아이를 안고 기르며 밤에 돌아다니는데, 그 아기의 울음을 우부메가 운다고 한다. 그 모습은 허리 아래는 피에 젖어 있고, 힘이 약하다. 

 
  (기이잡담집중) 

이것은 가장 보편적인 전승이고 책을 본격적으로 읽기 시작하면 여러가지 의미로 전승되고 있는 우부메의 유래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그로 인한 효과는 말할 것도 없이 책에서 일어나는 기묘한 사건이 우부메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도록 독자를 세뇌시키는 것이다. 나처럼 의지가 약한 사람은 아주 당연하게도 이 교묘하고 능청스러운 작가의 최면술에 걸려들고 만다. 장의 앞뒤로 나오는 주인공의 꿈도 그 세뇌에 일조했던 것인가 하고 지금에 와서 생각이 될정도로 작가의 최면술은 잘 짜인 그물같다.

[우부메의 여름]에는 한 여인이 20개월째 출산하지 못하는 기이한 사건을 중심으로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난처할 정도로 말도 안되는 이야기를 당연하다는 듯이 풀어낸다. 나는 괜히 좋아하는 작가인 교고쿠 나츠히코를 걱정하며 "이싸람 이거, 어쩔려고 이런식으로 이야기를 끌고가는거야."라며, 행여나 실망하게 될까봐 발을 동동 굴렀다. 고약하게도 이미 머릿 속에서는 비난할 거리들을 잔뜩 쟁여두었으면서도 말이다. 경외하는 작가에게 실망하는 일은 의외로 짜릿한 일이 아닐까.  

문제는 그보다 더 짜릿한 일이 벌어졌다는 것이다. 총 632쪽의 책은 사람을 절정까지 안달하게 해두고서는 정확히 469페이지에서부터 설명을 해주기 시작한다. 게다가 내가 은밀하게 숨겨둔 비난의 화살도 마지막 부분까지 가서야 "아, 그거?" 하며 내 속이 훤히 들여다보인다는듯이 아무렇지도 않게 설명해 주어서 사람을 바보로 만든다. 이 역시나! 하는 통쾌함과 그로 인한 패배감은 말로 표현할 수가 없다. 

신화를 끌어들이지 않는다면 도저히 설명이 되지 않는 이야기, 귀신이 없이는 이야기의 아귀가 절대 들어맞지 않을 것만 같은 이야기인데 이 작가는 그걸 이성적으로 설명해준다. 설득이 아닌 명쾌한 설명. 나처럼 감성적인 사람은 때때로 이성에 목말라 있을 때가 있는데 교고쿠 나츠히코는 그것을 채워준다. 물론 매우 풍요롭게. 전설 따위 필요없어진다. 영화 [셜록 홈즈]처럼 어설프게 흑마술을 이성으로 구멍 뻥뻥 뚫린 설명하는 짓 따위는 하지 않는다. 아, 천재가 노력하면 이런 작품이 탄생하는 것이구나. 

이런 이야기를 장편으로 쓸 수 있는 작가를 등에 업고 있다는 것은 참 든든한 일이다. 책에 등장하는 고서점의 주인인 교고쿠도의 황당한 궤변은 기이하지만 엄청나게 논리적이어서 이 정도라면 리처드 도킨스를 깔 수 있겠다며 나는 그만 의기양양해지고 말았다. 마음과 뇌의 관계, 의식과 잠재의식에 관한 설명, 세상은 나의 안과 밖- 이렇게 둘로 나뉘어져 있다는 궤변들은 어느새 나의 사상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지금 이순간 모든 기억을 갖고 태어난 것이라면?" 에 대한 질문과 그에 따른 의견이 무척 인상적이었는데 이것은 러셀인가 비트겐슈타인인가 누군가의 논리학을 완전히 자기것으로 만든 사람의 당당한 질문이고 사상인지라 작가의 역량에 새삼 감탄하게 되었다.  

 

이 정도로 현실적인 이야기임에도 끝내 심령적인 부분으로 남겨두는 것도 있어서, 사실 작가의 의도는 과학과 이성이 아니라 심령일 것이라고 확신하게 되는데 바로 남의 기억을 보는 미남 탐정에 관한 설명이 약간 말도 안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괴이함은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것이, 오히려 작가가 그렇다고 설명해주니까 그럴 수도 있겠다며 광신도처럼 믿고, 또 조금이라도 이성적으로 설명이 되지 않는 심령적인 부분이 남아있어서 다행이라고 마음을 쓸어내리게 된다.  

이 탐정에 관한 감상은 빠뜨릴 수가 없는데, 극에서 담당하는 정도가 사소한 인물이라도 그 캐릭터가 통통 튀어서 오히려 주인공들보다 더 만나보고 싶어진다. 이 에노키즈라는 탐정은 "뭐가 복잡하다는 건가, 자네는 정말 원숭이로군." 이라던가, "지금부터 올 손님 이름이 뭐랬나, 왜 그 구노인지 야쿠시지인지.."라고 사건 의뢰인의 이름을 3번째로 묻기도 하는 엉뚱하고 귀여운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서양도자기인형처럼 생겼단다. 엉뚱한 매력의 귀족집안 미남탐정이라니! 영화에선 내가 일본에서 가장 좋아하는 배우인 아베히로시가 이 역을 맡았다고 한다.

 

한가로운 일요일에 햇빛이 쨍하고 들어오는 침대에 누워서 무겁고 글씨가 작은 책을 읽기 시작해서는 어느덧 해가 져서 어두컴컴해졌는데도 난 이책을 읽고 있었다. 이 작품은 하루와 같아서 아침의 어스름한 빛으로 시작해서 정오의 쨍한 햇빛으로 잠시 밝아졌다가 점차 어두워져서 나중에는 깊은 밤중에 끝나버린다. 책을 덮고나면 새벽의 어스름한 빛이 들기 시작한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0-01-16 22: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교고쿠도의 장광설은 정말이지 사람 혹하게 만들죠. 어엇 뭐지, 하려다가 어느 순간에 설득당해버리고 말아요. 좀 많이 다르긴 하지만, 그건 까라마조프 형제들을 읽으면서도 느꼈어요. 표도르네 집의 요리사 스메르쟈꼬프(이름 외운거 아니라 책 찾은거임. 외우지 못했음)가 표도르와 논쟁하는데서도 그래요. 뭔가 이상한데 듣고 나면 어 정말 그렇군, 하게 되는거에요. 그래서 한번은 회사동료에게 이 말도 안되는 논리가 또 맞는 논리인것 같아서 설득당한다며 이야기해 주었지만 제 이야기로는 전혀 설득이 되질 않더라구요. 장광설은 아무나 하는게 아닌 듯. 각설하고,

우부메의 여름을 보면서 교고쿠도의 장광설을 처음 알게 되어 신선했다면 [망량의 상자]에서는 교고쿠도의 장광설에 마음을 빼앗겨 버려요. 교고쿠도의 장광설 때문에 우부메 시리즈는 정말 정말 정말 정말 재미있는 책이 되어버렸어요!!

Forgettable. 2010-01-17 23:36   좋아요 0 | URL
저 진짜 책 등장인물 이름 못외우는데. ㅋㅋ 스메르쟈꼬프라니 ㄷㄷㄷ 까라마조프 형제들은 저도 읽어보고 싶은 책인데,ㅎㅎ

저도 그 장광설부분 2번 읽었는데 아직 습득하지 못했어요. 읽은 소설을 또 산 이유는 바로 그 장광설 부분 때문이에요. 생각날때마다 읽어서 제것으로 만들어야겠다며.ㅋㅋㅋ 근데 회사동료랑 그런 책 얘기도 하고 부러워요 ㅠㅠ

[망량의 상자]를 사서 쟁여둔게 이렇게 다행으로 여겨질줄이야! 얼른 봐야겠어요. 이러고 또 언제 읽으려나..( '') 요즘은 왠지 매일매일 다른 사람을 만나며 술을 마시는 생활을 하고 있는중이라 책은 커녕 하이킥도 못보고 있네염 ㅠㅠ

비로그인 2010-01-16 23: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일본 문학에 아는 바가 단 한개도 없는데.. 제가 관심있어 했던 도킨스, 러셀, 비트겐슈타인이 나오네요~
뭔가 좀 아는척이라도 하면서 인사드려야 되는데 아는 것이 없어 ^^ 그냥 첫 댓글 남깁니다.

늘상 인사 없이 들렸다가 처음으로 들립니다. 앞으로는 자주 노크 없이 들려 흔적 남기겠습니다 ('')..

Forgettable. 2010-01-17 23:39   좋아요 0 | URL
우와 도킨스, 러셀, 비트겐슈타인에 관심있어 하시다니- 철학을 공부하셨나요? 저도 살짝 맛만 본 사람들인데요. 그런 주제에 리뷰에 막 써먹었습니다. 하하;; 그나저나 일본 문학에 관심이 없으신데, 이런 허접리뷰를 상당히 꼼꼼히 읽어주셨나봐요. 고맙습니다.

써클님이셨죠? 바람결 전에요. ㅎㅎ 앞으로 친하게 지내요 :)

2010-01-17 11: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1-17 23: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1-18 00: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1-18 09: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1-19 17: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1-19 17: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lazydevil 2010-01-21 2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을 사고 해를 세 번이나 넘겼건만 아직도 읽지 않은 저에게 각성을 촉구하는 멋진 리뷰!!라구요...!!!

Forgettable. 2010-01-22 09:38   좋아요 0 | URL
리뷰가 길어져서 약간 중언부언/횡설수설 한 글이라고 생각하며 반성하고 있었는데 ㅠㅠ
캄사합니당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