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켈수스를 논박함 - 그리스 로마 세계에 대한 한 그리스도인의 답변
오리게네스 지음, 임걸 옮김 / 새물결 / 2005년 4월
평점 :
품절
1.초대기독교 신학자들 중 가장 위대한 이로 꼽히는 오리게네스의 저작이 이제서야(!) 번역되어 나왔다. 하기사, 칼빈의 '기독교 강요'가 완역이 된지 20년이 채 안되는 듯 싶으니 그리 늦은 것도 아니라고 할 수도 있겠다.
2.'켈수스를 논박함'은 제목에서 느낄 수 있듯이 기독교를 비판한 켈수스에 대한 논박문의 형태로 쓰여져있다. 하지만, 오늘날에도 그렇듯이 기독교를 비판한 켈수스를 반박하기보다는, 켈수스의 글을 보고나서 신앙의 회의를 갖게될 사람들에게 이 글을 선보이고자 하는 욕구가 더 강하게 느껴진다.(그가 서문에서도 언급한 것이지만) 논박문이기에 앞서 이 글의 성격은 호교문이며, 당대 기독교에 대한 조금은 난잡한 설명문으로 읽을 수도 있다.
3.켈수스의 '진리'를 인용하기는 했지만, 그 내용을 짐작하기는 쉽지 않다. 어찌되었든 오리게네스의 반박의 논리는 기독교 교리에 충실하다. 아니, 교리가 완전히 정립되기 이전이니, 바울서신의 글에 가깝다고 해야하는 것이 더욱 정확한 표현이겠다. 이방인들을 기독교 공동체로 편입시키는 과정에서 바울이 부딪혀야 했던 것이 유대교적 성격이 강한 기독교인,혹은 유대교인들이었다면, 오리게네스에게 있어서는 그리스-로마 세계에 서서히 그 터전을 잡아가는 기독교인들을 비판하는 비기독교인들이다. 이것은 기독교가 그 세를 확장하기 위한 두번째 시련이라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어찌되었든 이것을 극복해내고, 오리게네스와 터울이 그리 길지 않은 아우구스티누스에서 기독교 체계는 그 기틀을 공고히 다지게 된다.
4.오리게네스의 위대함은 그 당대를 돌파해나갔다는 점에서 인정된다. 하지만 그 위대함을 뒷받침하는 신학적 견해는 사실 오늘날의 기준으로 볼 때 그리 탁월하지는 않다. 오리게네스의 비판자였던 켈수스의 철학역시 마찬가지이다. 켈수스의 견해는 엄격한 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했다기보다는 이렇게 저렇게 파편화된 지식들을 어설프게 맞춘 것 처럼 보인다.(오리게네스가 그런 식으로 유도하고있는지도 모르겠지만) 대략 1800년이 지난 오늘날 기독교의 교리 자체에 그리스 철학의 흔적이 강하게 새겨져있음을 알고 있는 신학생들이나 식자들에게는 이 책이 촌스러워 보일지도 모르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