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ier, John P. 1991 1/4. A Marginal Jew: Rethinking the Historical Jesus. Vol,1. The Roots of the Problem and the Person. Vol. 2. Mentor, Message and Miracles. New York: Doubleday.
(포스트 모던과 구분되는) 근대 비평주의 방법론에 기초한 방대한 연구 내용을 담고 있으며, 본질적으로 보수주의적인 결론을 보인다. 향후 몇 년동안 널리 읽히고 논의될 듯 하다. 관련 주제를 진일보시켰는지는 더 두고 보아야 하지만, 여러 가지 면에서 '예수 세미나'와 그들의 저작에 강력한 제동을 걸었다.

Meyer, Ben F. 1979. The Aims of Jesus. London:SCM Press.
이곳에 올려놓은 책들 중 무인도에 가져갈 책 하나를 고르라면 아마도 이 책이 될 듯하다. 저자는 이 분야에서 큰 조명을 받지 못한 영웅이다. 일부 주요 문제에서 나와 견해를 달리하고는 있지만, 그의 작품들은 모두 진지하게 다루어질 가치가 있다.
Moule, C.F.D. 1967. The Phenomenon of the New Testament: An Inquiry Into the Implications of Certain Features of the New Testament. SBT 2nd series, vol. 1. London: SCM Press/Naperville, Illinois: Allenson.
Moule, C.F.D. 1997. The Origin of Christology. Cambridge: CUP.
영국 신약학계의 원로가 쓴 두 권의 중요 저작이다.
Riches, John K. 1980. Jesus and the Transformation of Judaism. London:Darton, Longman and Todd/New York: Seabury.
중요하지만 약간 불균형적인 책.



Sanders, E.P. 1985, Jesus and Judaism. Philadelphia/London: Fortress Press/SCM Press. (번역서) <예수와 유대교>, E.P 샌더스 지음, 황종구 옮김,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8
Sanders, E.P. 1993. The Historical Figure of Jesus. London:Penguin.
영미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신약학자로 여겨진다. '예수 세미나'와 매우 상이한 견해를 취하고 있다. 1993년 작부터 살펴보아도 좋을 것이다.
*한국어로 번역된 E.P 샌더스의 책들





Schweitzer, Albert. 1954[1906]. The Quest of the Historical Jesus: A Critical Study of Its Progress from Reimarus to Wrede. Trans. W.B.D.Montgomery. 3rd ed. London: A&C Black/New York: Collier (1968). (번역서) <예수 생애 연구사>, 알베르트 슈바이처 지음, 대한기독교서회, 1995
'옛탐구(Old Quest)'의 시대에 마침표를 찍고, 이 문제에 관한 새로운 이해 방식을 전한 책이다. 여전히 매우 귀중한 가치를 지니는 자료로서 저자가 뛰어난 작가라는 점을 각인시킨 책이기도 하다.

Theissen, Gerd. 1987[1977]. Sociology of Early Palestinian Christianity. [English title: The First Followers of Jesus. Trans. J.Bowden. London: SCM Press/Philadelpha: Fortress. (번역서)<원시 그리스도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대한기독교서회, 1986
원시 예수 운동을 사회학적인 맥락으로 이해하려 했던 초기 작품으로 꽤 영향력 있는 작품이다.

Theissen, Gerd. 1987[1986]. The Shadow of the Galilean: The Quest of the Historical Jesus in Narrative Form. Trans. J.Bowden. London: SCM Press/ Philadelpha: Fortress. (번역서)<갈릴래아 사람의 그림자>, 게르트 타이센 지음, 차봉희 옮김, 한국신학연구소, 1996
재기 넘치고 창조적인 소설 같은 책. 자극적이고, 재기가 넘치며, 영리하고, 상상력을 자극한다.


Theissen, Gerd. 1991[1989]. The Gospels in Context: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in the Synoptic Tradition. Trans. Linda M. Maloney. Minneapolis: Augsburg Fortress. (번역서)<복음서의 교회정치학>, 게르트 타이센 지음, 류호성,김학철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02
공관복음서가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탄생하게 된 결정 과정에 관련하여, 창의적이고 새로운 가능성들에 대한 시각을 제시한 책.
+ 게르트 타이센은 대륙권에서 '역사적 예수'관련 연구로 널리 알려진 신학자다. 저작들 또한 상당수 번역되어 있다.
*한국어로 번역된 게르트 타이센의 책들




Risen Indeed
Davis, Stepen T.1993. Risen Indeed: Making Sense of the Resurrection. London: SPCK/Grand Rapids: Eerdmans.
철학자가 쓴 부활에 대한 최근 작품으로, 예수가 육체로 부활한 사건과 빈 무덤에 대한 역사성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Vermes, Geza. 1973. Jesus the Jew: A Historian's Reading of the Gospels. London: Collins/Philadelphia: Fortress.
Vermes, Geza. 1983. Jesus and the World of Judaism. London: SCM Press/ Philadelphia: Fortress.
Vermes, Geza.1993. The Religion of Jesus the Jew. London: SCM/ Philadelphia: Fortress. (번역서) <유대인 예수의 종교>, 게자 베르메스 지음, 노진준 옮김, 은성, 1995
출간되었을 당시 그 제목만으로도 충격을 주었던 책. 오늘날 이런 책 제목에 놀라지 않는 이유는 현 세대를 대표할 만한 작가 중 하나였던 그가 많은 알찬 책을 출간해 왔기 때문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Jesus and the Zealots
Brandon, S.G.F.1967. Jesus and the Zealots: A study of the Political Factor in Primitive Christianity.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tity Press/New York: Scribner.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던 바로 그 책. 브랜든의 주장(예수는 본질적으로 '광신자'이자 유대의 자유 투사였는데 초기 교회는 이를 쉬쉬하려 했다)는 새로울 것이 없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열띤 논쟁을 일으겼으며, 이 논쟁은 그형태를 달리하여 여전히 진행 중이다.
Wenham, David. 1989. The Parables of Jesus: Pictures of Revolution. London: Hodder&Stough
ton/ Downers Grove: InterVarsity.
비유에 대한 대중적인 입문서. 비유의 정치적인 면을 부각시키면서도, 신학적인 측면 또한 놓치지 않았다.
*한국어로 번역된 데이비드 웬함
의 책들


Yoder, John H. 1972. The Politics of Jesus: Vicit Agnus Noster. Grands Rapids: Eerdmans(new edition 1994)(번역서)<예수의 정치학>, 존 하워드 요더 지음, 신원하, 권연경 옮김, IVP, 2007
메노나이트파의 선두주자가 예수의 비폭력 주장을 옹호한 책으로, 출간된 지 20년이 지나도 여전히 매혹적인 책.
*한국어로 번역된 존 하워드 요더의 책

Chilton, Bruce D. 1992. The Temple of Jesus: His Sacrificial Program Within A Cultural History of Sacrifice. University Park, Pa.:Pennsylvania State UP.
저자는 매우 중요하면서도 간과되어 오던 예수의 유대적 배경, 즉 소위 랍비들의 '탈쿰(성서 주석)'을 연구해 왔다. 이 책에서 그는 예수가 말한 '하나님의 나라'가 실은 '권능을 가진 하나님 자신'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성전에 관한 그의 책은 제사가 문화적으로 어떻게 '작용'했는지, 또 성전에서의 제사 의식을 막기 위해 예수는 무엇을 하고자 했는지를 고찰하는 주요하고도 중요한 (그리고 때로는 밀도 있는) 작품이다.
Caird, G.B. 1963. The Gospel of St.Luke. Harmondsworth: Penguin/Philadelphia: Westminster.
Caird, G.B. 1965. Jesus and the Jewish Nation. London: Athlone Press.
Caird, G.B. 1980. The Language and Imagery of the Bible. London: Duckworth/Grand Rapids: Eerdmans(1996).
저자는 이 분야에서 가장 명석하고 예리한 학자 중 한 명이었다. 현재 주목받는 주제들을 그는 이미 30년 전부터 분명히 알아보고 있었다. 언어와 상상에 대한 그의 작품은 다양한 주제들과 특별히 '예언'의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초석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