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광인 - 상 - 백탑파白塔派, 그 세 번째 이야기 백탑파 시리즈 3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리심, 파리의 조선궁녀>와 <방각본 살인 사건> 등 저자의 전작들을 계속 염두에 두고 있었건만, 내 손에 먼저 들어온 건 바로 이 <열하광인>이었다. <열하일기>에 미친 광인들의 이야기지만, 난 바로 이 책에 열광했다. 1권을 시작하면서는 그 어투나 스토리 전개 방식에 익숙지 않아 그리 읽기가 빠르지 않았지만 일단 빠져들고 나니, 2권 끝날 때까지 손에서 놓을 수가 없었다. 특히 1권 끝의 추리는 완전 최고봉이었다. 다 읽고 난 지금, 제일 궁금한 것은 도대체 <열하일기>가 어떤 책이길래... 하는 호기심과 꼭 이 책을 찾아봐야겠다는 열망이 인 것이다.

“이 책은 혼돈을 일으키는 불꽃이다. 어느 대목을 읽든지 처음에는 뜻밖의 온기에 휘감겨 허리를 숙이고 콧잔등을 책에 댄다. 그러나 곧 두 눈과 열 손가락과 단 하나의 심장이 타들어 가듯 뜨거워진다. 허리를 젖히며 고개를 치켜들고 긴 숨을 몰아쉰다. 이것은 다르다. 지금까지 읽어 온 적당히 단정하고 감당할 만큼만 느낌을 담은 책이 아니다. 이 책은 읽는 이에게 어떤 배려도 하지 않고 성난 사자처럼 단숨에 목덜미를 깨문다. 그 참혹한 상흔을 입기 전과 입은 후가 어찌 같을 수 있으리.”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열하일기>를 둘러싼, 이 책에 미친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종친이면서 의금부 도사인 이명방의 나레이션으로 이야기는 흘러가는데, <열하일기>의 광인들이 몰래 모여 모임을 갖는 회원들이 쫓기기 시작하고 하나, 둘 살인을 당하고 정작 나레이터인 이명방이 살인자로 몰리면서 이야기는 급물살을 탄다. 거기에 우정과 의리, 사랑이 끼어들면서 소설적인 재미는 극을 달리고 주자학의 근본을 중요시여기면서도 규장각에서 업무를 보는 백탑서생들도 금서를 읽는다하여 버리지 않으려, ‘자송문’을 받으려는 정조의 의지도, ‘군왕의 법은 군왕’이라는 군왕과 신하들의 관계 또한 흥미롭기 그지없다.

“그녀의 뒷머리에 손을 얹었다. 눈을 감은 채 그녀의 머리카락을 쓸고 또 쓸었다. 제 몸 아픈 것처럼 내 일을 걱정해 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 사람들이 짝을 찾아 혼인을 하는 이유를 알 것 같았다. 극결 부부가 따로 없었다.”

또한 <열하일기>를 지은 박지원부터 그 뒤를 잇는 박제가, 이덕무 등의 실존 인물들의 철학이나 생활, 타인들과의 대화 등은 모두 역사소설의 빠질 수 없는 재미이다. 특히 이들의 책에 대한 열정과 사랑은 책을 좋아한다고 큰소리치던 나를 무색하게 했다.

“우리는 책이 토하는 불꽃이 얼마나 찬란하고 섬뜩하며 긴 여운을 남기는지를 다투어 떠들어 댔다. 단어 단어를 외우며 내 흉터가 더 짙고 크다 주장했고 문장 문장을 읊으며 내 살이 더 빨리 지글지글 타들어 갔노라 외쳤다. 남공철이 외우며 읊을 때 내 몸에 옮겨 붙은 불똥과 내가 읊고 외울 때 남공철 몸에 가 닿은 장작불이 더 큰 책을 만들었다. 사람들은 그 책을 인생이라고도 했고 깨달음이라고도 했다. 우리에게는 그저 책이었다. 책보다 더 황홀한 이름은 없었다.”

읽으면서 수없이 문장에 줄긋고, 수 없이 단어에 동그라미를 쳤다. 재밌고 유익한 대목뿐만 아니라 처음 본다 싶은 우리 말, 주가 있든 없든 내가 모른다 싶은 말은 모두 표시를 해뒀다. 휘뚜루마뚜루, 잠뿍, 겉가량해도 등등 모르는 고어도 많았고 관(觀)하고 찰(察)한다 등의 특이한 어법의 말들도 많았다. 이런 것이 또한 역사소설의 한 재미가 아니겠는가.

추리의 결말은 의외로 특이했고 반전 또한 놀라웠다. 그래서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 시작 글을 다시 읽어봐야 했다. 이런 저런 이유로 다시 들춰볼 책이다.   

단 한 권의 금서를 만나 평생 불행했다고 이명방도 고백하고 “나는 단 한 권의 책을 만났고 일평생 불행했다. 그 책은 나만의 금서였다”는 독자의 최고 찬사를 듣고 싶다고 저자는 쓰고 있지만 일개 독자인 나로서는 동의할 수 없다. 나는 한 권의 금서가 아니어도, 이렇듯 재밌는 소설을 평생 읽으며 평생 행복하고 싶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