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화원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진주 귀고리 소녀>를 읽으면서 작가의 그 뛰어난 문학적 상상력에 놀랐었다. 그림만 보고서 그 뒤에 숨겨져 있을 것 같은 이야기를 어쩌면 그리도 세세하고도 아름답게 그렸던지. 하지만 그때는 그림과 글의 두 가지 모두를 생각한다면 반의 감동이었다. 아무리해도 소재가 된 베르메르의 그림이 좋아지지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 조선시대를 통틀어 우리에게 멋지고도 대단한 작품을 남긴 두 화원, 김홍도와 신윤복을 소재로 써낸 소설이 있다. 그림도 그림이려니와 그 얽혔을법한 이야기를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며 풀어낸 솜씨가 일품이었다. 시대를 뛰어넘는 그림과 역사 그리고 문학적 상상력이 한바탕 장터에서 씨름을 하고 신명나는 굿판을 벌인 것이었다. 때로는 스승과 제자, 때로는 형과 동생, 때로는 아버지와 아들, 때로는 주상과 화원들, 또 때로는 주인과 매인 화원 등 여러 가지 관계가 사랑과 질투, 권력과 승부를 불러일으키며 그림 속에서, 삶 속에서 흘러간다.

역사와 추리는 어찌 보면 환상적인 궁합이다. 이 작품에도 빠질 수 없는 부분이 바로 이 추리부문이다. 빠져서 읽다보면 어느 새 추리의 끈은 사라지고 다시 나타나고를 반복하며 독자들을 때로는 미궁으로 때로는 드러나는 진실 앞으로 데려간다. 간혹 이야기가 뚝뚝 끊기는 듯한 구성력과 한 인간을 너무 완벽한 인간으로 그리려다 보니, 그 순수성과 그 위대함을 강조하느라 다소 김빠진 부분도 전혀 없지는 않다. 하지만 김홍도의 입을 통해 드러나는 신윤복의 비밀, 그 아름답고도 대담한 그림들, 또한 승부의 모든 면면이 한치의 오차도 없이 독자를 잡고 놓아주질 않는다.

“내가 별이었다면 그는 밤하늘을 가르는 벼락이었다. 너무나 갑작스러워 감당할 수 없는 그 빛은 차라리 재앙이었다. 그를 둘러싼 세상에게도, 바로 그 자신에게도. 뜨겁지 않으면서도 모든 것을 불태워버리는 재앙, 미처 준비할 겨를도 없이 달려들어 눈을 멀어버리게 하는 재앙, 그리고 마침내는 어둠 속으로 영원히 사라져버리는 재앙.”

이 작품의 또 하나의 큰 매력은 바로 김홍도와 신윤복의 그림들 자체이다. 글과 함께 서서히 풀리는 설명과 묘사가 원래 그림의 매력에 한층 더 빛을 발한다. 이렇게 자세하게 두 천재 화원의 그림을 제대로 볼 기회가 있었던가. 이 작품을 통해 본 작품만으로도 감탄에 감탄을 거듭했다. 두 천재 화원은 서로 비슷한 주제이지만 서로 완전히 다른 그림을 그렸고 이에 왕은 그 특징을 한 예로 이렇게 설명한다. “같은 주막을 그렸지만 두 점의 그림은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음이렷다? 단원의 그림에선 질박한 상민들의 삶이 그대로 보이고, 혜원의 그림은 양반들의 호사를 드러냈구나. 단원의 그림은 누추한 초가지붕과 단조로운 색이 눈에 띄는 반면, 혜원의 그림은 호화스런 기와지붕과 화려한 색감이 돋보인다. 같은 술을 먹더라도 곤궁한 백성의 삶과 호화로운 양반들의 삶이 대비된다 하겠다.”

이 작품에서는 또한 작가의 상상력이겠지만 김홍도와 신윤복의 그림을 대비시켜 미술에 대한 많은 생각을 불러일으킨다. 그림에서 겉으로 드러나는 확연한 부분이 오히려 자세히 살피고 그 뜻을 파헤쳐보면 의외로 모호할 때도 있고, 화원이 대상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그림이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는 것이다. 같은 주제를 가지고도 홍도는 주로 서민들의 질박하지만 즐거운 일상을 그렸고 윤복은 팔자 편해 보이는 양반과 기생을 그렸건만, 그것이 곧 그것만을 드러내는 것은 아닐 수도 있는 것이다. 무채색을 주로 썼던 홍도에 비해 여러 가지 화려한 색깔들을 썼던 윤복은 색상을 바라보고 사용하는 데서도 의견을 달리한다. 두 화원 모두 저마다의 혼을 저마다의 방식으로 그렸음은 물론이겠지만.

홍도의 마지막 맺음이 쓸쓸한 그리움으로 묻어난다. 홍도에게 윤복은 바람의 화원이었다…

‘덧없는 인간의 영화는 나의 관심사가 아니다. 날선 칼로 부귀의 욕망을 베어낸 지 오래, 뛰어난 그림으로 세상을 놀래키려는 열망을 접은 지도 오래…. 닳은 먹으로 벼루를 쓸며 마음을 다스리고, 마른 붓으로 종이 위를 스쳐 그리움을 달랠 뿐이다.’ 

덧붙임 1. 1권 220쪽의 밑에서 5줄과 3줄의 윤복은 혹시 영복을 잘못 표기한 것이 아닌가.
덧붙임 2. 이 책을 다 읽고 간송미술관에 전화를 했었다. 이 책에 나오는 그림들 중 가장 많은 그림을 소장한 곳이 바로 그곳이기 때문이다. 제대로 차근차근 두 천재화가의 그림들을 원화로 보고 싶었는데, 안타깝게도 일반 관람은 안 된단다. 10월에 특별 전시가 있긴 하지만 그들의 그림을 위한 것이 아닌지라, 언제 한번 그들의 그림을 제대로 감상할 기회가 있을까 싶다. 대신 그 수는 좀 적지만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그림을 보러가야겠다. 출판사에서 책의 출판을 기념해 독자들을 위한 ‘특별 감상 기회’를 만들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 바래본다. 이런 멋진 그림들을 우리가 갖고 있는데 못 본다는 게 말이 되나…
덧붙임 3. 신윤복의 춘화를 몇 개, <그림 읽어주는 여자>에서 봤다. 재밌었다… 천재화원이라고 춘화를 그리지 말란 법은 없을 테니…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9-12 13: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진달래 2007-09-14 07: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굶으시면서 구입하셔도 후회 안 하실 거예요. ^^*

2007-09-14 10: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09-14 19:2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