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
최규석 지음 / 길찾기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간의 숱한 호평들을 듣고 뒤늦게 접하는 영화는 다분히 실망스럽다. 다 보고 나서 영화관 문을 나서며 '뭐야, 별거 아니잖아!'라고 중얼거리게 된다. 반면 아무런 평도 없이 또는 악평을 극복하고 본 영화는 의외의 만족스러움을 주기도 하는데 두 경우 모두 기대치로 인해 생겨나는 결과가 아닌가 한다. 상반기 만화계에 단연 최고의 화젯거리는 만화가 최규석의 등장이고 단행본 <공룡 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의 발간일 것이다. 하지만 기대치가 너무 컸던 것일까. 호평들을 등에 업고 읽은 <공룡 둘리..>는 만족스러움보다는 실망이 더하다. 많은 제작비를 들였음이 분명한 질좋은 종이에 잘 인쇄된 책이건만 동인지 느낌을 지울 수 없는 편집상의 숱한 오류들은 책을 읽는 내내 심심치 않게 발견되었고 '사랑은 단백질'을 제외한 나머지 단편들은 펜선과 컷분할, 연출력 등에서 아직은 정제되지 않은 날것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 면죄부와 가산점을 줄 수밖에 없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음악 전문 사이트 <가슴>에 한 인디밴드를 소개하는 글에서 '현재 한국의 사회적인 상황이나 우리들(노동자들)의 현실은 그렇게 녹녹치 않고, 그렇다면 노래에서도 사랑이나 자잘한 일상을 얘기하는 것만큼이나 우리 안에 내재된 끝 모를 분노와 절망감, 상실감을 표출하는 것이 당연히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현재 우리의 갈망을 얘기하는 '살아 있는 음악'으로서 대중음악을 규정한다면 말이다.'라는 말과 함께 '그렇다고 모든 뮤지션들이 다 그런 노래를 만들라는 것은 아니지만, 왜 그런 뮤지션들이 이리도 한국에는 별로 없느냐 말이다. 지금 한국 사회가 많은 사람들이 만족하며 살아가는 곳은 분명 아닌데도 말이다.'라고 덧붙인다. 이 말은 만화계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한국 사회의 현실은 연애 문제 말고는 고민이 없는 중산층 집안의 여고생이 다가 아니며 죽고 죽이며 칼싸움을 해야 하는 무협시대도 아니다. 그럼에도 주독자층이라고 여겨지는 여학생의 기호에 맞춰 가로세로 몇 개의 선으로 배경을 처리해 버린 채 머쉬맬로 같은 달콤한 분위기만을 뚝뚝 떨어뜨리는 학원물과, 남학생의 기호에 맞는 허무맹랑한 무협물과 판타지가 대부분이다. 말그대로 한국의 사회는 불특정의 많은 사람들이 만족하며 살아가는 곳이 분명 아닌데도 말이다. 

그런 점에서 최규석은 위에서 인용한 글에서처럼 '현재 우리의 갈망을 얘기하는 살아 있는' 만화를 그리려는 시선을 갖고 있다. 그의 시선은 날카롭지만 왜곡되지 않았으며 보기 편한 곳만을 바라보지 않는다. 오히려 들여다보기 불편한 부분을 헤집고 드러내며 그속에서 무언가를 찾는다. 사실 이전에도 메이저 시장에서 주목받지 못한 동류인 작품들은 무수히 많을 것이다. 또한 훨씬 이전에 지면을 탔고 새롭게 김혜린의 단편집 <노래하는 돌>에 실린 '11월의 초상'과 '우리들의 성모님'은 같은 맥락을 걷고 있다. 단지 김혜린이 '순정만화 작가'라는 억울한 굴레로 인해 다양한 독자층을 얻지 못한 반면 <공룡 둘리..>는 그만의 색을 낼 수 있는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하고 있다는 점은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매끄러운 펜선이 아닌 거친 연필선의 뎃생이, 박광수의 여타 작들에서 볼 수 있는  곱디 고운 색이 아닌 채도 낮은 색들이 주를 이루는 최규석의 작품들이 지금 우리 시대에 어쨌거나 주목을 받고 있고 책이 팔리고 있다는 점은 마음 한구석을 따뜻하게 만든다.

이제 처음의 기대치를 털어버리고 맨눈으로 그의 작품을 대한 후 갖게 되는 새로운 기대는, 신인에게만 주어지는 특권인 무딘 칼날의 비평에서 제대로 벗어나는 것이다. 풋풋한 딱지를 떼고 나서 맞게 되는 날선 칼날의 힘에도 단단하고 견고하게 버텨내기를 바란다. '막일로 단련된 근육질 마냥 투박하고 탄탄한' 그의 시선이 흐물거리는 시선이 되지 않기를 진정으로 바란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태우스 2004-06-20 1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천 하나는 접니다.

superfrog 2004-06-20 12: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구.. 황송..^^

다연엉가 2004-06-20 1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노래하는 돌의 대여는 한 번도 되지 않을 만큼 한국 사회의 만화는 패*애* 처럼 소녀와 소년들의 야시꼴리한 엉덩이를 들추는 일본만화의 번역과 돈 벌이에만 열을 올리고 있는다는 느낌이 금붕어님도 드는지요. 이제는 19세 대여불가의 의미가 없어질 만큼 치닫고 있는 만화시장에서......(궁시렁 궁시렁 뭔 말을 한는거지...)
나도 추천 한방 날리고 가오.^^^^

다연엉가 2004-06-20 12: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이번에 리뷰선정은 공룡 둘리에 대한 오마주에서 뽑혔으면 싶는데 알리딘팀은 내 말을 듣고 있는감^^^^^(그러면 울 차력당이 떡을 돌리지 싶는데(헤헤헤)

superfrog 2004-06-20 12: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울타리님.. 있잖아요.. 저는요, 엉터리 우리나라 만화보다는 전문적인 부분을 치밀하게 다룬 완성도 높은 일본만화를 더 좋아해요..;; 그런 전문적인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인프라가 우리나라 만화계에 없다는 점이 분명 안타까운 점이긴 하지만요. 그래도 그런 열악함을 견뎌낸 작가들이 너무나 존경스럽지만, 대부분의 우리 작가들은 쉽게 편안한 길을 택하는 상황이 슬플 따름입니다..

다연엉가 2004-06-20 12: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데 금붕어님 요즘 중학생이 읽는 일본만화가 들추기만 하면 놀래 자빠질 내용들이 난무한느지라...... 그런것들을 대부분 많이 빌려갈려고 하고 선호하지만 정말로 일본만화중에서도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손도 안댈려고 해서 .... 지가 그냥 속이 팍 상합니다. 좋은 만화가 얼마나 많은데....
그나저나 울 나라의 만화가 갈수록 볼 것이 없어지는 것을 느끼는 마당에 ..오 !!!!통재라입니다..
일요일 뭐하는교^^^^^

superfrog 2004-06-20 1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쵸.. 그게 문제죠.. 손가락 발가락 끝만 간지럽히는 만화들만 쉽게 읽히고. 그저 완성도 높은 작품은 사서 소장하나보다,라고 믿어야죠..^^;; 죄송스럽지만 우리나라 좋은 작가들이 좀더 잘 버텨주기를 바랄 뿐이죠..^^

alpachino 2004-06-21 16: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화에는 문외한이나 추천 꾹....
만화라면 유리가면이 최고의 명작인줄로만 알고 있는 내가 한 추천....

sayonara 2004-09-01 2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곱번째 추천은 접니다.
일본만화의 전문성과 내공은 정말 대단하죠.
'마스터 키튼'의 작가는 북유럽의 초콜렛 포장지까지 꼼꼼하게 고증할 정도였다는데, 그런 치열한 작가정신이 부럽습니다.

superfrog 2004-09-01 2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헛.. 사요나라님, 감사합니다..^^
죽을 때까지 완성도 높은 만화가 나와줘야 할 텐데 말이죠..ㅎㅎ

미완성 2005-10-20 0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흐흣, 이 리뷰에 내가 추천을 했던가? 싶어 눌러보니, 추천이 되네요! 뭐야뭐야 금붕어님 리뷰를 내가 못 봤을 리가 없다구 하고 보니; 서재질에 입문하기 전의 글이구만요. 새삼 추천. 이 리뷰를 읽고 나니 로드무비님께 받은 '나른한 오후'가 생각나네요. 너무 처절한 현실이라, 제겐 공포로 다가왔었죠. (마치 오늘 잠깐 본 '장밋빛 인생'에서의 물건 집어던지기, 접시 깨뜨리기, 신들린 듯 악쓰기를 한꺼번에 현란하게 보여준 최진실의 모습처럼;) 어렵네요. 음식에서나 책에서나..어디서나, 설탕에 너무 많이 중독되었나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