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몸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4년 2월
평점 :
요시모토 바나나의 글을 좋아한다. 따라서 편향된 평가가 되겠지만 어쩔 수없이 이 단편집도 책장을 넘기는 내내 행복감을 느끼게 했다고 말할 수밖에. 그의 작품들의 화자가 항상 그렇듯이, 어떻게 이 감정을 잡아내 이렇게 드러낼 수 있는가 할 정도의 놀랄 만한 명민함을 지니고 '일상'을, 혹은 환상으로 여겨질 만한 '일상의 벗어남'을 조용히, 그리고 담담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비단 화자뿐 아니라 그의 작품에 나오는 대개의 인물들은 평범하지 않을 만큼의 감성으로 세상과 사람을 가만히 들여다본다. 이 단편집의 인물들도 그러하다. 뜬금없는 전화에서도 상대방의 감정을 화들짝 놀랄 만큼 꿰뚫어 잠언 같은 말을 해주고, 죽음을 눈앞에 둔 병에 걸린 할머니는 식물과 소통을 한다. 몸에 난 조그만 부스럼과도 인사를 나누고 세탁기 뒤에 할머니의 유품인 수정을 키우는 남자도 있다. 중편을 읽을 때 일관되게 흐르는 감정을 따라가며 그저 담담하게 스토리에 익숙해지는 대신, 이 10페이지 남짓한 단편들은, 하나둘 읽어 나갈수록 각각의 이야기가 웬일인지 물방울들이 합쳐지듯이 슬그머니 제 윤곽을 잃고 하나로 뭉쳐진다. 너무도 그 느낌이 자연스러워서 그것을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섞여버린다. 그럼에도 각각의 물방울들은 완전함을 잃지 않고 제 모양을 갖추고 있기도 하다. 마치 가까이보면 의미 없이 대충 찍혀 있는 듯이 보이는 점들이 하나로 모여 빛고운 그림을 만들어내듯이 '몸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의 단편들은 그렇게 서로를 잡아당기고 합쳐져 강렬해진다.
요시모토 바나나의 글만큼 어느 곳을 펼쳐 한 부분을 뚝 떼어놓고 보아도 그 문장들을 곱씹을 수 있을 만큼 정제된 글이 있을까, 싶은 생각을 이 책을 읽으면서도 여지없이 하게 된다.. 말하지 않아도 좋은 친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일단 억지로 얘기하기를 그만두면, 몸이 오랜 세월에 길든 서로의 리듬을 마음대로 새겨준다. 그러면 대화는 느긋하고 매끄럽다.. '검정 호랑나비'에 나오는 일부분이다. 나는 현실이란 그렇게 단순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그런 광경을 보면 사람이란 참 단순하다는 생각이 든다. 마음의 어둠을 처리할 장소가 있으면 조용한 사무실에서 비명을 지를 만큼 절박해지지 않는다.. '다도코로 씨'에 나오는 일부분..
그의 예전 작품을 읽어 본 사람의 '몸'에 새겨진 느낌들처럼, 요시모토 바나나는 우리들의 일상에서 일부러, 혹은 우연히 잊혀져 버린 기억들이 어느 때, 우연한 계기로 인해 현재의 우리에게 발현되는 순간을 담담하게 이야기한다. 그것은 의식이 기억을 끄집어내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몸'이 원초적인 힘을 가지고 기억을 꺼내 지금의 아픔과 반죽하여 치유하고 융합하여 다시 예전의 기억 속으로 돌려보낸다. 또한 현재의 우리의 몸은 언젠가 생겨날 미래의 계기를 준비하며 일상의 모든 것을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