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마무사 (양장) - 700년 고구려 역사를 지켜 온 불패의 상징, 과학과 상상력으로 만나는 우리 문화유산 2
이종호.윤석연 지음, 정준호 그림 / 열린박물관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역사는 '안녕' 했다. 대입학력고사때 세계사 점수가 형편 없게 나온 지라 한동안 역사를 멀리했다. 중, 고등학교때 폭넓은 독서를 했더라면, 그래서 역사를 자연스럽게 알게 되었다면 사정은 달라졌겠지.... 요즘 우리나라 역사관련 책을 읽고 있는데 재미있다. 우리나라 역사를 충분히 알게되면 세계사 도전을 하여 맺힌 한을 풀어보리라.

'개마무사!  700년 고구려 역사를 지켜온 불패의 상징으로 소개한다. 개마무사는 온 몸을 철갑옷으로 무장하고, 말도 갑옷으로 무장시켜 전쟁의 선두에 서서 고구려를 위해 싸운 특수군이다. 그 당시엔 중국땅의 일부도 고구려땅인지라 현재 중국에서 고구려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 하니 아쉬운 마음이 참으로 크다.  신라가 당나라의 힘을 빌어 삼국을 통일한것이 아니고 고구려가 삼국을 통일했다면 우리나라의 입지는 더 커질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니 이 또한 아쉬움이 남는다.

고구려는 중국과 어깨를 견줄 정도의 힘이 되었다고 하니 위상도 대단하다.  수시로 중국의 침략을 이겨내느라 평상시에는 평지성에서 거주하다가, 전시에는 산성으로 피신하여 전쟁에 대처한단다. 그만큼 산성도 많고, 산성을 축조하는 기술도 대단할듯. 이 책은 '과학과 상상력으로 만나는 우리 문화유산' 이라는 시리즈명 답게 역사와 과학이 접목되어 읽는 재미가 크다.  산성을 축조하는 방법을 이야기 하면서 석가탑 그랭이 공법(성벽을 쌓으며 울퉁불퉁한 바위를 깎아내지 않고 쌓는 돌이 생긴대로 쪼아내어 이빨을 맞추듯 접합하는 것을 그레이라고 한다)에 대해 언급할땐 우리 선조들의 과학적 사고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개마무사가 고구려를 지키기위해 전쟁에 대처하는 모습도 다루고, 고구려의 생활상, 고구려 산성의 분류, 고구려의 유명한 전술인 성안으로 들어가면서 먹을 것을 하나도 남기지 않는 '청야작전'과 두겹으로 쌓은 철옹성을 기필코 사수하는 '산성전투'에 대해 이야기 한다. 전쟁은 고구려인의 생활이지만 한가할때면 귀족의 집에서 야유회를 즐기는 음주가무의 생활을 즐기는 고구려인의 생활모습도 보여준다. 물론 고구려의 위대한 장수 을지문덕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

초등학교 중학년들이 고구려 장수들의 드높은 기상, 고구려 역사에 대한 지식을 익히기게 참 유익한 책이며, 고구려 시대의 문화유산 벽화, 수레, 안악3호분 행렬도 등이 소개된 사진과, 유화를 보는 듯한 삽화로 구성된 원색 그림은  읽는 재미를 더해준다. 과학과 역사의 접목으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수 있는 즐거운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06-04-08 09: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실 전쟁이야기는 즐기지 않는데 이 개마무사는 역사와 관련지어 더욱 흥미있어 보여요

세실 2006-04-09 0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쟁이야기라고 하기 보다는 고구려 역사쪽에 가깝습니다. 과학적 사실 혹은 추측도 흥미진진하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