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캄과 메오 초승달문고 9
김송순 지음, 원혜영 그림 / 문학동네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작가가 쓴 책인데 제목이 참 특이하다는 생각을 했다. <모캄과 메오> 책을 덮고 나서야 '아 외국인 노동자와 고양이의 아름다운 이야기구나. 메오는 모캄이 고향에 두고 온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딸 이름이기도 하구나'  하며 고개를 끄덕이었다.

전에 공지영씨가 정신대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다룬 동화를 읽으면서 아이들이 읽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에 반하여 이 책은 '외국인 노동자'라는 무거운 주제를 다루면서도 아이들이 친근하게 다가설 수 있게 하였다. 

외국인 노동자 모캄. 아직 우리나라 말에 서툴러 농장주인에게 늘 혼나고 구박 받지만 아픈 딸의 병원비를 벌기위해 참고 묵묵히 일한다. 고양이 메오는  농장 오리를 잡으러 왔다가 개에게 다리를 물려 꼼짝하지 못하고 죽게 되었을때 모캄이 발견하여 살아나게 된다. 모캄이 아파할때 메오는 모캄을 위로해주고, 모캄도 메오를 딸처럼 생각하면서 의지하게 된다.

모캄이 딸 메오의 사진을 보면서 부르는 노래를 들으면서, 보고 싶은 딸을 향한 아빠의 마음에 괜히 눈시울이 적셔진다. "나의 딸아! 많이 보고 싶구나. 나의 딸아! 아빠 기다리다 잠이 들었니? 나의 딸아! 사랑해! 기다려, 기다려! 아빠를 기다려! 아프면 안돼!

안타깝게도 메오는 오리를 잡아 먹었다는 누명을 쓰고 버려지게 되고, 모캄은 돈 한푼 받지 못한채 농장을 떠나게 된다. 딸의 사진을 숨겼다는 죄책감으로 모캄을 찾아온 메오는 이미 떠난 모캄의 방만 두리번 거린다.

모캄은 대체 어디로 갔을까? 좋은 주인은 만났을까? 하는 안타까움에 괜히 마음이 아프다. 평소에 외국인 노동자를 보면 눈길을 피하고, 옷깃을 스치는 것조차 부담스러워 했던 마음이 부끄러워 진다.  그 네들도 우리와 똑같은 자식을 둔 한 아이의 아빠이고, 엄마일텐데. 더 나은 삶을 살기위해서 멀고 먼 우리나라까지 온 것인데......

아이들이 이 책을 읽고나면 적어도 외국인 노동자에 대해 다른 시각을 갖게 될 듯하다.  물론 엄마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아름다운 마음을 갖을수 있겠다. 하긴 달리 생각해보면 어른들이 더 선입견을 가지고 그들을 대한다는 생각도 든다.

참 아름다운 책이고, 눈물나는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여우 2006-03-22 2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고 싶어요

세실 2006-03-23 09: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그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