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쳐야 미친다 - 조선 지식인의 내면읽기
정민 지음 / 푸른역사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광불급( 不狂不及 ).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한다. 처음에는 말이 와 닿지 않아 한참을 생각했다. 약간의 시간이 흐른 뒤에야 깨닫게 되었다. 무언가에 미칠수 있는 열정, 광기가 아니고는 이룰 수 없다는 뜻이다. 참 도전적인 멋진 표현이다.  요즘 회자되고 있는 인물 위주로 다루고 있어서 즐거운 독서가 되었다.  

이 책은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 이야기 하고 있다. 첫번째 주제는 '벽에 들린 사람들' 이 나오는데 여기서의 벽은 '무엇을 지나치게 즐기는 버릇, 취미' 라고 이해하면 좋을듯. 부스럼 딱지를 즐겨먹는 벽이 있던 유옹은 좀 엽기적이다. 처절한 가난으로 굶어죽으면서도 학문을 연구했던 김영,  만번 이상 읽은 책이 36권이나 된다니 그저 놀라울 뿐인 대기만성형 김득신, 책만 읽는 바보라는 별명을 듣는 이덕무 등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읽으면서 가장 맘에 들었던 부분은 두번째 주제 '맛난 만남'이다. 제목에서 우러나오듯 멋진 만남, 소중한 만남을 의미한다. 미천한 신분인 화공 이정과 허균의 신분을 초월한 사귐, 기생 매창과 허균의 플라토닉한 우정을 통해서 매창이 쓴 "이화우 흩뿌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님 추풍 낙엽에 저도 나를 생각하는가. 천 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노메"란 지금도 기억이 남는 이 시조에 얽힌 유래도 처음 알게 되었다. 그 당시 국어선생님이 매창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었더라면 훨씬 애절한 시조로 기억했을텐데 하는 아쉬움도 남았다. 다산과 유배시절 만난 제자 황상, 홍대용과 박지원, 이덕무, 김억과의 음악을 즐기는 벗, 박지원이 박제가에게 돈을 빌려달라는 편지를 보내면서 전혀 궁색하지 않아 하고, 기꺼이 돈을 보내는 두 사람의 아름다운 편지와 우정,  사랑하는 자식을 먼저 떠나 보낸 정약용의 애절한 편지가 눈시울을 적시게 한다. 살면서 이런 맛난 만남을 나눌 수 있는 한 사람이라도 얻을 수 있다면 행복한 삶이 될듯.

세번째 '일상속의 깨달음'은  그림자, 여행과 글쓰기, 여행기라는 평범한 가운데 깨달음을 얻는 지혜를 다루었다.     

우리 선조들의 삶을 들여다 보면서 읽는 내내 그들의 지칠줄 모르는 열정과, 진지한 삶의 태도가 부러웠다. 지독한 가난 속에서도 초심을 잃지 않는 올 곧음, 삶의 여유를 찾는 지혜로움을 본받고 싶었다.  곁에 놓고 조금씩 음미하면서 읽고 싶은 은은한 향내가 나는 그런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06-02-16 0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두번째 맛난 만남편이 제일 재밌었어요. 그 시대의 인물들이 살아서 걸어나오는듯한 느낌이랄까? 특히 저 박지원의 편지는 멋지죠. ^^

세실 2006-02-16 0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딱 맞는 표현입니다. 마치 옆집에 사는 아저씨들 같은~~ 맞아요. 어쩜 저리도 당당할 수 있는지. 멋스러움이 참 좋았습니다. 읽으면서도 어찌나 뿌듯하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