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차르트 천 번의 입맞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지음, 박은영 옮김 / 예담 / 2001년 6월
평점 :
절판
보통의 전기문에서는 그사람의 실제생활을 보았다고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어느정도 있는 자료를 가지고 작가의 상상력이 약간이라도 안보태졌다고 하면 거짓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책마다 내용이 약간씩 다르기에 어리둥절해 질 때도 있다. 반면에, 이 책처럼 편지형식으로 그 사람의 성격이나 생활을 유추해볼 수 있다. 전혀, 작가의 의견이 배제되어 있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고나 할까?
어렸을때 전기문으로 삶을 살짝 엿보았던 여러 명성 높은 사람들은 어쩐지 사람의 냄새가 나지 않았다. 나와는 다른 세상의 사람같았고, 더불어 나와는 다른 행성에서 사는 사람 같았다. 태어날때부터 그런 천재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는것 같기에 전혀 친숙해 질수 없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었다. 그러던중, 모짜르트의 편지가 닮긴 책을 발견하게 되었다. 왠지 사생활을 엿볼 수 있다는 느낌을 받아서인지 보자마자 보관함에 넣어두었었다. 그냥 보통사람도 아닌 천재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사생활은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솔직히 말하면, 나는 모짜르트에 대해서 그리 많이 알지는 못했었다. 간단히 그가 작곡자로서 유명하다는것과 음악의 느낌상 평온한 삶을 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만 들었었다. 그래서 맨처음 책을 읽었을때는 사전지식이 없다보니 이곡이 이렇게 작곡되었구나라는 깨달음은 없었다. 그래서 어떤곡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때면 약간 지루해지기도 했지만, 대부분 이런면도 있었구나... 혹은, 이렇게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사람을 사람들이 그 당시에 왜 못알아 보았을까? 하는 생각도 하면서 책장을 넘기게 되었다.
어찌보면, 당연한 말이겠지만 모짜르트도 우리와 같은 사람이었다. 젊었을때는 약간의 허영심도 있고, 흥청망청 놀고도 싶은 사람이었고, 사랑에 빠질줄 아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그동안 내가 전기문을 읽으면서 혹은 어렸을때의 상상속에서 그런 위인들을 사람이 아니라 신같은 존재로 생각을 하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좀더 모짜르트가 친숙하게 다가왔고, 그의 음악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혹시 이 책을 구입하고자 하는 분들은 모짜르트에 대해서 나보다는 더 많이 아는 상태에서, 모짜르트의 곡에 대해서 사전지식을 먼저 갖고 책을 읽는 것이 책을 읽는 즐거움을 더 느끼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그게 아니라면 책 뒷부분에 간략히 나와있는 설명을 먼저 보구 읽는다면 조금 도움이 될 것도 같다. (나는 그냥 처음부터 읽었기에, 그런 설명이 있다는 것도 책을 다 읽고 난 후에 알았다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