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정원 - 상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가 젊은 시절 황석영과 구로공단에서 자취했다는 얘기를 알고 있는지.... 그들은 운동권이었다. 그리고 난 그들이 어려웠다. 그 시대에 살아보지 않은 나는, 그 시대 자체를 항상 어려워했기 때문인데... 황석영에게는 익숙하고 그리운 오래된 정원일테지만 나에겐 언제나 낯선 정원인 그 시대. 그래서 그런지 환타지로 느껴지기까지 했으니 말 다했다.

그런데, 황석영의 소설에서 만나는 그 시대는 꽤나 진득한 냄새를 풍긴다. 그래서 황석영의 책을 읽고 나서야 환타지가 아닌, 실제로 느껴졌다. 처음엔 중단편들로 황석영을 접하기 시작했는데, 오래된 정원을 읽으니 나 자신의 인식변화가 더욱 실감난다. 고마운 일이다.

또 하나 고백하자면, 대부분의 경우, 소설을 먼저 접한 후 매력을 느껴야 영화를 보게 마련인데, 이번엔 약간 달랐다. <예의없는 것들> 심야상영을 보러갔을 때였던가. 예고편은 <오래된 정원>이었다. 그런데... 예고를 보면서 그렇게 숨죽였던 적이 없었다. 비오는 날, 한윤희가 오현우를 보내면서 읊조리던 말, "밥해주고 재워주고 몸까지 줬는데 가버리냐." (정확한 대사는 아닐 테고). 아, 가는 남자를 보내면서 하는 말 중 제일 현실적이지 않나. 예고가 끝나자마자, 나란히 앉아있던 동행자와 "우리 저 영화 꼭 보자"라고 다짐을 했더랬다. 그리고 각각 이 책을 사들였지. 그런데 내 가슴에 찡하게 박혔던 저 대사는 책 속에 없드라. 원작에 충실하지 않았단 얘긴데... 이 부분에 대해서만은 나는 원작에 충실하지 않은 감독과 시나리오 작가에게 감사를 표한다. 그 한 마디가 없었더라면 나는 원작을 읽어볼 생각도 못했을 테니. 그 신랄한 한 마디는 나에게 황석영을 다시금 알게 해 준 고마운 인연이다. 아직 보진 않았지만 훌륭한 영화임에 틀림없을 테고, 그건 황석영의 원작을 기초로 했기 때문일 거다. 

 

아. 오류 하나 발견.

교도소에서 수감자들이 소일거리 삼아 생쥐며 곤충이며 비둘기 따위를 기른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한 수감자가 자신이 생포해 기르는 생쥐의 이름을 뽀삐라고 지었단다. 이유인즉슨 휴지광고에 나오는 토끼의 이름을 딴 것이라는데...

근데 그거 토끼가 아니라 강아지 아닌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