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좌표 - 돈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생각의 주인으로 사는 법
홍세화 지음 / 한겨레출판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ㅅㅈ 선배가 당첨이 됐다며 데리고 가준 홍세와 저자와의 만남. 아이고 좋아라!
그런데 이날 일이 좀 꼬였다.
선배가 차 댈 곳이 없어 내가 사는 오피스텔 지하에 주차를 하려고 했고
나는 그 시간에 맞춰 주차카드를 건네줬는데
융통성 없는 주차관리 아저씨가 카드에 적인 차번호와 선배의 차번호가 다르다며 무료주차를 불허한 것!
말도 안 돼! 나는 관리비도 꼬박꼬박 (....;;;;) 내는 당당한 세입자라고!
주차관리 아저씨는 관리실에 가서 새로운 차량번호를 등록하라고 했고 그러려면 전세계약서가 필요한데
오마이거쉬, 때마침 이게 어디 있는지 도통 알 수가 없는 거다.
그리고 찾으면서 생각해 보니 나 사실 지난달 관리비 안 냈지...
괜히 관리실 찾아갔다가 밀린 관리비 어쩌고 하면 나는 홍당무가 될 텐데...
ㅅㅈ 선배는 집에서 피자와 핫윙을 시켜먹자며 나를 들들 볶고 있었고
바로 그 때! 똑똑한 내가 국회도서관을 생각해 내는 바람에 선배는 무사히 주차를 할 수 있었다는 얘기.
그리고 파파존스에서 올미트 피자랑 핫윙을 시켜서 카펫 위에 반쯤 누워 냠냠.
밤샘원고를 쓴 선배는 샤워까지 후딱 마친 다음 오마이뉴스로 출발. 
 

 

 홍세화 선생님을 직접 볼 생각에 가슴이 두근두근.

사람도 엄청 많구나.
지금까지 다른 작가와의 만남엔 오히려 빈 자리가 많아 이쪽에서 미안해지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번엔 꽉꽉 들어찼다.
세심한 주최측이 탄산음료와 작은 과자를 준비해 뒀는데 ㅅㅈ 선배와 나는 굳이 탕비실까지 들어가 커피를 타마시고.
그런데 여기서 부끄러운 사실을 하나 고백하자면 선배와 나 둘 다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가 유일한 저서인 줄 알았다는 것.
그런데 그간 책도 많이 내셨었구나. 시간 내서 다 사 봐야지.

그리고 드디와 홍세화 선생님 입장.
허리 숙여 인사를 수없이 반복하며 볼빨개진 미소로 들어오신다.
이 날의 주제는 "내 생각은 어떻게 내 생각이 되었나?".

그는 귀국 후 택시를 탈 때마다 택시기사에게 반가운 마음에 말을 걸었다고 한다. 나도 한 때는 택시를 몰았노라고.
기사 역시 반가워하며 어디서 일했냐고 묻고, 나는 파리에서 일했다 대답하고 그렇게 화기가 애애할 무렵,
기사가 그럼 지금은 어디에서 일하냐고 물어보고 '한겨레'에서 일한다고 대답하는 순간 분위기는 급 반전.
대개의 경우 기사들은 한겨레에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고 심지어는 전라도 신문이다, 운동권 신문이다 라는 말도 서슴치 않는다고.
그래서 일부러 "그럼 기사님도 한겨레를 구독하나 보네요?" 하고 슬쩍 물어보면 역시나 택시기사구독률은 0 %.
여기에서 의문이 생성된다.
한겨레를 읽지 않고도 어떻게 그들은 한겨레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가지게 되었을까?
그리고 그 견해는 왜 그리도 견고한가?
왜 '한겨레를 읽지 않아 잘 모른다'는 솔직한 답변은 나오지 않는 걸까?

정운찬 총리와의 기묘한 인연도 재미있다.
둘은 초중고, 그리고 대학까지 동기동창. 그 유명한 경기중고등학교에 서울대 라인이다.
그러나 한 사람은 대한민국 총리가 되고 한 사람은 그 앞에서 1인 시위를 하는 사람이 되어 있다.
둘의 생각의 변곡점이 생긴 건 도대체 언제인가?

위 두 가지에 대한 답은 모두 책에 들어 있다.
강연회가 있던 전날 홍대 동남문고에서 책을 사서 읽어둔 터라 문장 하나하나가 머리에 쏙쏙. (이것이 예습의 효과? ㅋ)
그러나 ㅅㅈ 선배는, 그의 말대로만 되면 세상은 아름다워지겠지만 그게 쉽겠냐는 아쉬움을 내비쳤다.
하지만 불가능하다고 해서 생각조차 안 하면 안 될 일.

이날은 질문을 하는 이들조차 어쩌면 그리 똑똑한 젊은이들인지.
올해 발령을 받았다는 서산의 한 중학교 윤리 선생님과, 방학이라 귀국해 택시운전자 자격증을 땄다는 학생까지 있다.
그런데도 ㅅㅈ 선배와 나는 싸인을 받으려고 줄선 사람들 중 앞의 여자 가방이 어디 건지나 속살거리고 있으니...
그래. 나는 이렇게 속물로 살고 있어도 누군가는 올바른 생각으로 딴딴하게 무장하고 세상에 맞서겠구나.
그러나 나도 내 생각이 어떻게 내 생각이 되었는지에 대해서 끊임없는 고찰을 해야한다.

 

싸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어쩐지, 저, 필기도 열심히 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